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17 Download: 0

비교격 어순 유형이 노년층의 청각적 문장 이해에 미치는 영향

Title
비교격 어순 유형이 노년층의 청각적 문장 이해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nfluence of Word Order in Comparative Sentences on Auditory Sentence Comprehension in Older Adults
Authors
황지현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성지은
Abstract
본 연구는 증가하는 노년 인구와 함께 노화에 따른 의사소통 능력 변화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노화가 청각적 문장 이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청각적 문장 이해를 위해서는 분절, 초분절적 요소부터 문장 내에 담긴 구문적, 의미적 정보까지 짧은 시간안에 처리가 이루어져야 한다(Friederici, 2002). 그렇기에 이 수행은 다양한 인지, 언어적 요소에 영향을 받으며, 구문의 복잡성이나 문장 길이, 말속도, 의미적 중의성과 같이 요구되는 인지, 언어적 부담 수준이 높아질수록 청각적 문장 이해의 어려움은 커지게 된다(Thornton & Light, 2006; Waters & Caplan, 2005). 이 과정에서, 문장 내 어순도 청각적 문장 이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어순이란 문장 내 성분의 배열 순서로, 한국어는 주어-목적어-서술어 배열을 전형적인 어순으로 가지며 격표지를 밝힘으로써 어순 배열이 비교적 자유로운 자유 어순 언어(free word order)이다. 하지만 특정 어순에 대한 선호도가 존재하여 그에 따른 처리는 달라질 수 있으며(Comrie, 1981), 비선호 어순 처리에는 인지적 부담이 부가될 수 있다(van Boxtel & Lawyer, 2021; Davis & Ball, 1989). 현재 노화로 인한 문장 이해 수행 및 전략을 확인하는 변인으로 다양한 연구들이 어순에 따른 차이를 보고하고 있다. 영어권에서는 관계절 문장의 어순 도치(Caplan et al., 2011; Waters & Caplan, 2001), 국내에서는 능동/피동문, 여격/대격 등의 다양한 문장구조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Sung, 2015; Yoo & Sung, 2018). 본 연구에서는 비교 구문 ‘강아지보다 고양이가 크다’와 ‘고양이가 강아지보다 크다’와 같이 어순이 다른 비교격 문장 형식을 사용하였다. 이때, 비교되는 두 비교대상이 문장 내에서 서술어보다 앞서는 한, 특정한 어순은 정해지지 않으며 어순이 달라져도 그 의미는 변하지 않는다(하길종, 1999). 연구에는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청년층 26명, 노년층 26명이 참여하였다. 실험 자극은 서술어 전의 두 명사구 어순을 바꾼 두가지 유형으로, 각 16문항 총 32문항이었다. 실험 방법은 시선추적의 Visual World Paradigm 방법을 사용하여, 컴퓨터 화면에 제시되는 두 개의 그림(목표그림, 방해그림)을 보며 동시에 문장을 듣고, 정답에 해당하는 키보드 버튼을 눌러 응답하도록 하였다. 분석은 비교격 어순 유형에 따른 집단(청년층, 노년층) 간 수행의 측정 변수인 정반응률 및 반응시간, 그리고 각 구간마다의 TA 점수(목표자극 시선선호점수)를 이원분산분석(Two-way mixed ANOVA)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정반응률에서는 집단 간 주효과가 유의하였다. 청년층의 과제 정반응률이 노년층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반응시간에서는 집단에 따른 주효과와 집단과 비교격 어순 유형 간 이차상호작용이 유의하였다. 청년층의 응답 반응시간이 노년층보다 유의하게 빨랐으며, 주격 우선 유형에서의 청년층과 노년층의 반응시간 차이가 비교격 우선 유형에서의 집단 간 차이보다 유의하게 컸다. TA 점수에서는 문장의 마지막 구간인 AdjP 구간에서 집단과 어순 간 이차상호작용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년층의 비교격 어순과 주격 어순에서의 시선선호점수 차이는 청년층의 주격 어순과 비교격 어순에서의 시선선호점수 차이보다 유의하게 컸다. 이로써 비교격 문장으로 연령에 따른 청각적 문장 이해의 수행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노화에 따라 인지 처리속도, 주의 집중력, 작업기억 등 문장 이해에 요구되는 인지 능력의 저하(Obler & Albert, 1981; Waters & Caplan, 2005)에 따라 나타난 결과라 해석할 수 있다. 한편, 문장 처리에 있어 노년층은 청년층과는 다른 시선선호 양상을 띄었다. 어순 차이에 따른 문장 구조 변화는 주어와 서술어 간의 거리 차이를 낳으며, 이 때문에 비교격 우선 문장 처리에는 주격 우선 문장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인지적 부담이 요구된다. 이에 노년층은 비교격 우선 문장 처리에서 인지 처리 속도와 처리 효율의 이점을 받았으며, 이것이 시선선호에 반영되었다고 해석할 수 있다. 그에 반해 청년층은 노년층에 비해 그 영향이 크지 않았는데, 청년층은 상대적으로 문장 처리에 필요한 인지적 자원이 노년층보다 충분하기 때문에(Salthouse, 1990), 어순의 차이에 노년층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이로써 연령 집단 간 어순에 따른 청각적 문장 이해 양상의 차이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word order effect on auditory sentence comprehension. For successful auditory sentence comprehension, information from segmental and suprasegmental elements to syntactic and semantic in the sentence should be processed in a short amount of time(Friederici, 2002). This performance is affected by the interaction of various cognitive and linguistic factors. The higher the level of cognitive and linguistic burden required, such as from syntax complexity, sentence length, speech rate, and semantic ambiguity, the greater the difficulty of auditory sentence comprehension(Craik & Salthouse, 2008). In this process, the word order in sentences can also be a factor that can affect auditory sentence comprehension. Korean takes a subject-object-verb (SOV) arrangement as a typical word order but takes relatively free word order due to the case marker attached to the noun phrase. However, there is still canonicity in word order and