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6 Download: 0

한국어 교육학 박사 논문의 연구 유형 분류와 장르 분석 연구

Title
한국어 교육학 박사 논문의 연구 유형 분류와 장르 분석 연구
Other Titles
Classification of Research types and Genre analysis of Ph.D Theses in the field of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Authors
전경선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영규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research type of Ph.D Theses in the field of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written by native Korean speakers, and to analyze the introduction, literature review, research methods, conclusions, and abstracts parts of the Ph.D theses. Through this, identify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each research type by identifying the differences in the move structure of each part of the theses by research type. There are two research questions in this study. The first research question is to find out the research methods mainly used in Ph.D theses in the field of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written by native Korean speake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studies.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is to find out whether the typical move structure of the introduction, literature review, research method, conclusion, and abstract and whether there are different move structures for each type of research. This study was intended to help prospective researchers, especially foreigners, prepare their theses in the field of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and genres of research types in the field of Korean education. To this end, all Ph.D theses in the field of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written from 2004 to February 2022 were investigated, among them, the research types were classified for Ph.D theses written by Koreans. The research type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김영규(2018). Genre analysis was conducted by selecting five studies each of research type based on the thesis structure, year of writing, and research type of the theses. Genr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genre analysis studies in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and second language acquisition. As a result, more primary studies were conducted than secondary studies, and among primary studies, mixed studies were conducted the most and quantitative studies were conducted the least. Most of the studies using a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 were action studies, followed by case studies, narrative research, and studies based on grounded theory. Qualitative techniques include document analysis, interview, text analysis, corpus analysis, etc., and are often used together with various other research methods. In the case of quantitative studies, exploratory researchs have been conducted the most, and there was no (true) experimental studies. As a result of the classification of research types, many research methods were used, but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ies often used specific research methods, than it is necessary to use various research methods. As a result of genre analysis,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quantitative, qualitative, and mixed studies in introduction, literature review, research method, conclusion, and abstract. In introduction, the move that draws out the necessity of the research area or specifies the research area appeared the most, and in literature review, it was characteristic that it showed a circular model. The research method was where there was the least agreement in the theses. In conclusion, move which summarize and interprete the research results appear the most, and the structure of the abstract was similar to that of the entire paper. By research type, the total length of the qualitative research was short and the number of move was small, and the quantitative research was characterized in that the object of the study was written in the introduction than in the research method part. Mixed studies wrote research results longer than others, which was judged to be because there were many details to describe the research results as they used various research method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first to classify research types and examine the characteristics for Ph.D theses in the field of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And by analyzing the genre of various parts of the doctoral thesis, it can help prospective researchers write their doctoral thesis.