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83 Download: 0

고교 교사의 협력적 수업개선활동 수준에 따른 잠재집단 분석

Title
고교 교사의 협력적 수업개선활동 수준에 따른 잠재집단 분석
Other Titles
A Study on High School Teacher's Cooperative Instructional Improvement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Authors
백지원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제영
Abstract
학교 교육의 주체인 교사는 학생들의 지적·정의적 성장뿐만 아니라 학교 전체의 발전을 이끄는 핵심적인 인적 자원이다. 최근의 학교 교육 강화 움직임에 따라 학교 현장에서 새로운 교육 정책을 실시하고 교육 개선을 이끌어야 하는 존재인 교사의 수업 개선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협력적 수업개선활동은 전문성 함양 및 수업 개선에 대한 직무동기를 가진 교사들의 협력을 기반으로 한 수업개선 노력으로, 교사와 학교의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교사의 핵심적인 활동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협력적 수업개선활동에 대한 교사들의 현재 수준을 파악하고, 현재의 수준을 고려하여 이를 증진하기 위한 맞춤형 지원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학교 교육의 효과성 증진을 위한 교사의 협력적 수업개선활동 증진을 위한 실질적인 지원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시행된 경기교육종단연구(GEPS) 9차년도 교사 설문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첫째, 교사의 협력적 수업개선활동 수준에 따른 잠재집단의 수와 유형은 어떻게 분류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잠재집단 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LPA)을 실시하였고, 둘째, 각 잠재집단별 교사 및 학교 변인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교차분석과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한 뒤, 셋째, 이러한 분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 지수 및 분류의 질, 분류율을 고려하여 적정 잠재집단 수를 3개로 선정하였다. 최종 분류 모형을 채택한 뒤 잠재집단별 협력적 수업개선활동의 하위 요인인 교사의 직무동기, 협력 및 수업개선활동 참여 수준과 각 집단의 특성을 고려하여 3개의 잠재집단을 각각 ‘소극적 협력 집단’, ‘보통 협력 집단’, ‘적극적 협력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각 집단별 특성을 교사 특성과 학교 특성으로 구분해 확인하였을 때 각 집단별 특성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먼저 교사 배경 차이 분석 결과에 의하면 여성과 남성을 비교하였을 때 남교사에 비해 여교사가 보다 높은 비율로 ‘적극적 협력 집단’에 속하였다. 교직 경력의 경우 ‘5년 미만’, ‘5년 이상 10년 미만’, ‘10년 이상 20년 미만’ 경력군의 교사들은 약 50%가 ‘소극적 협력 집단’에, 약 30% 정도가 ‘보통 협력 집단’에, 약 15%가 ‘적극적 협력 집단’에 속한 반면, ‘20년 이상 30년 미만’과 ‘30년 이상’ 경력군의 교사들의 경우 ‘소극적 협력 집단’에 속한 교사들이 60%가 넘었으며, ‘적극적 협력 집단’에는 각각 10.8%와 6.4%의 교사만이 속하는 것으로 나타나 교직 경력이 오래된 교사들의 협력적 수업활동 수준이 저경력 교사들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교사 특성 차이 분석 결과에 따르면 교사 효능감, 교직만족도, 연수 참여 수준과 교수자 중심, 학습자 중심, 평가 중심 수업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소극적 협력 집단’, ‘보통 협력 집단’, ‘적극적 협력 집단’으로 갈수록 높아졌다. 마지막으로, 학교 특성 차이 분석 결과에 의하면 학교 풍토, 현학교 만족도는 ‘소극적 협력 집단’, ‘적극적 협력 집단’, ‘보통 협력 집단’으로 갈수록 높았다. 한편, 학생의 이해도의 경우 ‘소극적 협력 집단’은 2.48, ‘보통 협력 집단’은 2.67, ‘적극적 협력 집단’은 2.77로 협력 수준이 높을수록 학생들의 이해도 역시 높아지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교사 배경 변인 중 성별, 교직 경력, 담임 여부, 현재 직위가, 교사 특성 변인 중 교사 효능감, 연수 참여, 교수자 및 학습자 중심 수업활동 인식 변인이 잠재 집단의 분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기준집단과 비교집단을 설정하여 교사 배경, 교사 특성 및 학교 특성 변인이 잠재 집단의 분류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한 결과, ‘소극적 협력 집단’을 기준집단으로 ‘보통 협력 집단’을 비교집단으로 분석했을 때 여교사일수록, 교직 경력이 짧을수록, 담임 교사일수록, 교사 효능감이 높을수록, 연수 참여가 많을수록, 교수자 중심 및 학습자 중심 수업활동 인식이 높을수록 ‘소극적 협력 집단’보다 ‘보통 협력 집단’에 속할 승산이 높다. 다음으로, ‘소극적 협력 집단’을 기준집단으로 ‘적극적 협력 집단’을 비교집단으로 분석한 결과 여교사일수록, 교직 경력이 짧을수록, 담임 교사일수록, 현재 직위가 낮을수록, 교사 효능감이 높을수록, 더 많은 연수에 참여했을수록 ‘소극적 협력 집단’보다 ‘적극적 협력 집단’에 속할 승산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적극적 협력 집단’을 기준집단으로 ‘보통 협력 집단’을 비교집단으로 설정하였을 때 비담임 교사일수록, 현재 직위가 높을수록, 교사 효능감이 낮을수록, 연수 참여 횟수가 적을수록 ‘적극적 협력 집단’보다 ‘보통 협력 집단’에 속할 승산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모든 집단의 분류에 학교 특성 변인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도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수업 이해도 증진 전략으로 교사들의 협력을 제고해야 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교사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협력에 참여할수록 학생들의 수업 이해도 역시 높아진다. 따라서 학교 교육의 질을 설명하는 핵심 요인인 학생들의 수업 이해도를 높여 학교 교육의 효과성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협력 제고를 위한 정책적 지원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교사의 협력적 수업개선활동 촉진을 위한 교사 효능감 제고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교사 효능감은 협력적 수업개선활동의 하위 요인인 직무동기, 협력, 수업개선활동에 모두 유의미한 정적 영향력을 미치는 교사의 중요한 심리적 특성이다. 따라서 교사 효능감 증진 방안을 마련하여 교사들의 협력적 수업개선활동을 촉진해 학교 교육의 발전을 도모해야 한다. 셋째, 교사들의 연수 참여 기회를 확대해 교사들의 협력적 수업개선활동을 함양해야 한다. 연구 결과, 협력적 수업개선활동에 적극적으로 임하는 교사 집단이 다른 집단들에 비해 연수 참여 경험이 풍부하며, 이러한 연수 참여는 협력적 수업개선활동 수준에 따른 교사 분류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협력적 수업개선활동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연수 참여 기회를 확대해 교사들에게 풍부한 학습 경험을 제공해야 한다. 