View : 339 Download: 0

재취업 이후 중장년 근로자의 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및 직종에 따른 조절효과 분석

Title
재취업 이후 중장년 근로자의 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및 직종에 따른 조절효과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Variables Affecting Job Satisfaction of Middle-aged Workers after Re-employment and Moderating Effect by Job Types : Using the 23rd Korea Labor Panel Survey (KLIPS) Data
Authors
서지원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남희
Abstract
저출산 및 고령화로 인해 우리 사회가 빠른 속도로 초고령사회에 진입하고 있는 가운데, 고령층 인구의 노동력 제공이 앞으로의 경제성장에 중요한 역할로 작용할 것이라 전망된다. 특히 한국 사회의 경제성장을 이끈 핵심세대인 중장년 인력을 지속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관건이다. 현재 중장년층은 인구비율 중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으며, 50세 이후에도 노동시장 속에서 경제활동을 지속하고 있는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평균 퇴직연령이 49.3세임을 생각해 본다면, 이들은 이전 직장에 나와서도 재취업을 통해 고용유지를 하고자 하는 의지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정부에서도 중장년층 고용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는 걸 보아, 재취업을 통한 중장년의 경력유지가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 예상된다. 이러한 인식하에 국내에서 중장년 재취업에 주목하여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특히 재취업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한 연구가 가장 많았는데, 연구 결과를 통해 재취업 결정에 유의미한 요인들을 규명하며 정책적 및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또한, 양적인 일자리 제공보다 질적인 직장 속에서 오랫동안 생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중장년층의 고용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살펴본 연구도 있었다. 마지막으로 중장년의 경력 및 역량을 개발하는 재취업 프로그램이 무엇인지 분석한 연구를 통해, 직업훈련이 전직 및 재취업을 준비하는 중장년에게 도움이 되므로 더욱 확대하여 제공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이처럼 대부분의 연구 주제가 재취업 일자리 획득을 위한 시사점 제공이 목적이었는데, 중장년이 안정적인 일자리 속에서 경력을 유지하고 있는지 살펴보기에는 한계가 있다. 중장년의 대다수가 저임금 일자리에 고용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노동시장에서의 재이탈 방지를 위해 현재 재취업 일자리에서 만족해하며 안정적으로 고용을 이어 나가고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또한 중장년에게 양질의 재취업 일자리를 제공해야 하므로 일자리의 다양성이 확보될 필요가 있지만, 직종에 따른 일 만족도의 효과를 살펴본 연구는 없었다. 특히 대부분의 중장년이 생산직이나 단순노무직 등과 같은 비전문직종에 종사하고 있는데, 이들이 자신의 이전 일 경험과 지식을 지속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더 나은 곳에서 안정적으로 경력유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직종에 대한 기회의 접근성을 제고하기 위해 직종의 영향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취업 이후 중장년의 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일자리 특성 변인 중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무엇인가? 둘째, 직종은 중장년의 재취업 영향요인과 일 만족도 사이에 조절효과를 갖는가? 이처럼 재취업 이후의 중장년의 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 및 일자리 특성 변인으로 구분하였으며, 조절변인으로는 직종을 투입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하여 한국노동연구원에서 제공하는 한국노동패널조사(KLIPS: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의 23차년도 자료와 SPSS Statistic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본 연구의 주제와 관련하여 현재 일자리가 재취업한 일자리라고 응답한 중장년으로 한정하였고, 분석에 활용한 변인 중 결측치가 있는 2명을 제외하고 최종 150명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종속변인은 일 만족도를, 독립변인에서는 개인 특성 및 일자리 특성 변인으로 구성하여 변인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조절변인에 직종을 전문직종과 비전문직종으로 구분해 투입하여 유의미한 영향요인과 일 만족도 사이에서 조절하는 효과를 가지는지 살펴보았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취업 이후 중장년의 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특성 변인 중 연령이 높을수록,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일자리 특성 변인 중에서는 종사상지위가 일용직 및 임시직일수록, 월평균 임금이 높을수록 일 만족도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조절변인으로 직종을 투입한 결과 건강상태가 유의하게 나타났는데, 즉 전문직종일 때 비전문직종보다 건강상태가 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강화시킨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였다. 먼저 연령이 높을수록 일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것은, 재취업 과정에서의 연령차별 경험 및 일자리의 다양성 부족으로 현재 일자리를 더욱 긍정적으로 평가하게 되어 자연스럽게 만족도가 높아질 수 있다. 둘째, 건강상태가 높을수록 일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것은 건강해야만 일을 계속하여 임금을 받을 수 있기에, 스스로를 더욱 건강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셋째, 월평균 임금이 높을수록 일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것은, 중장년의 대부분이 생계를 목적으로 노동을 지속하고 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종사상지위에서 임시직 및 일용직일 경우 일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것에 대해서,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재취업 일자리의 다양성이 부족하여 근무환경이 힘들 정도가 아니면 긍정적으로 받아들인다고 보았다. 또한, 중장년의 특성에 따라 계속 일하는 이유가 사회적 소속감을 획득하기 위해 일 자체에 의미를 두었기 때문에, 시간적인 면에서 비교적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임시직 및 일용직에서 일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해석하였다. 더불어 전문관리직종과 비전문직종으로 나누어 직종에 따른 조절효과분석 결과 건강상태가 유의하게 나타났는데, 즉 전문관리직일수록 그 외의 직종보다 건강상태가 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강화시킨다. 중장년층은 연령의 특성상 노화를 경험하기 때문에 신체적 피로와 부담을 빨리 느끼므로, 육체적 노동이 적은 일자리일수록 재취업 일자리에서의 일 만족도가 높아짐을 의미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문적 및 실천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학문적 시사점으로는 첫째, 중장년의 연령대 속에서도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에, 초기 및 후기 중장년으로 대상자를 세분화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둘째, 현재 재취업 일자리가 주된 일자리와 같은 직종인지 아니면 다른 직종에 재취업한 것인지 구분하고, 나아가 종사하고 있는 이유가 무엇인지 함께 고려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실천적 시사점으로는 첫째, 중장년의 경제활동이 지속할 수 있도록 노동시장 속 고령친화적인 분위기를 조성할 필요가 있다. 둘째, 중장년의 건강상태가 증진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셋째, 중장년의 개별 특성에 따라 구체적인 교육 및 제도적 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재취업 임금근로자인 중장년의 표본 수가 150명이므로, 연구결과를 해석할 때 재취업 중장년의 일반적 특성으로 확대하기에 한계가 있다. 