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10 Download: 0

인공와우이식 영유아 부모의 양적 및 질적 언어입력 변화에 관한 종단연구

Title
인공와우이식 영유아 부모의 양적 및 질적 언어입력 변화에 관한 종단연구
Other Titles
Quantity and Quality of Parental Linguistic Input to young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 A Longitudinal Study
Authors
이다예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영미
Abstract
생후 1-2년 시기의 아동은 대부분 가족 구성원의 보살핌을 받게 되며, 특히 부모가 제공하는 초기 언어 환경은 영유아의 언어 발달을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Ambrose et al., 2015; Anderson et al., 2021; Belsky et al., 2007; Vygotsky, 1978). 부모의 언어적 입력은 크게 양(quantity)과 질(quality)로 구분되 며, 두 가지 요소 모두 아동의 언어 발달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Ambrose et al., 2015; Anderson et al., 2021; Hart & Risley, 1995). 예를 들어, 부모가 더 많은 언 어입력을 제공한 아동일수록 더 빠른 어휘 성장을 보이고 부모의 양적 언어입력 을 바탕으로 2-3세 아동의 언어 능력을 예측할 수 있다고 한다(Hart & Risley, 1995). 질적인 언어입력 역시 건청 아동과 난청 아동의 언어발달에 밀접한 관계를 나타내며, 특히 아동의 어휘 발달을 예측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음을 밝혔다 (DesJardin & Eisenberg, 2007, Dirks et al., 2020; Huttenlocher et al., 2010). 인공 와우이식 영유아의 언어 능력과 부모가 사용하는 언어촉진전략 간 관계를 연구한 DesJardin & Eisenberg (2007)는 어머니의 상위 수준의 언어촉진전략과 인공와우 이식 영유아 언어 능력 간에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밝혔으며, 난청 아동 부모의 질적인 언어입력은 난청 영유아의 표현 어휘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낸다고 설명 하였다(Dirks et al., 2020). 또한 부모의 심성어휘 사용이 중요한 이유는 난청 영유 아의 경우 초기 언어 발달에 영향을 주는 마음이론 과제에 어려움을 나타내거나 종종 틀린 마음이론 과제를 통과하지 못하는데 이는 언어 중심적 상호작용의 기 회가 대체로 제한되어있기 때문라고 설명한다(de Villiers & de Villiers 1999, Peterson & siege 1995). Dirks 외 (2020)는 난청 영유아 부모가 건청 영유아 부모 에 비해 더 적은 심성어휘 사용이 나타났으며, 이를 토대로 난청 영유아는 건청 영유아에 비해 복잡한 어휘와 추상적인 어휘가 결핍된 초기 언어 환경에 놓여진 것을 추측할 수 있다. 난청 영유아의 경우, 제한적 듣기 능력으로 인해 건청 영유아와 같은 양 의 청각 정보에 노출되어도 동일한 수준의 정보를 얻을 수 없으며(Lund, 2018, VanDam et al., 2018), 이로 인해 아동의 청력 손실 정도가 중증일수록 상위 수준 의 언어에 더 적게 노출될 수 있다(Dirks et al., 2020). 이에 따라 난청 영유의 원활한 언어발달을 위해서는 부모가 참여하는 조기 중재의 역할이 강조된다 (Lederberg, 2003). 그러나 난청 영유아 부모의 90%는 건청으로, 부모와 영유아 간 청력 불일치로 인한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성공적인 상호작용 경험에 제한이 된다 (Mitchell & Karchmer, 2004).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총 세 차례(초기 방문, 6개월 후 방문, 12개월 후 방문)의 부모-영유아 상호작용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를 살펴보면, 초 기방문 시점에는 인공와우 이식 영유아 부모 16쌍, 건청 영유아 부모 17쌍이 참여 하였으며, 6개월 후 방문 시점은 12쌍, 17쌍, 12개월 후 방문 시점은 10쌍, 8쌍이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점이 변화에 따라 인공와우이식 영유아 부모의 양적 언어입력(총 발화 수, 총 낱말 수)과 질적 언어입력(다른 낱말 수, 심성어휘 사용 비율, 언어촉진전략 사용 비율)의 특성을 건청 영유아 부모와 비교하고, 인공와우 이식 영유아의 언어발달에 영향을 주는 언어입력 요소가 무엇인지 확인하고자 한 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총 발화 수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시점 간 차 이도 유의하지 않았다. 반면, 집단과 시점에 따른 이차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였 다. 즉, 12개월 후 방문시점(이하: T3)에 비해서 초기방문 시점(이하: T1)에서 인공 와우이식 영유아 부모가 건청 영유아 부모에 비해 유의하게 더 많은 양의 발화를 산출하였다. 이는 인공와우이식 영유아 부모는 T1에서 건청 영유아 부모에 비해 더 많은 발화를 사용하여 아동과 상호작용하지만, 점점 시간이 지나면서 건청 영 유아 부모와 유사한 양의 발화를 산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부모의 총 낱말 수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시점 간 차이도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집단과 시점에 따른 이차 상호작용 효과도 유의하지 않았 다. 즉, 인공와우이식 영유아 부모와 건청 영유아 부모는 시점의 변화와 관계없이 유사한 양의 낱말을 사용하여 아동과 상호작용 하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부모의 다른 낱말 수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시점 간 다른 낱말 수 사용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시점에 대한 주효과는 T1에 서만 나타났다. 집단과 시점에 따른 이차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즉, 시점을 배제한 전체 다른 낱말 수는 건청 영유아 부모 집단이 인공와우이식 영유 아 집단에 비해 더 많이 사용하며, 전체 다른 낱말 수 사용은 T3에 비해 T1에서 유의하게 더 적게 사용한다. 이차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나서, 시점 의 변화에 따라 두 집단 간 비슷한 양의 다양한 어휘를 사용하여 아동과 상호작용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부모의 심성어휘 사용 비율은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시점에 대한 심성어휘 사용 비율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시점에 대한 주효과는 T1에서 만 나타났다. 집단과 시점에 따른 이차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즉, 인 공와우이식 영유아 부모와 건청 영유아 부모는 T3에 비해 T1에서 더 적은 심성어 휘 사용을 의미하며, 시점의 변화에 따라 두 집단 간 심성어휘 사용 비율에 차이 가 없는 것을 나타낸다. 이를 통해 시점이 6개월 간격으로 증가할수록 두 집단의 심성어휘 사용 비율이 유사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띠는 것을 알 수 있다. 부모의 하위 수준의 언어촉진전략(지시하기, 폐쇄형질문) 사용 비율은 집 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시점 간 하위 수준의 언어촉진전략 사용 비율은 유 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인공와우이식 영유아 부모와 건청 영유아 부모는 T3에 비해 T1에서 더 높은 하위 수준의 언어촉진전략을 사용하였다. 집단과 시점에 대 한 이차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시점의 변화에 따라 두 집단 간 하위 수준의 언어촉진전략 사용 비율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시점이 6개월 간격으로 증가할수록 두 집단 모두 하위 수준의 언어촉진전략 사용 비율이 비슷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띠는 것을 알 수 있다. 부모의 상위 수준의 언어촉진전략 사용 비율은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 었다. 이는 인공와우이식 영유아 부모가 건청 영유아 부모에 비해 유의하게 더 많 이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시점 에 따른 상위 수준의 언어촉진전략 사용 비율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시점 에 대한 주 효과는 T1과 6개월 후 방문 시점(이하: T2)에서 나타났다. 집단과 시 점에 대한 이차 상호작용 효과도 유의하였다. 