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85 Download: 0

교사의 고교학점제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 실행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Title
교사의 고교학점제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 실행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Other Titles
A Narrative Inquiry on Teacher’s Experience of Choice Driven Curriculum in High School Credit System
Authors
박주현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경혜
Abstract
This study is a narrative inquiry of the teacher's experience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Currently, the policy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is focusing on providing various subjects based on students' careers and aptitudes. By giving more curricular choice to students, it is expected that all students can focus on their own learning, instead of standardized knowledge-oriented learning. With the expectation, the policy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focuses on th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for providing subjects in need.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teacher implementing high school credit system. Previous studies focused on assessing outcomes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by measuring the increasement of subjects, therefore the studies were not able to deeply understand teacher’s experience about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to deeply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teachers implement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First, what efforts did the teacher make when running high school credit system? Second, what are the difficulties that teacher experienced when running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ird, what are the implication of teacher's experience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 this study employed a narrative inquiry method. The narrative inquiry is appropriate method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context of the experience. A teacher in a high school making an effort to provide student more curricular choice was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Regard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eachers tried to provide diverse subjects as possible that students required. A lot of effort was made to provide various subjects with employing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from school. In addition, the teacher paid a lot of attention to give guidance to students in person so that they can choose subjects based on their career and aptitude. Through such efforts, the teacher expected that students would be more interested in learning and make the better curricular choice. However, teacher had difficulties related to giving proper guidance to students when making curricular choice. This is because students' curricular choices have been gradually standardized into certain subjects related to SAT and GPA, or subjects required to get economically stable jobs. As school education is considered a means to obtain high socio-economic status, students' choices were standardized in a way favorable to get high socio-economice status. As students' choices became standardized, the educational inequality between students were also deepened. Students with high socio-economic status chose certain subjects with difficulty and importance, while those who are not chose subjects without proper support. Accordingly, the gap between students are deepened. The teacher expected that all students could make the best choice, but it was not enough to support all students individually. This teacher's experience provides implications for the current high school credit system policy to give students more curricular choice. Rather than expanding students' subject choice options, the focus needs to be on guiding and supporting all students to discover meaning in curricular choice, and practice the choice. In order to provide guidance of curricular choice, cooperative effort between school teachers is essential. Through cooperation between teachers, it is possible to share their trial and error when guiding students’choice, and make a reflection about what is a better curricular choice for all student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that discovered implications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by exploring in-depth experiences of the teacher.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following studies dealing with the voice of teacher and students who experience the policy should be conducted.;본 연구는 현장 교사의 고교학점제 실행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이다. 현재 고교학점제는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을 표방하며 학생들의 진로와 적성에 적합한 다양한 과목들을 제공하는 데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들의 필요에 따라 과목을 선택하게 하면, 무기력한 지식 위주의 학습에서 탈피하여 모든 학생들이 각자의 배움과 성장에 집중할 수 있다는 믿음이 확산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현재 고교학점제 정책은 학생들이 필요로 하는 과목을 최대한 개설할 수 있는 행·재정적 지원과 과목선택권 확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학생들의 과목선택권 확대에 초점을 맞춘 현재 고교학점제 정책이 과연 국가 교육과정의 획일성을 극복하는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을지 현장 교사의 경험을 통해 깊이 있게 살펴보고자 하였다. 고교학점제 정책의 실행과 관련한 선행연구는 주로 교육과정의 양적 확대에 집중하여 정책의 성과를 분석하였기 때문에, 고교학점제 실행과 관련하여 현장 교사가 어떠한 경험을 하였는지는 깊이 있게 살펴보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고교학점제 실행과 관련한 교사의 경험을 탐구하였다. 첫째, 고교학점제 실행과 관련하여 교사는 어떠한 노력을 하였는가? 둘째, 고교학점제 실행과 관련하여 교사는 어떠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가? 셋째, 고교학점제 실행과 관련하여 교사의 경험이 시사하는 바는 무엇인가? 연구문제에 답하기 위해 본 연구는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통해 개인의 경험을 그 맥락 속에서 총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이에 학생 과목선택권 확대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학교를 선정하였고, 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와의 심층 면담을 통해 학교의 현장 상황, 교사가 경험하는 어려움, 그리고 고교학점제 정책에 주는 시사점에 대해 탐구하였다. 연구 결과는 교사의 고교학점제 실행과 관련된 노력, 교사가 겪은 어려움, 그리고 교사의 경험이 고교학점제에 주는 시사점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고교학점제 실행과 관련하여, 교사는 학생들이 필요로 하는 과목들을 최대한 많이, 그리고 다양하게 개설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공동교육과정과 같은 제도를 활용하여 다양한 과목들을 개설하기 위한 행·재정적인 지원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이와 더불어, 교사는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와 적성에 근거하여 과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개인적으로 지도하는 것에 많은 관심을 쏟았다. 이와 같은 노력을 통해 교사는 학생들이 보다 학습에 흥미를 가지고 최선의 선택을 할 수 있기를 바랐다. 하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교사는 고교학점제 시행과 관련하여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교사의 어려움은 주로 학생들의 과목선택 지도와 관련되어 있었다. 학생들의 선택이 점차 획일화되었기 때문이다. 교사 개인의 경험에 따르면 그들의 선택은 주로 좋은 성적을 받을 수 있는 과목들, 경제적으로 안정적인 직업을 얻을 수 있는 과목들로 집중되었다. 학교교육이 직업을 획득하기 위한 수단으로 여겨지고, 더 좋은 직업을 획득하기 위한 학력 경쟁 속에서 학생들의 선택은 자연스럽게 경쟁에 유리한 방향으로 획일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학생들의 선택이 획일화됨에 따라 학생들 간의 격차 또한 심화되었다. 교사가 경험한 바로는, 사회경제적 자본이 풍부하고 학력 경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학생들은 난이도가 높고 사회의 수요가 높은 특정한 과목들로 선택이 집중되었고, 그렇지 않은 학생들은 적절한 지도와 지원을 받지 못한 채 과목을 선택하였다. 이에 따라 학교의 교육과정은 특정 과목들을 중심으로 계열화되었고, 학생들의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른 격차는 더욱 심화되었다. 교사는 모든 학생들이 최선의 선택을 할 수 있기를 희망하였지만, 교사 개인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상담과 지도로 모든 학생들을 지원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이와 같은 교사의 경험은 학생들에게 더 많은 선택의 권한을 부여하고, 양적으로 많은 교과목을 제공하고자 하는 현재 고교학점제 정책의 흐름에 대해 시사점을 제공한다. 학생들의 과목선택권을 확대하는 것보다, 모든 학생들이 선택에서 의미를 발견하고, 학교에서 선택의 과정을 연습하며 성장할 수 있도록 지도·지원하는 데에 초점이 맞추어질 필요가 있다. 획일화된 경쟁 논리에서 벗어나 자기 자신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탐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선택의 과정 속에서 성장할 수 있게끔 지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세심한 지도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교 교사들 간의 협력적 지도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학생들의 선택을 지도하기 위한 교사들 간의 협력, 시행착오 공유, 성찰을 통해 모든 학생들에게 더 나은 선택은 무엇인지 함께 고민할 수 있는 학교 공동체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을 직접 운영 중인 교사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구하여 고교학점제 정책의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발견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정책을 직접 체험하는 주체들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연구가 보다 활성화되어, 학교 현장의 목소리가 교육 정책에 활발히 반영되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