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97 Download: 0

위치-상황 기반 SGD AAC 중재가 복합적인 의사소통 요구가 있는 청소년의 의사소통 기술 습득에 미치는 효과

Title
위치-상황 기반 SGD AAC 중재가 복합적인 의사소통 요구가 있는 청소년의 의사소통 기술 습득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 of Location and Context-Based SGD AAC Interventions on the Acquisition of Communication Skills in Adolescents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Authors
한나경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태
Abstract
복합적인 의사소통 요구(Complex Communication Needs;이하 CCN)가 있는 사람 중 청소년 시기에 있는 사람들은 연령의 특성상 사회에 통합해 나가야 하는 시기이다. 사회에 통합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내 환경에 적응을 해야하며 이때, 의사소통 능력이 요구된다. 그러나 CCN 청소년들의 경우 정상 발달을 하는 또래에 비해 구어로만 의사소통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는다. 이러한 대상자들에게 제시되는 방법이 보완대체의사소통(Augmentative Alternative Communication; 이하 AAC)이다. AAC 접근 방식은 CCN 대상자들에게 의사소통을 위해 비구어적인 방식으로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 Wilkinson & Henning(2007)의 선행연구에 따르면, AAC 중재는 장애를 가진 대상자들에게 다양한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 AAC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고 사용방법도 다르다. AAC를 사용하여 실질적인 이득을 얻기 위해서는 AAC를 사용할 대상자의 요구와 능력을 파악하여 그에 적합한 AAC 체계를 선택하여야 한다(Dietz, Quach, Lund & Mckelvey, 2012). 또한, 사용자에게 적합한 AAC 체계를 선택하였다 하더라도, 효과적인 AAC 사용을 위해서는 AAC에 대한 적절한 중재가 제공되어야 한다. 다양한 AAC 체계 중 전자적 장치를 내장하고 있는 High-tech AAC에는 음성 출력이 가능한 기기가 있다. 이는SGD(Speech Generating Device) AAC라고 하며, 사용자가 상징을 선택한 경우 선택한 상징에 대한 음성이 출력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SGD AAC를 사용하였다. 위치-상황 기반 SGD AAC로는 GPS와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의사소통 보드가 제공되는 Cho와 Hong(2020)의 ‘GeoAAC’를 사용하였다. GeoAAC의 특정 장소에 대한 의사소통 보드의 상징은 그 위치에서 발생 가능한 상황에 대한 표현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성별 및 연령에 맞추어 음성 출력이 가능하다. 기존 SGD AAC로는 사용자의 일상생활 장소(학교, 병원, 지역사회 등)와 위계적 범주(음식, 동물, 숫자 등)로 의사소통 보드가 구성된 엔씨소프트사의 ‘나의 AAC(일반 ver.)’을 사용하였다. ‘나의 AAC(일반 ver.)’도 음성 출력이 가능하지만, 음성 출력 속도 외에는 설정을 변경할 수 없다. 또한, CCN 청소년들의 경우 지역사회 내 장소에서 일어날 수 있는 상황에 대해 이해하고, 상대방의 질문에 대해 AAC를 사용하여 단어 수준으로 표현하는 것뿐 만이 아니라 상징을 조합하여 구문으로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스크립트를 활용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CCN 청소년에게 위치와 상황을 기반으로 하는 SGD AAC 중재와 기존 SGD AAC 중재 중 어떤 중재가 지역사회 내 장소인 카페나 약국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의 의사소통 기술 증진에 더 효과적인지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청소년기에 있는 만 9세~만 18세 사이의 CCN 4명이며, 가정 내 독립적인 공간에서 두 가지 중재를 실시하였다. 연구 설계는 교대 중재 설계(Alternating Treatment Design; ATD)로, 한 대상자에게 두 중재 방법을 교대로 하며 적용하였고, 실험은 기초선, 중재, 복제 단계로 진행되었다. 복제 단계까지 마무리한 이후에는 효과성이 좋았던 중재 방법을 활용하여 지역사회 내 실제 장소에 나가 의사소통을 한 후 장소 일반화에도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치-상황 기반 SGD AAC와 기존 SGD AAC를 사용한 중재를 교대로 실시 하였을 때, 4명의 CCN 청소년 대상자 모두 위치-상황 기반 SGD AAC 중재에서 더 큰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 1, 4는 Parker, Vannest, & Brown(2009)의 기준으로 위치-상황 기반 SGD AAC 중재와 기존 SGD AAC 중재의 중재 단계 IRD를 비교하였을 때, 위치-상황 기반 SGD AAC 중재 방법은 모두 0.75로 .75 이상에 해당되어 매우 큰 효과 크기를 나타내었으며, 기존 SGD AAC 중재 방법은 모두 0.67로 .50-.70 사이에 해당되어 중간 크기의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위치-상황 기반 SGD AAC 중재 방법이 기존 SGD AAC 중재 방법보다 더 큰 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대상자 2는 위치-상황 기반 SGD AAC 중재 방법은 0.70으로 .70-.75 사이에 해당되어 큰 효과 크기를 나타내었으며, 기존 SGD AAC 중재 방법은 0.50으로 .50이하에 해당되어 약한 효과 크기를 나타냈다. 