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41 Download: 0

베트남 대학 한국학과의 한국 문화 수업에 관한 실행 연구

Title
베트남 대학 한국학과의 한국 문화 수업에 관한 실행 연구
Other Titles
An Action Research approach on Korean Culture Class in the Korean studies department of a Vietnamese University
Authors
염정은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영규
Abstract
본 연구는 베트남 대학교 한국 문화 수업의 개선을 위한 실행 연구이다. 20여 년간 제기되어 온 교사의 전문성 부족, 비체계적인 한국어 교육과정, 베트남인을 위한 교재의 부재 등의 동일한 문제점들이 개선되지 못함을 발견하였다. 베트남 근무 당시 선행 연구에서 지적한 사항들에 대해 문제의식을 느꼈고 개선의 필요성을 인지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에서 베트남 대학교의 한국학과 수업 중 한국 문화 수업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전문적인 수업이 될 수 있도록 계획, 실행, 관찰, 반성의 순환적인 실행 연구 과정을 통해서 베트남 대학교의 한국학과 문화 수업을 개선해 가는 데 목적이 있다. 실행 연구를 선택한 이유는 이론과 실천이 분리되는 전통적인 연구 방식에서 벗어나 문제를 당면한 현장에서 실천이 실행되고 그 실천을 통해서 현장을 개선해 나갈 수 있기 때문에 베트남의 한국학 수업의 실제적인 개선을 위해서는 적합한 연구 방법이라고 보았다. 본 연구는 COVID-19 상황으로 온라인 플랫폼 Zoom을 통해 한국 문화 수업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내용 중심 교수법(Content-Based Instruction)을 적용하여 한국 문화 수업을 실행 연구한다. 내용 중심 교수법은 언어 자체보다는 내용에 초점을 두는 교수 방법으로 언어의 역할은 내용을 배우기 위한 도구로 사용되는데 제2 언어를 사용하여 내용을 가르치는 과정 안에서 학습자들은 언어와 내용을 동시에 습득하게 된다. 이 교수법이 베트남 학습자들에게 한국 문화 내용 이해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서 고찰하고 실행 연구를 통해 베트남 현지의 한국 문화 수업이 변화되어 가는 모습을 살펴볼 것이다.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내용 중심 교수법이 베트남 대학교 한국 문화 수업에서 학생들에게 내용 이해와 언어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가? 둘째, 4차례 진행된 실행 연구가 베트남 대학교의 한국 문화 수업에 어떠한 변화를 주었는가? 셋째, 베트남 학습자 대상의 온라인 수업에서 한국 문화 수업은 어떻게 진행되어야 할 것인가? 이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절차로 수행하였다. 먼저 본 연구에 대해 본교의 생명윤리위원회에서 IRB 승인을 통보받은 후 22명의 베트남 현지 연구 참여자를 모집했다. 한국학 전공의 한국어 구사가 가능한 1년 이상 한국어 교육을 받은 21명의 베트남 학생과 베트남 대학교 한국 문화 수업의 경험이 있고 박사 학위 소지자인 1명의 베트남 교사가 연구 참여자로 선정되었다. 연구 참여자들과의 라포르를 형성하고 연구 참여의 설명문 및 동의서의 동의 서명을 위한 한 차례 사전 만남과 4차례의 실행 연구 수업으로 진행되었다. 계획부터 실행 및 관찰, 반성의 과정을 실행 연구의 1회 과정으로 보고 반성 후 3차례 재실행하였다. 본 연구자는 교사 연구자로서 한국 문화 수업을 직접 진행하면서 능동적 참여 관찰자를 하고 베트남 교사는 참여 교사로서 수동적 관찰자의 역할을 하였다. 녹화 자료, 현장 노트, 연구 관찰 기록안, 면담, 학습 일지, 자기 평가지, 선행 지식 및 사후 지식 검토 자료 등의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용 중심 교수법을 통한 학생들의 내용 이해와 언어 능력의 향상이다. 동일한 질문으로 학생들의 수업 전 선행 지식과 수업 후 사후 지식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수업 전후로 지식 향상의 변화가 있었다. 선행 지식 검토에서는 질문에 다수의 학생들이 모르겠다고 답한 반면 사후 지식 검토에서는 모든 학생들이 배운 내용을 중심으로 자신의 생각을 적어냈다. 한국어로만 수업을 진행했지만 학생들은 내용을 이해하였고, 이는 지식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숙달도가 낮은 학생들에게도 학생들 수준에 맞춰 쉽게 설명하면 학생들은 이해할 수 있었다.초반에는 학생들은 한국어로만 수업을 듣고 이해해야 한다는 부담감이 있었지만 수업이 진행되면서 한국어에 대한 자신감이 생겨갔다. 이는 학습 일지에 작성한 언어, 학생들의 발화 모습, Kahoot 결과 등을 통해 알 수 있었다. 둘째, 내용 중심 교수법에 대한 참여 교사의 인식의 변화이다. 실행 전, 연구 참여자인 현지 교사는 학생들이 아직 한국어 숙달도가 낮아서 내용 중심 교수법으로 수업을 진행하면 학생들이 내용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지 않을까 염려하였다. 본 연구에서 현지 교사는 수동적 관찰자로 전체 실행 연구 수업에 참여하였고, 이를 통해 어려운 내용을 한국어로만 설명을 하고 수업을 진행하는데도 학생들은 교사의 말을 이해하며 수업을 참여하는 모습을 보고 내용 중심 교수법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해 갔다. 셋째, 한국 문화 수업은 상호 문화적 접근으로 교수해야 한다. 다수의 베트남 선행 연구에서 상호 문화적 관점으로 한국 문화 수업이 진행되지 못하고 한쪽 문화만 설명하는 것에만 그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본 연구는 상호 문화적 접근으로 문화 수업을 실행하였으며, 학생들은 두 문화를 비교하여 활동한 부분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넷째, 베트남 거주의 베트남 학습자 대상으로 온라인 수업을 할 때 고려해야 할 점이 있다. 날씨의 변화에 따라 인터넷 불안정한 상황이 쉽게 일어나고, 열악한 집안 사정으로 집 내부가 노출되는 것을 꺼려 카메라를 끄는 경우가 발생한다. 4차례 실행 연구 수업을 하는 동안 대부분 학생들은 카메라와 마이크를 끄고 수업을 들어서 상호작용의 어려움이 있었지만 베트남만의 이러한 특수한 상황이 있기 때문에 강요할 수 없는 부분이었다. 문제점을 당면한 현장에서 4차례 실행 연구를 수행하였고, 계획, 실행, 관찰, 반성, 재실행의 실행 연구 과정을 통해 변화 과정의 의미를 발견하고 현장을 개선해 나가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베트남 대학교 한국 문화 수업의 개선을 위해 현장에서 처음 시도한 실행 연구라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가 있다. 