즉, 전체 상위 수준의 언어촉진전략 사용은 T3에 비해 T1와 T2에서 유의하게 더 적게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시점의 변화에 따라 두 집단 간 상위 수준의 언어촉진전략 사용 비율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T1과 T2모두 건청 영유아 부모가 인공와우이식 영유아 부모에 비해 더 많은 빈도로 상위 수준의 언어촉진전략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각 시점별 인공와우이식 영유아 부모의 언어적 입력 특성과 인공와 우이식 영유아의 언어 능력 간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T1에서는 부모의 양적 입력인 총 단어 수와 아동의 수용언어 능력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질적 언어입력인 다른 낱말 수와 영유아의 표현언어 능력 간 정적 상 관관계가 나타났다. T2에서는 부모의 양적 언어입력과 아동의 언어 능력 간 유의 한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부모의 질적 언어입력 중 심성어휘 사용 비율 과 아동의 표현 언어 능력 간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T3에서는 부모의 양적 언어입력과 아동의 언어 능력 간 유의한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부모의 질적 언어입력 중 다른 낱말 수 사용 비율과 아동의 수용언어 능력 간 정적 상관 관계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부모의 질적 언어입력이 양적 언어입력에 비해 인공 와우이식 영유아 아동의 언어 발달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을 알 수 있 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인공와우이식 영유아의 언어 능력이 발달함에 따 라 부모의 언어입력이 어떤 양상으로 변화하는지 확인하고 정상 언어발달을 하는 건청 영유아 부모의 언어입력과 비교함으로써 인공와우이식 영유아 부모의 고유 한 언어적 입력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Most children aged 1-2 years are cared for by family members. The early language environment provided by parents make an important role in language development for infants and toddlers (Ambrose et al., 2015; Anderson et al., 2021; Belsky et al., 2007; Vygotsky, 1978). The linguistic input of parents could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quantity and quality (Ambrose et al., 2015). Both factors are closely related to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Ambrose et al., 2015; Anderson et al., 2021; Hart & Risley, 1995). For example, a child whose parents provide a large amount of language input shows faster vocabulary growth and can predict the language ability of 2- to 3-year-olds based on their parents' quantitative language input (Hart & Risley, 1995). Qualitative language input also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language development in deaf and hearing-impaired children. This can predict the vocabulary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DesJardin & Eisenberg, 2007, Dirks et al., 2020; Huttenlocher et al., 2010). DesJardin & Eisenberg (2007), who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anguage ability of infants and their parents' language promotion strategies, explained that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mother's high-level language facilitative strategy (FLT) and the language input of children with hearing loss (Dirks et al., 2020). It is also explained that the use of mental state words by parents is important because infants and toddlers with hearing impairment often fail to pass the mind theory task that affects early language development (Peterson & sage, 1995). Dirks et al. (2020) estimated that hearing-impaired infants and toddlers used fewer mental state words than hearing-impaired infants and toddlers, and based on this, hearing-impaired infants were placed in an early language environment that lacked complex and abstract vocabulary compared to hearing-impaired infants. Even though hard-of-hearing infants are exposed to the same amount of hearing information as typical hearing infants, they cannot fully obtain the same quantity of information (Lund, 2018, VanDam et al., 2018), which results in less exposure to higher-level languages (Dirks et al., 2020). Accordingly, the role of early intervention involving parents is emphasized for the smooth language development of infants and children with hearing loss (Lederberg, 2003). However, 90% of parents of hard-of-hearing infants are typical hearing, and this “mismatch” between the hearing status of the child and parent limits their experience of effective communication and successful interaction due to hearing mismatch between parents and infants (Michel & Karchmer, 2004). In this study, a total of three parent-infant interaction evaluations were conducted (initial visit, after 6 months, and after 12 months). Looking at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16 pairs of parents of infants with a cochlear implant and 17 pairs of parents with hearing and hearing infants participated at the time of the initial visit, and 12 pairs, 17 pairs, and 10 and 8 pairs visited after 12 month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quantitative language input (total number of utterances, total number of words) and qualitative language input (number of words, mental state words, language facilitative strategy) of cochlear implant infants at the time chan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e total number of utterances of parents, and the difference between points of time was not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the interaction effect according to the group and time was significant. That is, at the time of the initial visit (hereinafter referred to as T1) compared to the time of 12 months later visit, the parents of cochlear implant infants produced a significantly higher amount of utterances than those of hearing infants and children. This means that parents of cochlear implant infants interact with children using more speech than parents of hearing infants in T1, but over time, they produce a similar amount of speech to hearing infants and par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e total number of words of parent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ime points was not significant. In addition, the interaction effect according to the group and time was not significant. In other words, it means that parents of cochlear implant infants and parents of hearing infants and children interact with children using similar amounts of words regardless of the change in time.