넷째, 경력과 현재 직위가 높은 교사들의 협력적 수업개선활동 참여 독려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협력적 수업개선활동이 효과적인 학교 교육의 실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에도 불구하고 경력과 현재 직위가 높아질수록 교사들은 ‘소극적 협력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경력과 현재 직위가 높은 교사들에게 동료들과의 협력적 수업개선활동 기회를 마련해준다면 더 많은 교사들의 수업 개선과 이를 통한 학교 교육의 개선을 실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연구 자료로 활용한 경기교육종단연구(GEPS)가 경기도에서 근무하는 교사들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고, 연구자가 연구 목적에 따라 문항을 설계한 설문이 아닌 경기도교육연구원에서 실시한 기존 응답 자료이기 때문에 연구 결과를 전체 교사들로 일반화하기 어렵고, 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교사들의 협력적 수업개선활동과 관련된 보다 다양한 변인들을 모두 분석에 활용하지 못하였다는 제한점을 가진다. ;Teachers have one of the key roles in the educational field that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school education as well as the intellectual and affective growth of students. With the recent move to strengthen school education, the need to improve teachers' classes, which are the ones that need to implement new educational policies in the school field and initiate educational improvement, is becoming more emphasized. Cooperative instructional improvement activities are efforts to improve classes based on the cooperation of teachers with job motivation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class improvement and are key activities of teachers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for teachers and school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urrent level of teachers for cooperative instructional improvement and to prepare customized supports to promote them in consideration of the current level. Using the results of the 9th year of the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GEPS) teacher survey, this study used Latent Profile Analysis (LPA) to determine how the number and type of latent profile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level of cooperative instructional improvement. Next, the study used Difference Analysis and One-Way Variance Analysis to confirm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acher and school variables for each latent profile. Finally, the study used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the covariates influencing this classification. The main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appropriate number of latent profiles was selected as three in consideration of the information index, the quality of classification, and the classification rate. After adopting the final classification model, three latent profiles were named passive cooperative group, average cooperative group, and active cooperative group, respectively, considering the teacher's job motivation, cooperation, and instructional improvement level. Additionally, whe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were classified into teacher characteristics and school characteristics, the difference in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was significant.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eacher background differences, when women and men were compared, female teachers belonged to the active cooperative group at a higher rate than male teachers. Of teachers with ~5 years, 5~10 years, and 10~20 years of experience, about 50% of teachers were in the passive cooperative group, about 30% in the average cooperative group, and only about 15% were in the active cooperative group. However, for experienced teachers with 20~30 years, and 30~ years of experience, more than 60% of teachers were in the passive cooperative group, 10.8% in the average cooperative group, and only 6.4% of teachers were in the active cooperative group. Nex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eacher characteristics differences, teacher efficacy, teacher satisfaction, training participation level, and teacher's perception of teacher-centered, learner-centered, and evaluation-oriented class activities increased to the passive cooperative group, average cooperative group, and active cooperative group. Final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differences in school characteristics, the school climate and current school satisfaction were higher and higher in the passive cooperative group, active cooperative group, and average cooperative group.