동일한 문제를 가진 베트남의 다른 대학교 한국 문화 수업에서도 본 연구에서 실행한 과정과 방안이 확대되어 적용할 수 있는 초석이 되길 기대한다.;The study is a qualitative research dissertation about Korean culture class in a Vietnamese University. It started when, as a researcher, I worked as a teacher in a Korean studies department at a Vietnamese University. Perceived on site, was the need for improvement on problems recognized in previous studies. At that time, I was in charge of the Korean culture classes. Through this field experience, I became interested in Korean culture classes for Vietnamese students. In a recent paper, I found similar problems such as the teacher’s lack of expertise, an unsystematic Korean curriculum, and a lack of textbooks specialized for Vietnamese students etc. This problems have been raised for around 20 years and have not been improved. So this study aims to improve Korean culture classes in Vietnamese Universities through an action research approach. Using the process of planning, acting, observing, and reflecting and incorporating it into a feedback loop. The reason for choosing an action research approach is that it is an appropriate research method for the actual improvement, of identified issues, on- site. Theory and feedback can be implemented in the field, directly targeting the problem, away from the traditional research method where theory and practice are separated. This study conducted Korean culture classes through the online platform Zoom due to the COVID-19 situation. The study applies the content-based instruction (CBI) teaching method. This is a teaching method that focuses on content rather than language itself, and the role of language is used as a tool for learning content. In the process of teaching CBI, using a second language, learners acquire language and content simultaneously. I will examine how this teaching method affects Vietnamese learner’s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al contents and examine the changes in Korean culture classes on-site through an action research approach.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how does content-based instruction affect students’understanding of content and their Korean linguistic ability? Second, what changes did the action research approach make in the delivery of classes over the span of four classes? Third, how should Korean culture classes be conducted online for Vietnamese learner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following procedures. First, after receiving approval from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within the Bioethics Committee of Ewha Womans University for this study, 22 research participants were recruited. 21 Vietnamese students who have studied Korean language for more than a year and 1 Vietnamese teacher with a phD who has experience in teaching Korean culture classes at the Vietnamese University,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study. It was conducted with 1 preliminary meeting to gain rapport with the study participants and explain the research so participants could give their consent. The process of planing, acting, observing, reflecting is viewed as one process after the first reflection the process is re-executed three times. Acting as a ‘teacher as researcher’ and active participant-observer I conducted the class teaching Korean culture and the Vietnamese teacher played a role of a passive observer and participated in the class. It was intended to be conducted in cooperation with the Vietnamese teacher in the field. The collected data included recordings, demand surveys, prior knowledge and post-knowledge test, interviews with the Vietnamese teacher, participation observations, field notes, research observation records, learning journals, and students self-evaluations. The findings derived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change in the perception of CBI methods. At frist, the Vietnamese teacher, who is a research participant in the study, was concerned that students would have difficulty understanding the content if they conducted the class with CBI because they