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54 Download: 0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관형사형 어미 습득 연구

Title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관형사형 어미 습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L2 Korean Acquisition of Tense, Aspect and Modality in the Relative Clause by L1 Chinese Learners
Authors
이을지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박선희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acquisition of adnominal endings of Chinese learners differs from those of native speakers according to their proficiency level and the tense of the main clause. The four adnominal endings of the Korean language, ‘-n’, ‘-nun’, ‘-ul’, ‘-dun’, not only modify the following noun, but also indicate the tense, aspect, and modality. In addition, there are cases in which the tense of relative clauses is determined by the main clause’s tense. Therefore, this study presumes that the ease of acquisition for Chinese learners differs according to the two variables: learners’ proficiency level and the tense of the main clause. This study examines this hypothesis in the following order. The first chapter discusses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suggests why it is necessary. It then goes on to review the efficacy of previous studies into the adnominal endings’ tense, aspect, and modality followed by establishing two research questions. The first research question examines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Chinese learners and native speakers when they recognize the tense, aspect, and modality function of the adnominal endings, with the variables being the tense of the main clause and proficiency level.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is about the difference between Chinese learners and native speakers when it comes to the production of the tense, aspect, and modality function of the adnominal endings with the same variables as before. In chapter II describes the theoretical grounds for the study on the acquisition of tense, aspect and modality in the relative clause. Firstly, the concept of tense, aspect and modality and how these features are represented in Korean adnominal endings is summarized. In addition, comparisons are drawn between Chinese relative clauses and Korean relative clauses. Furthermore, it summarizes the second language acquisition theories related to the effect of learners’ first language. Chapter III describes the study method. In this study, an acceptability judgement task and a production task were designed to examine the research questions. 50 non-native Korean learners of Chinese upbringing and 25 Korean native speakers were sampled. Chinese learners were divided into a more and less advanced group based on a prior proficiency test. The result was quantified, and it was examined with both Two-way ANOVA analysis. Chapter IV analyses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results can be summarised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of tense, aspect and modality in the relative clause differed depending on the levels of proficiency. In the higher-level sub-groups, the results of L1 Chinese learners on tense in the relative clause were close to those of Korean native speakers’ results, but the results of L1 Chinese learners on aspect and modality in the relative clause didn’t reach the Korean native speakers’ results. Second, the production of tense, aspect and modality in the relative clause differed depending on the levels of proficiency and the production of aspect and modality in the relative clause differed depending on the tense of main clause. In the higher-level sub-groups, the results of L1 Chinese learners on tense, aspect and modality in the relative clause didn’t reach those of Korean