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1 Download: 0

Epidemiology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Elderly Patients Transferred from Long-Term Care Hospital to Emergency Department

Title
Epidemiology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Elderly Patients Transferred from Long-Term Care Hospital to Emergency Department
Other Titles
요양병원에서 응급실로 전원된 노인 환자의 역학 및 임상적 특성 분석
Authors
Yun, Soon Young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덕희
Abstract
연구목적 한국의 인구는 급속하게 고령화되고 있으며, 요양병원에 입원하는 노인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 후향적 연구는 요양병원에 입원 중 응급실로 전원된 65세 이상 노인 환자의 역학 데이터, 특성 및 임상 결과를 조사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연구 방법 2014년부터 2019년까지 국가응급진료정보망 자료를 기반으로 한 후향적 연구이다.  결과 응급실에 방문하여 질병으로 분류된 6,209,695명의 노인 중 211,141명(3.4%)이 요양병원에서 전원되었다. 이 중, 응급실에서 퇴원한 환자는 51,176명(24.2%), 일반병동 입원 90,879명(43.0%), 중환자실 입원 43,626명(20.7%), 타 병원으로의 전원 6,642명(3.1%), 요양병원으로 재전원은 12,952명(6.1%)이었고, 4,488명(2.1%)은 응급실에서 사망했다. 응급실 체류시간은 요양병원으로 재전원하는 군에서 가장 길었다(710.49±1,127.43분). 입원 환자의 재원 기간은 일반병실 365.76±476.72시간, 중환자실 443.36±565.36시간이었다. 일반병실 입원 환자 중 26.2%가 요양병원으로 재전원하고, 13.4%가 사망했으며, 중환자실 입원 환자는 29.9%가 요양병원으로 재전원했고, 26.1%가 사망했다. 응급실 내원 시 주증상은 한국 응급환자 중증도 분류기준 결과가 1-3등급인 중증 환자의 경우 호흡곤란이 가장 많았고, 4-5등급인 경증 환자는 카테터 관리를 위한 내원이 가장 많았다. 응급실에서 시행된 술기를 확인한 결과 입원 환자의 경우에는 중심정맥도자(39.5%)가 가장 많이 시행되었고, 응급실 퇴원과 요양병원으로 재전원된 예방가능 방문의 경우 도뇨관 삽입(40.3%)이 가장 많이 시행되었다. 결론 한국 사회의 고령화 사회에서 요양병원에서 응급실로 전원되는 노인이 증가하고 있고, 전원 후 응급실에서 퇴원하거나, 다시 요양병원으로 전원되는 예방가능한 응급실 전원 환자도 증가하고 있다. 요양병원에서 전원된 노인 환자의 응급실 체류는 요양병원에서 전원오지 않은 노인 환자보다 길어 응급실 혼잡에 영향을 준다. 요양병원에서 응급실로의 불필요한 전원을 줄이기 위해서는 요양병원에 적절한 의료인력 확대 및 이행치료 강화 등의 정책을 논의할 필요가 있다.;Background The Korean population is rapidly aging, and the number of elderly individuals in long-term care hospitals (LTCHs) continues to increase. This retrospective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pidemiologic data, characteristics, and clinical outcomes of elderly patients transferred from LTCHs to emergency departments (EDs). Methods This is retrospective study from 2014 to 2019, based on National Emergency Department Information System data. Results Of the 6,209,695 elderly people visiting EDs for disease treatment, 211,141 (3.4%) were from LTCHs; 51,176 (24.2%) were discharged from EDs, 90,879 (43.0%) were admitted to general wards (GWs), 43,626 (20.7%) were hospitalized in intensive care units (ICUs), 6,642 (3.1%) were transferred to another hospital, 12,952 (6.1%) returned to LTCHs, and 4,488 (2.1%) died in EDs. ED stays were longest in those returning to LTCHs (710.49±1,127.43 min). Among LTCH patients, 90,879 (43.0%) were admitted to GWs, and 43,626 (20.8%) were admitted to ICUs. Patients admitted to GWs or ICUs were hospitalized for 365.76±476.72 and 443.36±565.36 hours, respectively; of the former, 26.2% returned to LTCHs and 13.4% died, and of the latter, 29.9% returned to LTCHs and 26.1% died. In most cases with a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KTAS) score of 4–5, catheter care was the chief complain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procedures performed in the EDs, central venous catheterization (39.5%) was most frequently performed in hospitalized patients, and foley catheterization (40.3%) was the most frequently performed in preventable visits discharged from EDs or returning to LTCHs. Conclusion In an aging Korean society, elderly transferred to ED from LTCHs and patients are being discharged from the ED or returning to LTCHs is increasing. ED stays among LTCH patients were longer than in the general elderly population, contributing to congestion. To reduce unnecessary transfer to ED from LTCH, it is necessary to discuss policies such as expanding appropriate medical personnel and transitional treat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