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17 Download: 0

여성결혼이민자 대상의 수필을 활용한 문학치료 교육 방안 연구

Title
여성결혼이민자 대상의 수필을 활용한 문학치료 교육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Literary Therapy Education Method Using Essays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Authors
김나현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미혜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 거주 중인 여성결혼이민자 학습자 집단을 대상으로 수필 장르를 활용한 문학치료 교육의 구체적인 학습 방안을 마련하는 것에 있다. 이때 문학은 언어기능이나 문화 습득을 위한 수단으로써 활용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들로 하여금 문학 작품 자체를 교육적으로 향유할 수 있도록 지도하고자 한다. 더불어 문학치료의 관점에서 ‘학습자의 자기 이해를 통한 치유와 성장’을 목적으로 교육적이면서 치유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문학교육의 방안을 고안하고자 하였다. 결혼을 통해 한국에 거주하는 여성결혼이민자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언어 및 문화교육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어느 정도의 의사소통 능력과 문화 적응을 거치고 나면 이들이 진정 필요로 하는 것은 심리·정서 차원의 교육적 지원이다. 이에 따라 여성결혼이민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심리·정서적 지원에 관련한 연구 또한 다수 진행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이 치료적 목적이 강해 일반적인 한국어 교실 수업에 적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음을 살필 수 있었다. 문학교육에 관한 연구 또한 다수 존재하나 대부분 언어기능과 문화교육의 목적에 치우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문학을 활용하여 한국에 정착한 후 일반적인 스트레스나 심리·정서 면에서 부정적 상황에 놓여 있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문학치료 수업을 제안해보고자 한다. 문학치료는 이전부터 독자가 가진 상처를 치유하고 보다 긍정적인 삶으로 나아갈 수 있는 수단으로 널리 사용되었으나 문학치료가 가진 병리적 요인에만 집중한다면 학습자들을 의도치 않게 치료가 필요한 문제를 가진 환자로 간주하는 일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치료가 필요한 심각한 문제 상황에 놓여 있는 학습자가 아닌, 일반적인 스트레스나 정서적으로 부정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문학 자체의 교육과 더불어 그 안에서 스스로를 긍정적으로 감화할 수 있는 치유적인 효과를 가진 문학치료 방안을 제안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문학교육과 문학치료의 이론을 살피고 그것을 토대로 문학치료의 개념을 문학교육의 과정 안에 적절하게 도입하고자 하였다. 문학치료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어떤 텍스트를 학습자들에게 읽게 할 것인가?’인데 텍스트의 장르 선정의 경우 수필 장르를 선택하였다. 본 연구는 일반적인 문학 텍스트 읽기 교육이 아닌 문학을 활용한 문학치료를 연구의 주제로 삼았으며 이에 따라 작품을 읽은 후 작가가 되어 자신의 이야기를 써보는 활동을 진행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여러 문학 장르 중 장르적 특성이 가장 적고 주제나 형식 면에서 자유로운 수필이 학습자들의 글쓰기 부담을 덜어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후 선행연구를 토대로 텍스트 선정 기준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학습자의 특성, 난이도, 주제 등을 고려하여 총 다섯 편의 수필을 선정하였다. 그중 『나의 사랑하는 생활』이라는 작품을 가지고 구체적인 수업 예시를 제안하였는데, 수업 모형은 기존 연구들에서 살펴본 문학교육 및 치료 모형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는 문학치료 교육 모형을 고안하였다. 본 연구가 제안한 수업의 실제를 간단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첫 번째 단계인 ‘준비 단계’에서는 교사가 작품의 제목을 보여주고 주제와 관련된 여러 질문을 던짐으로써 학습자들이 작품을 인식하고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두 번째 단계인 ‘작품 감상 단계’는 학습자들이 본격적으로 작품을 읽어보는 단계로 작품을 감상한 후 작품의 주제나 작가가 어떤 사람인지 등을 생각해 보며 작품에 관해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세 번째 단계인 ‘자기성찰 및 치유단계’는 문학 치유의 단계에 해당하며 학습자들이 자신의 진정한 내면을 들여다보고 이를 토대로 자신의 이야기를 글로 써봄으로써 내재화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 단계인 ‘보완 및 평가 단계’는 앞에서 활동한 것들을 바탕으로 수업 내용이나 자기 자신에 대한 총괄적인 평가를 하거나 자유롭게 이야기하는 시간을 가지며 이때 스스로 발견한 자아가 보다 긍정적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앞으로의 계획을 다짐하며 수업을 마무리한다. 본 연구는 학습자 집단이 정확하게 어떤 문제를 가지고 있는지, 그리고 어떤 문학치료의 어떤 방법을 통해 그것을 개선해나가야 하는지 구체적인 해결방안을 제시하지는 못하였다. 또한 교육 방안을 실제 실험을 진행하여 학습자 집단에 어떤 긍정적 변화가 나타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 아닌 단순히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그쳤다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여성결혼이민자 집단과 문학치료라는 구체적인 변인을 설정하여 교육의 목적에 맞는 나름의 텍스트 선정 기준을 제시하였으며 일반적인 문학교육 현장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문학교육 및 문학치료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은 교육적이면서 치유적인 의의를 가지는 문학교육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a specific learning plan for literary therapy education using the essay genre for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 learner group living in Korea. At this time, literature is not only used as a means of language function or cultural acquisition, but it is intended to guide learners to enjoy the literary work itself educationally. In addition, from the perspective of literary therapy, it was intended to devise a method of literary education that can play an educational and healing role for the purpose of ‘healing and growth through learners self-understanding.’ As the number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living in Korea increases through marriage, research is being actively conducted for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for them, but what they really need is psychological and emotional educational support after some communication skills and cultural adaptation. Accordingly, a number of studies have also been conducted on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However, most of them had a strong purpose of treatment, so it could be seen that they were not suitable for general Korean classrooms. There are also many studies on literature education, but it can be seen that most of them are biased toward the purpose of language function and cultural education. Accordingly, this study intends to use literature to propose a literary treatment class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who are in a negative situation in terms of general stress, psychology, and emotion after settling in Korea. Literary therapy has long been widely used as a means to heal the reader's wounds and move toward a more positive life, but focusing only on the pathological factors that literary therapy has may unintentionally consider learners as patients with problems that require treatment. Therefore, I would like to propose a literary treatment plan that has a healing effect that can positively influence itself in addition to the education of literature itself, targeting learners with general stress or emotional negative factors, not learners in serious problem situations that need treatment. To this end, the theory of literature education and literature therapy was first examined, and based on it, the concept of literature therapy was appropriately introduced into the process of literature education. The most important thing in literature therapy education is ‘What text will learners read?’. In this study, in the case of selecting the genre of text, the essay genre was selected. This study focused on literature therapy using literature, not general literature text reading education, and accordingly, after reading the work, it was intended to become a writer and write its own story. Therefore, among the various literary genres, it was judged that essay writing with the least genre characteristics and free subject or form could relieve learners of the burden of writing. After that,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ir own text selection criteria were presented, and based on this, a total of five essays wer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learners' characteristics, difficulty, and topics. Among them, a specific class example was proposed with the work 『My Dear Life』, and the class model was designed to suit the purpose of this study based on the literature education and treatment model examined in previous studies. A brief look at the process of the class proposed by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of all, in the first stage, the ‘preparation stage’, the teacher showed the title of the work and asked various questions related to the subject so that learners could recognize and be interested in the work. The second step, the ‘work appreciation stage’, is a stage in which learners read the work in earnest, allowing them to understand the work by thinking about the subject of the work or what kind of person the writer is. The third stage, the ‘self-reflection and healing stage’, corresponds to the stage of literary healing, allowing learners to internalize by looking into their true inner self and writing their stories based on it. The final step, ‘Complementation and Evaluation Stage’, takes time to make a comprehensive evaluation of the contents of the class or oneself or talk freely based on the previous activities, and concludes the class by pledging future plans so that the self-discovered self can move in a more positive direction. This study did not provide a specific solution to exactly what problems the learner group has and through which literary treatment method to improve it. In addition,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the educational plan was not only to examine the positive changes that appear in the learner group by conducting actual experiments, but simply to simply present the educational plan. However, it is meaningful in that it set specific variables such as female marriage immigrant groups and literary therapy to present its own text selection criteria suitable for the purpose of education, and suggested an educational and healing literary education plan that is not biased toward literature education and literature therap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