native speakers’ results. We can draw the following conclusion that L1 Chinese learners have difficulties in acquiring aspect and modality in relative clause, but even in acquiring modality in relative clause we could find the evidence that those function has been acquired gradually. Third, L1 Chinese learners tend to consider function of adnominal endings as tense, and they showed a tendency to bring tense of the relative clause to match tense of the main clause. This tendency appeared more often in the lower-level sub-groups, under the situation that the learners yet to acquire the function of adnominal endings. In Chapter V,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sed, and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discuss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several ways: First, it subdivided the function of the adnominal ending of the relative clause on tense, aspect and modality, and so it broadened the scope of research on the acquisition of tense, aspect and modality in the relative clause. Second, it investigated the perception and production of tense, aspect and modality in the relative clause of L1 Chinese learners in terms of interlanguage acquisition. Third, it suggests the necessity to create a spiral curriculum that includes aspect and modality in the relative clause.;본 연구는 중국인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의 관형사형 어미 습득이 숙달도와 상위문의 시제 유형에 따라 모어 화자와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어 관형사형 어미 ‘-(으)ㄴ’, ‘-는’, ‘-(으)ㄹ’, ‘-던’은 명사를 수식하는 기본적인 기능 외에 시제, 상, 양태를 표시하는 기능을 가지는데 각 관형사형 어미의 형태에 의미 기능은 한 가지로 대응되지 않는다. 이 점이 학습자의 관형사형 어미 사용에 어려움을 준다. 이에 더불어 관형사절을 안은 문장은 관형사절의 사건시와 상위문 시제의 사건시가 따로 존재해 관형사절의 시제에 적합한 관형사형 어미를 잘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상대 시제가 나타난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이렇듯 학습자의 관형사형 어미 습득에 어려움을 주는 요소가 많다. 이에 본 연구는 상위문의 시제와 학습자의 숙달도에 따라 관형사형 어미의 사용 양상이 다른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구성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I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혔다. 한국어 교육에서 관형사절의 시제, 상, 양태와 관련하여 이루어진 선행 연구를 검토한 후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첫 번째 연구 문제는 중국인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가 관형사형 어미의 시제, 상, 양태 기능을 인식할 때 숙달도와 상위문의 시제 유형에 따라 모어 화자의 인식과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기 위한 것이었다. 두 번째 연구 문제는 중국인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가 관형사형 어미의 시제, 상, 양태 기능을 생산할 때 숙달도와 상위문 시제의 유형에 따라 모어 화자의 생산과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는 것이었다. Ⅱ장에서는 관형사형 어미의 시제, 상, 양태 기능 습득 연구를 위한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먼저 시제, 상, 양태의 개념을 간단히 정리하고 시제, 상, 양태가 한국어 관형사형 어미에서 어떻게 실현되는지 살펴보았다. 이때, 관형사절의 시제가 상위문 시제와 관련되어 상대 시제로 나타나는 현상도 함께 살펴보았다. 이어서 한국어 관형사형 어미가 시제, 상, 양태 기능으로 쓰인 각각의 관형사절에 대응하는 중국어 구문을 비교·대조하였으며, 모어의 영향이 제2언어 습득에 미치는 이론을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연구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관형사형 어미가 시제, 상, 양태의 기능을 하는 문장을 작성하고 각 문장을 상위문 시제 과거 조건, 비과거 조건으로 구성하여 수용성 판단 과제와 준 생산 과제를 설계하였다. 수용성 판단 과제는 리커트 척도로 문장의 자연스러움을 판정하게 하였고, 준 생산 과제는 관형사형 어미가 사용되어야 할 자리에 빈 칸을 제시하여 적절한 관형사형 어미를 선택하게 하였다. 중국인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 50명과 한국어 모어 화자 25명을 표집하고 숙달도 검사를 통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상위 집단 25명과 하위 집단 25명으로 구분하였다. 이들의 수용성 판단 과제, 준 생산 과제 결과는 수치화하여 이원 분산 분석을 실시하였고 두 변인 간의 상호 작용 유무에 따라 사후 분석 및 단순 주효과 사후 분석을 실시하였다. IV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형사형 어미의 시제, 상, 양태 기능 인식은 상위문의 시제 과거 조건, 비과거 조건 모두에서 숙달도가 높은 집단이 더 높은 문법적 인식을 보였다. 학습자 집단의 시제, 상, 양태 기능의 인식 결과를 살펴보면 학습자 상과 학습자 하 집단 모두 양태 기능에서 학습자 집단과 모어 화자 집단 간의 문법적 정확성 인식 점수 차이가 가장 커 학습자들은 양태 기능의 습득에 가장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형사형 어미의 시제, 상, 양태 기능 인식 점수를 이원 분산 분석한 결과 세 기능 모두 숙달도에 따른 차이만이 유의하였다. 