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e number of different words of parents.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se of different words between points of view, and the main effect on points of view was only found in T1. The secondary interaction effect according to group and point of view was not significant. In other words, the total number of other words excluding the point of view is used more by the hearing infant-parent group than by the artificial woo transplant infant group, and the total number of other words is significantly less used in T1 than in T3. The secondary interaction effect was not significant, and it was confirmed that it interacted with children using a similar amount of various vocabulary between the two groups according to the change of viewpoi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e ratio of parents' use of mental state word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tio of mental state words used at different time points, and the main effect on the time was only found in T1. The interaction effect according to group and point of view was not significant. In other words, cochlear implant infant parents and typical hearing infant parents produce fewer mental state words in T1 than in T3, indicating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use of mental state words between the two groups according to the change of time.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as the time point changes at intervals of 6 months, the ratio of psychological vocabulary use of the two groups tends to increase similar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e use of facilitative language strategies (directing, closed question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tio of use of facilitative language strategies at the lower level between points of time. In other words, parents of cochlear implant infants and parents of hearing infants used a lower-level language promotion strategy at T1 compared to T3. The interaction effect on the group and time was not significant. It means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se of lower-level facilitative language strategies between the two groups according to the change of time.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as the time point changes every six months, the lower-level facilitative language strategies in both groups tend to decrease similar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e use of higher-level facilitative language strategies. This means that parents of CI use it significantly more than parents of T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se of language promotion strategies at the upper level according to the time point. The main effect on the time point was T1 and at the time of visit after 6 month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2). The interaction effect on the group and time point was also significant. In other words, the use of higher-level facilitative language strategies was significantly less used in T1 and T2 than in T3.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se of higher-level facilitative language strategies between the two groups, and both T1 and T2 mean that parents of TH use higher-level facilitative language strategies more frequently than parents of CI. Third, th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parental language input and the children's language ability. As a result, T1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NTW and receptive children's language ability. Also, NDW, which is qualitative language input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children's receptive language ability. In T2,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arents' quantitative language input and the language ability of CI, a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arents’ use of mental state words and children's expressive language ability. In T3,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arents' quantitative language input and children's language ability, a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ercentage of other words used in parents' qualitative language input and children's acceptance of language ability.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qualitative language input of parents has a more positive effect on the language development of infants and toddlers with CI compared to quantitative language input.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give information and depth of understanding about how the parental language input of CI changes as CI children develop their language ability by comparing the parental language input of typical hearing childre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