따라서 위치-상황 기반 SGD AAC의 중재가 더 효과적이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대상자 3은 위치-상황 기반 SGD AAC 중재 IRD 1.00, 기존 SGD AAC 중재 IRD 0.91로 두 중재의 IRD가 모두 .75이상에 해당되어 매우 큰 효과 크기를 갖지만, 위치-상황 기반 SGD AAC 중재 방법의 IRD가 기존 SGD AAC 중재 방법보다 근소한 차이로 더 큰 효과 크기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두 가지 중재 중 더 효과적이었던 중재의 실제 장소에 대한 일반화는 모두 효과가 있었다. 중재 전보다 대상자는 실제 장소에 가서 표현하는 발화의 횟수가 많아졌으며, 연구공간이 아닌 실제 지역사회에서 연구자가 아닌 타인과 의사소통 한다는 점에 있어 장소 일반화에 대한 의의가 있다. 지금까지 정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위치-상황 기반 SGD AAC와 기존 SGD AAC를 사용한 중재가 CCN 청소년의 지역사회 내 의사소통 표현 정확도를 증가시키고, 연구공간이 아닌 실제 지역사회 내 대화 상황에서도 의사소통에 대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CCN 청소년들이 지역사회에 통합되기 위해 두 가지 AAC 도구를 활용하여 의사소통 표현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고, 특히, 위치-상황 기반 SGD AAC는 장소로의 일반화도 일어났음을 보여주었다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를 둔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ompare the location and context-based SGD AAC interventions and the existing SGD AAC interventions in Complex Communication Needs (CCN) adolescents, which are more effective in enhancing communication skills in situations that may occur in cafes or pharmacies in local commun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our CCN between the ages of 9 and 18 in adolescence, and two interventions were conducted in an independent space at home. The study design was Alternating Treatment Design (ATD), which applied two intervention methods alternately to one subject, and the experiment proceeded to the baseline, intervention, and replication stages. After completing the replication stage, it was checked whether it was effective in generalizing places after going to actual places in the community and communicating using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location and context-based SGD AAC and intervention using existing SGD AAC were conducted alternately, all four CCN adolescent subjects had increased communication expression accuracy in location and context-based SGD AAC intervention. Based on the IRD (Improvement Rate Difference) of Parker, Vanest, & Brown(2009), three subjects showed a very large effect size of 0.75 or more for location and context-based SGD AAC intervention, and one subject showed a large effect size level of 0.70. The performance in the intervention stage was the same in the replication stage, and the IRD in the replication stage was all 1.00, showing a very large effect size. Second, the generalization of the actual place of intervention, which was more effective among the two interventions, worked. Compared to before the intervention, the subject has increased the number of utterances expressed in the actual place, and it is meaningful to generalize the place in that it communicates with others, in the actual community, not researchers and in the research space. The results of the studies summarized so far show that intervention using location and context-based SGD AAC and existing SGD AAC increases the accuracy of communication expression in the community of CCN adolescents and has an effect on communication even in actual communication situations, not in the research space. This study identified the effect of CCN adolescents on communication expression accuracy using two AAC tools to integrate into the community, and in particular, location and context-based SGD AAC showed that generalization to places also occurr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