시제 기능의 경우 숙달도에 따른 차이는 학습자 상, 하 집단 간, 학습자 하 집단과 모어 화자 집단 간에 관찰되어, 학습자 상 집단의 경우 시제 기능 관형사형 어미 인식이 모어 화자 수준에 근접하였으나 학습자 하 집단은 그렇지 못했음을 알 수 있었다. 상과 양태 기능 인식에서 숙달도에 따른 차이는 학습자 상, 하 집단과 모어 화자 집단 세 집단 간 모두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학습자 상 집단의 상과 양태 기능의 관형사형 어미 인식이 모어 화자 수준에 근접하지 못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학습자 하 집단의 인식은 학습자 상 집단의 인식에 근접하지 못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이 결과는 관형사형 어미의 상, 양태 기능이 습득에 어려움이 있어도 숙달도가 높아질수록 점차 습득되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 셋째, 관형사형 어미의 시제, 상, 양태 기능 인식에 대해 어미별로 살펴본 이원 분산 분석 결과에 따르면, 시제 기능의 관형사형 어미 인식에서 현재 시제 관형사형 어미 ‘-는’을 제외한 모든 시제 관형사형 어미에서 숙달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과거 시제 관형사형 어미 ‘-(으)ㄴ’, 미래 시제 관형사형 어미 ‘-(으)ㄹ’, 과거 시제 관형사형 어미 ‘-던’에서 학습자 상, 하 집단 간, 학습자 하 집단과 모어 화자 집단 간에 숙달도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였다. 현재 시제 관형사형 어미 ‘-(으)ㄴ’에서는 학습자 하 집단과 모어 화자 집단 간, 학습자 상 집단과 모어 화자 집단 간에 차이가 유의하였다. 상 기능의 관형사형 어미 인식에서 모든 상 기능 관형사형 어미에서 숙달도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였으며 관형사형 어미 ‘-(으)ㄴ’에서는 두 학습자 집단과 모어 화자 집단 간, 미완료상 관형사형 어미 ‘-던’과 반복상 관형사형 어미 ‘-던’에서는 학습자 상, 하 집단, 모어 화자 집단 세 집단 간에 차이가 유의하였다. 미완료상 관형사형 어미 ‘-는’에서는 숙달도에 따른 차이 상위문 시제 유형에 따른 차이가 모두 유의하였고, 숙달도와 상위문 시제 유형 간 상호 작용 효과도 나타났따. 상위문 시제 과거 조건에서 학습자 하 집단과 다른 집단들 간의 차이가 유의하였다. 즉, 상위문 시제 과거 조건에서 학습자 하 집단은 ‘-는’의 생산 양상이 학습자 상 집단, 모어 화자 집단 모두와 차이가 있었다. 숙달도가 높은 집단의 미완료상 ‘-는’ 생산은 모어 화자의 생산 수준에 근접하였으나 학습자 하 집단의 생산은 낮은 점수에 머물러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양태 기능의 관형사형 어미 인식에서 가능의 양태 관형사형 어미 ‘-(으)ㄹ’과 추측의 양태 관형사형 어미 ‘-(으)ㄹ’에서 숙달도에 따른 차이만 유의하였으며 그 차이는 학습자 상, 하 집단, 모어 화자 집단 각각에서 나타났다. 넷째, 관형사형 어미의 시제, 상, 양태 기능 생산 점수도 상위문의 시제 과거 조건, 비과거 조건 모두에서 숙달도가 높은 집단일수록 더 높은 문법적 생산을 보였다. 학습자 집단의 시제와 상, 양태 기능 생산 결과를 살펴보면 학습자 상, 하 집단 모두 양태 기능에서 모어 화자와의 생산 점수 차이가 가장 커 학습자들은 양태 기능의 생산에 가장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인식 결과와 비교해 보면, 생산 결과에서 숙달도 간 시제, 상, 양태의 점수 차이가 더 커졌으며 상위문 시제 비과거 조건의 상의 생산도 인식에 비해 더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다섯째, 관형사형 어미의 시제, 상, 양태 기능 생산 점수를 이원 분산 분석한 결과 세 기능 모두 숙달도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였으며 상과 양태 기능 생산은 상위문 시제 유형에 따른 차이도 유의하였다. 숙달도에 따른 차이는 시제, 상, 양태 기능 모두에서 학습자 상, 하 집단, 모어 화자 집단의 세 집단 간에 모두 관찰되었다. 이는 학습자 하 집단과 상 집단의 시제 기능의 관형사형 어미 생산이 모어 화자 수준에 근접하지 못했으며, 학습자 하 집단의 경우 학습자 상 집단의 생산 수준에도 미치지 못함을 보여준다. 상위문 시제 유형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상과 양태 기능에 대해 숙달도 상, 하 집단 모두에서 상위문 시제 과거 조건에서 점수가 높았다. 여섯째, 시제와 상, 양태 기능의 관형사형 어미별 필수 실현 맥락에서 실험 참여자의 응답을 교차 분석한 결과, 학습자들은 형용사의 과거 시제 관형사형 어미 ‘-던’과 미완료상을 나타내는 ‘-던’, 완료상의 ‘-(으)ㄴ’, 반복상의 ‘-던’, 가능의 양태 관형사형 어미 ‘-(으)ㄹ’, 추측의 양태 관형사형 어미 ‘-(으)ㄹ’의 사용에 특히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형용사의 과거 시제를 나타내는 ‘-던’과 미완료상 ‘-던’, 완료상 ‘-(으)ㄴ’, 가능의 양태 ‘-(으)ㄹ’ 실현 맥락에서 상위문 시제에 따른 생산 점수 차이가 관찰되어 이들 맥락에서 상위문 시제 유형의 영향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V장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고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인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는 관형사형 어미의 시제 기능을 가장 잘 습득하였다. 둘째, 관형사형 어미의 시제 기능보다 상 기능을 더 어려워하였고 양태 기능을 가장 어려워하였다. 셋째, 상 기능 습득의 경우, 숙달도가 낮은 학습자들은 어려움을 겪었지만 숙달도가 높아지면 점점 모어 화자에 근접해 가는 것으로 보이는 한편, 숙달도가 높아도 양태 기능 습득에는 어려움을 겪었다. 습득하지 못해 어려운 관형사형 어미에 대해서는 상위문 시제에 기대어 관형사형 어미의 시제를 결정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그동안 분리하여 다루지 않았던 관형사형 어미가 지닌 시제, 상, 양태 기능을 확인하여 관형사형 어미의 기능 습득을 전반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과 오류 분석에 집중되어 있던 기존 연구들과는 달리 중간 언어적 관점에서 숙달도에 따른 학습자의 발달 양상을 살펴보았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앞으로 관형사형 어미의 시제, 상, 양태 기능과 상위문 시제 유형과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상대 시제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과 생산을 다각도로 살펴보는 데 기반이 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