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genre of various parts of the Ph.D thesis, it can help prospective researchers write their one. However, this study was conducted only by native Korean speakers theses, so it could not be compared with the characteristics written by foreigners one. In addition, in the case of genre analysis,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the analysis was conducted with a small number of theses for each type of research, so only the possibility of the characteristics was found, but it wasn’t clear. I hope, In the future,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study will be made by classifying the research types of Ph.D theses written by foreigners, and conducting genre analysis based on more studies for each type of research.;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모어 화자가 작성한 한국어 교육학 분야 박사 학위 논문의 연구 유형별 연구 동향과 특징을 살펴보고, 박사 학위 논문의 서론, 선행연구, 연구 방법, 결론, 초록 부분의 장르 분석을 진행한 후, 연구 유형별로 논문의 각 부분 이동마디 구조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밝혀 연구 유형별 장르적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첫 번째 연구 문제는 한국어 모어 화자가 작성한 한국어 교육학 분야의 박사 학위 논문에서 주로 사용한 연구 방법과 그 연구들의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고, 두 번째 연구 문제는 한국어 모어 화자가 작성한 한국어 교육학 분야의 박사 학위 논문의 서론, 선행연구, 연구 방법, 결론, 초록 부분의 전형적인 글의 구조와 연구 유형별로 서로 다른 이동마디 구조를 보이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학 분야의 연구 유형별 특징과 장르 분석을 통해 한국어 교육학 분야에서 학위 논문을 작성할 예비 연구자들, 특히 외국인들의 논문 작성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4년부터 2022년 2월까지 작성된 한국어 교육학 분야 박사 학위 논문을 전수조사하고, 이 중 한국인이 작성한 박사 학위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 유형을 분류하고 이 논문들의 특징을 살폈다. 한국어 교육학 분야 박사 학위 논문은 국립국어원의 한국어교원 자격 홈페이지와 dCollection을 통해 총 637편의 논문을 찾았고, 이 중 한국어 모어 화자가 작성한 논문 370편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연구 유형은 김영규(2018)의 기준에 따라 분류를 진행하였다. 장르 분석은 논문의 구조, 기간, 연구 유형을 기준으로 연구 유형별로 5편의 연구를 선택하여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장르 분석틀은 제2 언어 습득 분야에서 이루어진 학위 논문 장르 분석 연구와 한국어 교육학 석사 학위 논문들에 대한 장르 분석 연구들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구축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어 교육학 분야에서는 일차적 연구가 이차적 연구보다 많이 이루어졌으며, 일차적 연구 중에서는 혼합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고, 양적 연구가 가장 적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질적 연구 접근법을 사용한 연구는 실행 연구를 진행한 경우가 가장 많았고, 사례 연구, 내러티브 탐구 연구, 근거 이론을 바탕으로 한 연구 등이 진행되었다. 질적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은 문서 분석, 면접법, 텍스트 분석, 말뭉치 분석 등이 많이 이루어졌으며, 다른 다양한 연구 방법들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많았다. 양적 연구의 경우 주로 비실험 연구 중 탐색적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으며, (진)실험 연구는 한 편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러한 이유로 다양한 양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박사 학위 논문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었다. 연구 유형 분류 결과, 많은 연구 방법이 사용되고 있었으나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 모두 특정 연구 방법을 사용한 경우가 많았고, 양적 연구에서는 (진)실험 연구가, 질적 연구에서는 현상학, 문화 기술지, 비판적 이론 연구가 한 번도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향후 좀 더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었다. 또한 연구 방법에 대한 고찰이 부족한 연구들도 발견되고 있어 한국어 교육학 전반에서 연구 방법론에 대한 강조와 논문 작성 시 연구 설계를 보다 철처히 할 필요가 있도록 할 필요가 있었다. 장르 분석을 진행한 결과를 통해 서론, 선행연구, 연구 방법, 결론, 초록에 있어 모두 양적 연구, 질적 연구, 혼합 연구 간 차이가 나타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서론은 연구 영역의 필요성을 끌어내거나 연구 영역을 구체화하는 이동마디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선행 연구의 경우 순환형 모형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 특징적이었다. 연구 방법 부분은 작성하지 않는 논문도 있을 만큼 한국어 교육학 학위 논문에서 가장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부분이었으며, 결론 부분은 연구 결과를 요약하고 해석하는 이동마디가 주로 나타났고, 초록은 전체 논문의 구조와 흡사한 구조를 보이고 있었다. 연구 유형별로 질적 연구가 전체 길이가 짧고 이동마디 수도 적었으며, 양적 연구는 연구 대상을 연구 방법 부분에서보다 서론에서 길게 작성하고 있는 것이 특징적이었다. 혼합 연구는 연구 결과를 다른 연구 유형에 비해 길게 작성하고 있었는데 이는 다양한 연구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 만큼 연구 결과를 기술할 내용이 많았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최초로 한국어 교육학 분야 박사 학위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 유형을 분류하여 한국어 교육학 분야에서 이루어진 연구들의 특징을 살폈고, 박사 학위 논문의 다양한 부분에 대한 장르 분석을 진행하고 있어 한국어 교육학 분야의 장르 분석의 장을 넓혔으며, 향후 예비 연구자들이 박사 학위 논문을 작성하는 데에 도움을 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한국어 모어 화자의 논문만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어, 외국인이 작성한 논문의 특징과 비교하지 못하고 있고, 장르 분석의 경우 연구 유형별로 제한된 편수를 선택하여 분석을 진행하여 각 연구 유형별 특성에 대한 가능성을 찾았을 뿐 명확한 특성을 밝히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향후 외국인이 작성한 한국어 교육학 분야 박사 학위 논문의 연구 유형을 분류하고, 연구 유형별로 좀 더 세분화된 연구들을 선정, 좀 더 많은 편수를 바탕으로 장르 분석을 진행하여 연구 유형별 특성을 밝히는 연구가 나오게 되기를 희망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