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5 Download: 0

Long-term breast cancer outcomes of pregnancy-associated breast cancer (PABC) in a prospective cohort

Title
Long-term breast cancer outcomes of pregnancy-associated breast cancer (PABC) in a prospective cohort
Other Titles
임신성 유방암 환자의 치료 성적 및 예후에 관한 전향적 코호트 연구
Authors
조현지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남은미
Abstract
Introduction Pregnancy exerts long-term protective effects on the development of breast cancer but transiently increases the risk of developing breast cancer. Given that peak age of breast cancer is younger in Asians than in Western populations, the effects of pregnancy on breast cancer may differ between Asia and Western countrie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clinical outcomes of pregnancy-associated breast cancer (PABC) in Korea. Methods Patients with young breast cancer (YBC) aged ≤ 40 years or PABC were prospectively registered since May 2013 at Samsung Medical Center. PABC was defined as breast cancer diagnosed during pregnancy or in the first postpartum year. The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bstetrical outcomes, and breast cancer outcomes were analyzed and compared between patients with PABC and non-PABC patients in the YBC cohort. Results In total, 1,492 patients were initially enrolled, and 1,364 patients were included, of which 93 had PABC (6.8%). The median age of patients with PABC was 34 years. Hormone receptor expression was lower (64.6% vs 74.6%, P < 0.001) and frequency of HER2 overexpression was higher (26.9% vs 17.6%, P < 0.001) in patients with PABC than in non-PABC patients. All patients of this cohort received standard treatments for breast cancer. There was no delay of cancer treatment due to pregnancy. No maternal or fetal complications were observed in patients with PABC. The 5-year overall survival (OS) rates were 83.2% and 93.4% in patients with PABC and non-PABC patients, respectively (log-rank P < 0.001). The 5-year disease-free survival (DFS) rates were 72.2% and 83.8% in PABC and non-PABC patients, respectively. The hazard ratios of patients with PABC versus non-PABC patients were 2.61 (95% CI, 1.49-4.56; P = 0.001) for OS and 1.59 (95% CI, 1.04-2.45; P = 0.034) for DFS. In multivariate analysis for OS and DFS, PABC was associated with poor prognosis after adjusting for tumor characteristics. Conclusion Compared to non-PABC patients, patients with PABC showed a lower percentage of HR positivity and increased HER2 overexpression and had poorer OS and DFS in this prospective cohort.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investigate the biological tumor behavior of PABC. ;연구 배경과 목적 임신은 장기적으로는 유방암 발생을 예방하는 효과를 갖지만 일시적으로 유방암 발생 위험성을 증가시킨다. 서구에 비해 아시아에서는 더 젊은 나이에 유방암이 발생하고 폐경 전 여성의 유방암 진단 비율이 높기 때문에 유방암에 대한 임신의 영향은 다를 것으로 예측된다. 이 연구는 한국에서의 임신성 유방암의 특징과 치료 성적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국내 단일 3차병원에서 40세 이하의 유방암 환자와 임신성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 코호트를 구축하였다. 임신성 유방암은 임신 중 유방암을 진단받은 경우나 출산 1년 이내에 유방암을 진단받은 경우로 정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본 전향적 코호트에 등록된 환자를 대상으로 40세 이하의 유방암 환자를 비교군으로 하여 임신성 유방암과 40세 이하 유방암 환자간 임상적 특성, 병리학적 특성, 유방암 치료 성적, 생존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2013년 5월부터 2020년 11월까지 총 1,492명의 환자가 코호트에 등록되었고 1,364명의 환자가 분석 가능하였으며 이중 93명(6.8%)이 임신성 유방암 환자였다. 임신성 유방암 환자의 진단 당시 연령의 중앙값은 32세였다. 임신성 유방암 환자들은 비교군에 비해 호르몬 수용체 발현 비율이 더 낮았고(64.6% 대 74.6%) HER2(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2) 발현 비율이 더 높았다(26.9% 대 17.6%). 본 코호트의 모든 환자들은 유방암에 대한 표준치료를 시행 받았고 임신으로 인해 유방암 치료가 지연된 사례는 없었다. 임신성 유방암 환자 중에서 산후 합병증이나 태아 합병증 사례는 없었다. 5년 전체생존율은 임신성 유방암 환자의 경우 83.2%, 40세 미만 유방암 환자의 경우 93.4%였다(log-rank P <0.001). 5년 무질병생존율은 임신성 유방암 환자의 경우 72.2%, 40세 미만 유방암 환자의 경우 83.8%였다. 전체생존율에 대한 비례위험도는 2.61(95% 신뢰구간 1.49-4.56, P = 0.001), 무질병생존율에 대한 비례위험도는 1.59(95% 신뢰구간 1.04-2.45, P = 0.034)로 확인되었다. 전체생존율과 무질병생존율에 대한 다변량 분석에서 병리학적 특성을 보정한 후에도 임신성 유방암은 나쁜 예후와 관련을 보였다. 연구 결론 본 연구에서는 임신성 유방암 환자는 40세 이하 유방암 환자에 비해 더 낮은호르몬 수용체 발현율과 더 높은 HER2 발현율을 보였으며 더 낮은 전체생존율과 무질병생존율을 보였다. 임신성 유방암의 생물학적 특성을 밝히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