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35 Download: 0

실어증 환자의 서술어로서의 형용사 산출 능력 연구

Title
실어증 환자의 서술어로서의 형용사 산출 능력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bility of individuals with aphasia to produce predicative adjectives
Authors
김효실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성지은
Abstract
본 연구는 실어증 환자의 서술어로서의 형용사 산출 능력을 정상 집단과 비교하였다. 또한 세 가지 유형의 형용사 산출과제 중에서 실어증 중증도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변인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연령 및 교육 연수를 일치시킨 실어증 환자와 정상군을 각각 15명씩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연구 과제는 형용사 산출과제, 그림 설명하기과제, 스토리텔링과제를 사용했다. 형용사 산출과제의 정반응률과 그림설명하기과제 및 스토리텔링과제의 서술어로서의 형용사 산출 비율을 분석했다. 형용사 산출과제에서 실어증 환자의 정반응률이 정상군의 정반응률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그림설명하기과제에서 서술어로서의 형용사 비율이 정상군보다 실어증 환자에서 높았으나 그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스토리텔링과제에서 서술어로서의 형용사 비율이 정상군보다 실어증 환자에서 높았고 그 차이가 유의했다. 실어증 중증도와 형용사 산출과제의 수행력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약 43%의 예측력을 보였다. 형용사 산출과제의 정반응률은 실어증 중증도와 상관성이 높고, 이것이 예측 변인에 영향을 준 것이다. 이것은 형용사 산출과제의 수행력에서 실어증 중증도에 대한 요구가 더 많았다는 것을 뜻한다. 본 연구는 실어증 환자의 서술어로서의 형용사 연구가 중요함을 강조할 뿐만 아니라 국내 연구에서 상당히 부족했던 실어증 환자의 서술어로서의 형용사 산출 능력을 살펴보았다. 또한 실어증 환자가 보인 서술어로서의 형용사의 특성을 한국어 서술어의 특성과 연결지어 설명한 점에서 의미가 있다. 더 나아가 실어증 환자의 언어 평가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다는 것에 임상적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ompare the ability of individuals with aphasia to produce predicative adjectives with that of the normal individual. Furthermore, this study analyzed among the three tasks of adjectives, the variables that significantly predicted the severity of aphasia. Fifteen individuals with aphasia and a normal individuasls who matched their age and years of education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used adjective production task, picture description task, and storytelling task.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positive response rate of individuals with aphasia in the adjective production task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normal individuals. (2) The ratio of predicative adjectives in the picture description task was higher in individuals with aphasia (26.44%) than in the normal indivisuals (19.91%),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3) The ratio of predicative adjectives in the storytelling task was normal indivisuals (9.61%) was higher in individuals with aphasia (18.76%), and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4)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adjective prodution task and the aphasia severity. Performance of the adjective production task was the most predictable variable in the severity of aphasia, and it was predicted by approximately 43%. This study not onl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research on predicative adjectives for individuals with aphasia, but also examines the ability to produce predicative adjectives for individuals with aphasia, which was quite lacking in domestic studies.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explains the characteristics of the adjectives shown by individuals with aphasia in connection with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