둘째, 한국노동패널의 최신 데이터인 제 23차 자료만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셋째, 임금근로에 재취업한 중장년을 대상으로 했기 때문에 비임금근로에 종사하고 있는 중장년의 일 만족도에 대해서는 분석할 수 없었다. ;As our society is rapidly entering a super-aged society due to low birth rate and an aging population, the provision of labor for the elderly population is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future economic growth. The key is to continuously utilize the middle-aged labor force, the core generation that has led the economic growth of our society. Currently, middle-aged people make up the largest proportion of the population, and the proportion of people who continue to engage in economic activities in the labor market after the age of 50 is increasing. Considering that the average retirement age is 49.3 years, these workers are likely to hope to maintain their career through re-employment even after leaving their previous job. Thus, various studies focusing on re-employment for middle-aged workers have been conducted in Korea. Studies analyzing factors affecting re-employment decisions were greatest in number; their results identified significant factors in re-employment decisions and provided policy-related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 addition, some studies examined how to revitalize the employment of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with a focus on quality over quantity so that older individuals can maintain their livelihood for a long time. Finally, through analysis of re-employment programs aiming to develop experience and professional skills of middle-aged people, vocational training has been found to be helpful for middle-aged and older people preparing for a job change or for re-employment and ought to be expanded upon. However, it is unknown whether middle-aged people remain in their re-employed job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nsure the diversity of jobs available to middle-aged people seeking re-employment so as to offer high-quality positions, but there have been no studies examining job satisfaction by job type, and, notably, there have been no studies examining the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between those with professional versus non-professional occupations. Since the majority of middle-aged people are employed in less desirable and unstable positions with low wages, it is necessary to confirm that they are satisfied with their re-employed jobs and continue to have stable employment.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ich of the individual and job-specific variables that affect the work satisfaction of middle-aged people after re-employment are significant? Second, does occupational type have a moderating effect between variables tha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As such, the factors influencing the work satisfaction of middle-aged people after re-employment were classified into individual and job-specific variables, and occupational type was input as a moderating variable. For the analysis of this study, data from the 23rd year of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KLIPS) provided by the Korea Labor Institute were us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middle-aged people who have been re-employed for their current jobs. The dependent variable was job satisfaction,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composed of individual and job-specific variables, and the influence of the variables was analyzed. In addition, by dividing occupations into professional and non-professional occupations as moderator variables, whether there was a moderating effect between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and work satisfaction was examin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 discussions were made. First, the higher the age,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This is due to the experience of age discrimination in the re-employment process and the lack of job diversity, which can lead to a more positive evaluation of the current job, which can naturally increase job satisfaction. Second, the better the health,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It is only possible to continue to work and receive wages when healthy, so these subjects may judge themselves as healthier. Third, the higher the average monthly wage,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a finding that can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most middle-aged and older people continue to work for the purpose of making a living. Lastly, regarding the high level of job satisfaction in the case of temporary and daily workers in terms of occupational status, it was found that as age increases, diversity of re-employment jobs decreases, so jobs are viewed positively only except when the working environment is difficult. In addition, since middle-aged and older people continue to work for a sense of social belonging, their job satisfaction in temporary and daily jobs where they can use their time more freely is high. Also, as a result of the moderating effect analysis by occupation, classifying them into professional and non-professional occupations, health statu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other words, professional management positions have a stronger effect of health status on job satisfaction than other occupations. Middle-aged people, characteristic of their age, feel physical fatigue and burden quickly due to having experienced aging, so job satisfaction with re-employment increases as the job involves less physical labor.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as an academic implication, since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age range of middle-aged peopl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subjects by segmenting them into people in their early and late middle-ages. Second, it is necessary to differentiate between whether the current position gained through reemployment is different or the same as their main job, and furthermore, consider the reason for re-employment. As for practical implicat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age-friendly atmosphere in the labor market so that middle-aged people can continue their economic activities. Second, support should be provided to improve the health of middle-aged people. Third, education and institutional arrangements specific to characteristics of the middle-aged are neede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ince the sample of middle-aged wage workers is 150, there is a limit to expanding findings in the sample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middle-aged re-employment when interpreting the research results. Second, only the latest data, the 23rd year, of the Korea Labor Panel was used for analysis. Third, since the target was the middle-aged who were re-employed as paid workers, analyzing the job satisfaction of the middle-aged who were engaged in non-wage work was impossibl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