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student understanding, the passive cooperative group was 2.48, the average cooperative group was 2.67, and the active cooperative group was 2.77, confirming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teachers’ cooperation, the higher the student's understanding tends to increase. Finally, among the teacher background variables, gender, teaching experience, homeroom status, current position, teacher efficacy, training participation, and teacher- and learner-centered class activity recognition variables significantly influence the classification of latent profiles. As a result of checking the influence of teacher characteristics, and school characteristics covariates on the classification of latent profiles, the shorter the teaching experience, the higher the teacher's effectiveness, the higher the teacher's participation, and the higher the teacher's perception of teacher-centered and learner-centered class activities, teachers belong to the average cooperative group than the passive cooperative group. Next, the shorter the teaching experience, the lower the current position, the higher the teacher efficacy, and the more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teachers belong to the active cooperative group than the passive cooperative group. Finally, when it was confirmed that the non-commissioned teacher, the higher the current position, the lower the teacher efficacy, and the less the number of participations in training, teachers belong to the average cooperative group rather than the active cooperative group.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school characteristic variabl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classification of all groups.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cooperation of teachers as students’ understanding of improvement strateg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more actively teachers participate in cooperation, the higher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clas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school education by enhancing students' understanding of classes, which is a key factor in explaining the quality of school education, policy support measures should be prepared to enhance teachers' cooper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lan to improve teacher efficacy to promote teachers' cooperative class improvement activities. Teacher efficacy is an important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of teachers that has a significant active influence on job motivation, cooperation, and instructional improvement activities, which are components of cooperative class improve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school education by promoting the cooperative instructional improvement of teachers by preparing measures to improve teacher efficacy. Third,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cooperative class improvement for teachers by expanding opportunities for teacher training.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 group actively engaged in cooperative class improvement had more experience participating in training than other groups, and such particip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eacher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cooperative instructional improvement. Therefore, in order to promote cooperative class improvement, it is necessary to provide teachers with abundant learning experiences by expanding teachers'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training. Fourth,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lan to encourage experienced, high-rank teachers, to participate in cooperative instructive improvement. Although cooperative instructive improvement activit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ractice of effective school education, the more experienced and highly ranked, the higher the probability that teachers belong to the passive cooperative group. Therefore, if experienced and highly ranked teachers are provided with opportunities for cooperative instructive improvement with colleagues, more teachers will be able to improve their classes and school education through them. There are limitations to this study, first, GEPS, which is used as research data, is only for teachers working in Gyeonggi-do,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earch result to all teachers. Additionally, given that the survey questions were not designed by the researcher, it could not use all variables related to teachers’ cooperative instructional improve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