have low proficiency in Korean. After she participated in the classes in this study as an observer, it made her change her perception of CBI positively. Through this she saw students could understand the content taught, only in Korean, even if the content was difficult. Second, CBI improved students’knowledge. With the same question about Korean culture, I tested students’ prior knowledge before the class and post-knowledge after the class. As a result, there was a change in their knowledge improvement before and after the classes. In the prior knowledge test, a lot of students answered ‘I do not know’, while in the post-knowledge test, all students wrote down an answer based on what they learned. Although the classes were conducted only in Korean, the students understood the class contents, which had a positive effect on knowledge improvement. Even students who had a low proficiency of Korean could understand, if the teacher taught according to their level. Third, CBI improved their Korean linguistic ability. All students responded saying they want the class to be taught by a Korean teacher. However nearly half of the students preferred Vietnamese as the language of class lectures in the demand survey. In the beginning, students felt pressured to take classes and understand it only in Korean, but as the class progressed, their confidence in the Korean language grew. This could be seen through their written responses in the study journal, first writing most answers in Vietnamese to writing mostly in Korean for the final response. It was also evident in their verbal responses in the class, as they went from giving no answers and hesitation to trying to respond with short sentences and words. Finally, reading comprehension in Korean improved. This is evident from their Kahoot game results. Were they had to read questions in Korean, based on what they learned in the class, and choose an answer. Game scores improved by 32.61%. So from these results I could see CBI was helping to improve their Korean linguistic abilities. Fourth, Korean culture classes should be taught with a mutual cultural approach. In a number of previous studies about Vietnam, it was pointed out that Korean culture classes were not conducted from a mutual cultural approach, only one side of culture was explained. In the process of leaning about the target culture, learners should understand and respect both cultures by thinking about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is study conducted the cultural class with this approach and students showed a positive response to learning culture by comparing the two cultures. Fifth, there are things to consider about online classes for Vietnamese learners who are in Vietnam. During the classes in this study, I had difficulty interacting with students who were turning off their cameras and microphones while taking classes. There are some reasons that should be noted that are special situations in Vietnam. One is that unstable internet connections easily occur due to changes in weather such as rain and typhoons, Another factor that should be considered is that they are reluctant to expose their house due to poor family circumstances. Thus, the classes for Vietnamese students should b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se points. It is significant that I delivered this research over the span of four classes on-site and facing the problem. Through this, I discovered the meaning of the process of change by using a continuous feedback loop. Also,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the first action research study attempted in the field to improve Korean culture classes at the Vietnamese University. It is hoped that the process and methods implemented in this study will be a good example and applied to Korean culture classes at other universities in Vietna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