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45 Download: 0

현직 중등 음악 교사 재교육을 위한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전공 교육과정 재구성 방향성

Title
현직 중등 음악 교사 재교육을 위한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전공 교육과정 재구성 방향성
Other Titles
Directions for Restructuring Music Education Major Curriculum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for In-service Training of Secondary Music Teachers
Authors
강가연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주연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rection of restructuring the curriculum of music education majors in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for the retraining of in-service teachers based on the recognition and necessity of secondary music teacher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139 middle school music teachers across the country to find out the teachers’ perception and necessity of the current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s a in-service training institution, and the curriculum required for ncumbent middle school music teachers. In addi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specific causes and perceptions according to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d frequency analysis of the collected surveys and the answers of self-descriptive question from the perspective of in-service teachers. For the interview, questions on the perception and reality of current in-service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recognized as in-service teachers and the direction of in-service teacher training were also composed, Creswell's spiral analysis method was used for the collected in-depth interview data. The final research results derived from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secondary music teachers perceived the curriculum of music education major in the current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s institution rather than in-service teachers training For this reason, they did not show a desire to enter the graduate school.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implied that music education major for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and strengthened as a specialized institution for incumbent music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Second, what secondary music teachers expect through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retraining course is the curriculum and contents that can actually be used in the field. Teachers tended to perceive educational contents that could not be immediately applied to the field as unnecessary, a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elf-answered questions, it was revealed that the curriculum emphasizing the field required by in-service teachers was about 'teaching method'. In accordance with the need for improvement of competencies that can be directly reflected in the classroom, it was also sought to prepare a curriculum for practical skills in music majors other than one's own major, popular music, etc. In addition, incumbent teachers had a high need for educational policy reeducation such as school credit system and process-based evaluation in accordance with new curriculum changes, while perceived needs for newly emphasized educational content and technology such as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were not very high.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ree discuss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curriculum according to the necessity of the re-education area recognized by incumbent teachers and reorganize the system so that the credit completion process can be performed accordingly. For example, when you go to graduate school and aim to cultivate your ability to play various instruments, you should be able to provide classes by autonomousizing the method of completing lectures to retrain as much as you want and realize the purpose. To this end, various subjects that can meet the needs of incumbent teachers' re-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Second, since it is up to the individual will of the teacher to go to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external motivation should be provided to inspire the teacher's desire to cultivate professionalism by providing the re-education curriculum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en selecting a re-education course so that the willingness to actively understand and accept the new educational contents to be introduced in the field as the curriculum changes, external support should first be followed. Third,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en a teacher reconsiders his or her teaching expertise and goes on to develop it, he or she should develop and provide curriculums with high field suitability to teachers. Based on this study, it is hoped that follow-up research and development on strengthening the functions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reorganizing the curriculum will be carried out to develop the expertise of secondary music teachers and implement various music curriculums.;본 연구는 교육대학원의 교사 재교육 기관으로서 기능의 강화가 요구됨에 따라, 중등 음악 교사의 인식과 필요성을 바탕으로 현직교사 재교육을 위한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전공의 교육과정 재구성 방향성을 조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에 따라 전국의 중등 음악 교사 13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현행 교육대학원의 재교육 기관으로서의 교사 인식과 필요성, 현직 중등 음악 교사의 재교육을 위해 필요로 하는 교육과정을 알아보았다. 더불어, 수집된 설문조사의 기술통계 및 빈도분석, 자율 기술 문답 결과에 따른 구체적인 원인과 인식을 현직교사 관점에서 분석하기 위하여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와 더불어, 현직교사로서 인지하는 현행 교원재교육 기관에 대한 인식과 실태, 재교육의 방향성 등에 관한 질문도 함께 구성하였으며, 수집된 심층 인터뷰 자료는 크레스웰의 나선형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최종 연구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중등 음악 교사들은 현행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전공을 교사의 재교육을 위한 기능보다, 예비 교원을 양성하는 기관으로 그 기능이 강화된 기관으로 인식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교육대학원을 교사를 위한 재교육 기관으로서 인지하거나 진학하려는 욕구를 보이지 않았다. 교육부(2021b)의 교원양성체제 개편 정책 추진을 통한 교육대학원 기능 개편 계획에 따라, 현직 음악 교사의 교사 전문성을 고취 시킬 수 있는 전문기관으로 발전 및 강화되어야 함을 시사하였다. 둘째, 중등 음악 교사들이 교육대학원 재교육 과정을 통하여 기대하는 바는, 현장에 실제로 사용될 수 있는 교육과정 및 내용인 것으로 드러났다. 교사들은 현장에 바로 적용할 수 없는 재교육에 관해 불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자율 문답을 분석한 결과 현직교사가 요구하는 현장성이 강조된 교육과정은 ‘교수법’에 관한 것으로 드러났다. 교육 현장에 곧장 반영될 수 있는 역량 제고에 관한 필요성 요구에 따라, 본인 전공 외 타 음악 전공 실기 역량, 대중음악 등에 관한 교육과정 마련도 함께 간구 되었다. 더하여, 현직교사들은 새로운 교육과정 변화에 따른 교고학점제, 과정중심 평가 등의 교육정책 재교육에 관한 필요도가 높았던 반면, 세계시민교육, 생태전환교육 등과 같이 새롭게 강조되는 교육내용과 테크놀로지에 관한 교사 재교육을 통해 이를 이해하고 음악 교과 수업에 적용하는 것에 관한 인지는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라, 본 연구는 두 가지 논의를 시사하고자 한다. 첫째, 현직교사가 교육대학원에 진학하였을 때, 본인이 인지하는 재교육 영역의 필요성에 따라 교육과정을 결정하고, 이에 맞추어서 학점 이수 과정을 거칠 수 있는 체제 개편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가령, 교육대학원을 진학하여 여러 가지 실기 역량에 관한 함양을 목표로 하였을 때, 대학원 재학 기간 중 원하는 만큼 이와 관련한 재교육을 받고 교육목적을 실현할 수 있도록 이수 체계를 자율화하여 수업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교과목이 현직교사들의 재교육 요구에 맞게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교사가 교육대학원에 진학하는 것은 교사의 개별 의지에 달려 있으므로, 교육대학원의 재교육 교육과정을 제공함에 따라 교사의 전문성 함양 욕구를 고취하기 위한 외적 동기가 제공되어야 한다. 교육과정이 변화하면서 새롭게 현장에 도입해야 하는 교육내용을 적극적으로 이해하고 수용하고자 하는 의지가 형성될 수 있도록 재교육 과정을 선택하였을 때, 외부적인 지원이 우선 따라야 할 것이다. 또한, 교육대학원에서는 교사가 본인의 교수 전문성에 관해 재고하고 이를 개발할 목적으로 진학하였을 때, 교사에게 현장 적합성이 높은 교육과정들을 개발하여 제공해야 할 것이다. 해당 연구를 기초로 하여, 교육대학원의 교사 재교육을 위한 기능 강화 및 교육과정 재편에 관한 후속 연구와 개발이 이루어져, 중등 음악 교사들의 전문성 발달과 다양한 음악 교과 수업 실행에 많은 발전이 이루어지길 희망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