preferences that may make differences in sentence processing(Comrie, 1981). Also, cognitive burden may greatly result from non-preferred word order(van Boxtel & Lawyer, 2021; Davis & Ball, 1989). In this study, the sentence construction type which was used to see the difference between the younger and older group was a comparative construction with two different word order forms, such as 'Cat-than dog-NOM big’ and 'Dog-NOM cat-than big’, which means ‘A dog is bigger than a cat’ for both sentences. As long as the two compared nouns precede the predicate at the end of the sentence, its meaning does not change even if the word order is changed (Ha, 1999). In this experiment, 26 younger adults and 26 older adults had participated. All the participants used Korean as their first language. Each sentence type (nominative first, comparative first) has 16 comparative sentences, so a total of 32 sentences were used as stimuli. Visual world paradigm method of eye-tracking was used for the experiment. The participants listened to the sentences while looking at the two pictures (a target and a foil) on the monitor and pressed a keyboard button to choose an answer corresponding to the button of each pictur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accuracy, reaction time and TA (target advantage) score for each phrase of the sentence within word order type and between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for the accuracy, there was a significant main effect between groups and between word order types. The younger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percentage of right answers than that of the older group. For the reaction time, the main effect between the groups and the two-way interaction between the groups and word order types was significant. The younger group was significantly faster than that older group,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the nominative first type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of comparative first type. For the TA score, the two-way interaction between groups and word order was significant in the AdjP phrase, which was the last part of the sentence. The difference in target advantage score between word order types for the elderly group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e difference for the younger group. From these results, it is possible to see the differences in performance, preferences in word order and comprehension strategies according to age using comparative sentences. The results of poorer performance in accuracy and reaction time in older adults can be interpreted as a result of the decline in cognitive ability such as processing speed, attention, and working memory, which are required to understand sentences successfully(Obler & Albert, 1981; Waters & Kaplan 2005). On the other hand, the older group showed a different target preference compared to the younger group. The distance between the subject and the predicate is different for each word order type. The distance between them for the comparative first type is shorter than for the nominative first type. The shorter distance with the comparative first reduces the cognitive burden for processing. Therefore, the elderly group got an advantage from this structure in processing speed and cognitive efficiency. It is assumed that this may be the reason why the older adults showed higher TA score in comparative first type. However, the advantage that younger group got from the word order was significantly smaller than older, and the reason for this is because younger group already have enough cognitive resources for processing sentences, relatively bigger than older adults(Salthouse, 1990). Therefore, the word order itself did not affect their sentence processing significantly. As a conclusion, it was possible to see the difference between age groups of preferred word order and strategies for understanding comparative sente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