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24 Download: 0

인공지능 교육정책 변동 분석

Title
인공지능 교육정책 변동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Changes in Policy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based on Kingdon's Policy Stream Model
Authors
장윤지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제영
Abstract
최근 인공지능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점차 확대됨에 따라 인공지능 교육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 인공지능 교육에 대한 연구는 인공지능 교육의 해외 사례 분석, 인공지능 교육에 대한 인식 분석,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과 교사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인공지능 교육 정책이 어떻게 생겨나서 어떤 방향으로 전개되었는지에 대한 연구가 없었다. 따라서 인공지능 교육 정책의 형성과정을 살펴보는 것은 선행 연구의 미비한 점을 보완하고 인공지능 교육정책의 흐름을 검토하여, 인공지능 교육 정책의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적용한 분석 틀을 기준으로 인공지능 교육 정책을 사례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정책문제의 흐름, 정치의 흐름, 정책대안의 흐름의 세부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신문기사, 교육부 보도자료 및 정책 자료, 국책연구기관의 연구보고서 및 학술지 등을 활용하였다. 신문기사에서 인공지능 교육 정책 관련 이슈가 발생하는 시기를 파악하고, 그 외 문헌자료를 통해 구체적인 내용을 추출하였다. 신문기사는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운영하는 빅카인즈에서 전국종합일간신문의 주요 11개 신문(경향, 국민, 내일, 동아, 문화, 서울, 세계, 조선, 중앙, 한겨례, 한국일보)에서 제목과 본문에 AI교육, 인공지능 교육이라는 단어가 포함된 기사를 검색하였다. 분석시기의 검색 기간은 2016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로 5년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통해 연도별, 분기별 기사 건수를 나열하고 인공지능 교육 정책이 사회적으로 이슈화된 시점과 상황을 파악하였고, 해당 시점에 초점을 맞추어 관련 문헌자료들을 종합적으로 관찰하여 인공지능 교육 정책의 변동 과정에 대해 분석하였다. 인공지능 교육 정책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공지능 교육 정책을 차질 없이 추진하기 위하여 타당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여야 한다. 문재인 정부는 2019년 이후 교육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를 통해 다수의 인공지능 교육 정책에 발표 및 시행하였다. 하지만, 이에 대한 법적 근거를 마련이 미흡하였다. 인공지능 교육이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체제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정책의 타당한 법적 근거 마련이 필요하며,「인공지능 교육법」이 구체적이고 공정하기 위하여 이해관계를 극복하고 충분한 논의와 검토로 사회의 공감대를 이끌어야 한다. 둘째, 중장기적 계획안을 통한 인공지능 교육 정책의 질적인 제고가 필요하다. 인공지능 교육 정책의 궁극적인 목적은 급변하는 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함으로, 당장의 인공지능 인력 부족 현상을 해소하고 국가 지표 향상을 위한 것이 아니다. 하지만, 현재의 인공지능 교육 정책은 정치적 변동에 영향을 받아 장기적인 계획을 기대하기 어렵다.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이 가져오는 사회적 변화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장기적인 계획을 바탕으로 정책을 실현해야 한다. 셋째, 인공지능 교육 정책의 의사결정에서 협력적 거버넌스를 지향하며 정책활동가들의 갈등과 분쟁을 줄이고 정책 담당자와 정책 수요자의 협치가 필요하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인공지능 교육 정책은 의사결정과정에서 정부 내 활동가들인 대통령, 장관, 교육부의 주도적인 활동으로 진행되었다. 이는 인공지능 교육 정책의 의사결정 절차가 적절하지 못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사회적 문제에 대한 정부의 발빠른 대응으로 정책 기본 계획안을 마련하는 것은 표면적으로는 정부가 단기적인 성과를 의도한 대로 거두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정책 수요자의 지속적인 비난과 성과를 유지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중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인공지능 교육 정책을 제안하기 위해서는 협력적 관계 구축이 필요하다. 인공지능 교육 정책의 정책 담당자(정부, 대통령, 장관 등)와 정책 수요자(대학, 교수, 학생 등)가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을 지향해야 한다. 본 연구는 인공지능 교육 정책이 정책문제의 흐름, 정치의 흐름, 정책대안의 흐름으로 각각 존재하다가, 우연한 계기를 통해 정책의 창이 열리고, 정책이 도입되는 시기까지를 분석기간으로 하여 한계를 가진다. 정책은 정책형성, 정책결정, 정책집행, 정책평가 등의 단계를 거치면서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영향을 받거나, 환류의 과정을 통해 끊임없이 변화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러한 과정을 통한 정책의 내용 및 집행 방법의 변화인 정책변동 전반을 분석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향후에 인공지능 교육 정책이 정책 형성, 정책 결정, 정책 집행, 정책 평가의 단계를 모두 거친 이후 종합적인 관점에서 인공지능 교육 정책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Recently, as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gradually expands, research on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is also being actively conducted. However, current research on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mainly focuses on overseas case analysis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erception analysis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and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rograms and teacher curriculum, and there was no research on how and in what direction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olicy was developed. Therefore, examining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olicy was intended to supplement the deficiencies of previous studies an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olicy by reviewing the flow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olicy. This study analyzed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olicies using a case study method based on the analysis frame applying Kingdon's policy flow model. Newspaper articles, press releases and policy materials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research reports and academic journals of state-run research institutes were used to understand the detailed factors of the flow of policy problems, politics, and policy alternatives. The timing of the occurrence of issues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olicy in newspaper articles was identified, and specific contents were extracted through other literature data. The newspaper article is https://www.bigkinds.or.kr, run by the Korea Press Foundation In articles containing the words AI educati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were searched in the title and text of 11 major newspapers (Trending, People, Tomorrow, Dong-A, Culture, Seoul, World, Chosun, Central, Hankyoreh, and Hankyoreh). The search period of the analysis period was set to 5 years from January 1, 2016 to December 31, 2021. Through this, the number of articles by year and quarter was listed, the time and situation whe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olicy became a social issue were identified, and the process of change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olicy was analyzed by comprehensively observing related literature dat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olic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valid legal basis should be prepared to promote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olicies without a hitch. Moon Jae In Since 2019, the government has announced and implemented a number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olicies through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However, the legal basis for this was insufficient. In order for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to establish a stable system in the long term,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valid legal basis for policies, and for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Act to be specific and fair, it must overcome interests and lead society's consensus with sufficient discussion and review. Seco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olicies through mid- to long-term plans. The ultimate purpose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olicy is to cultivate talented people who can adapt to a rapidly changing society, not to solve the immediate short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manpower and improve national indicators. However, the current AI education policy is influenced by political fluctuations, making it difficult to expect long-term plans. Policies should be realized based on long-term plans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social changes brought about by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hird, it aims for cooperative governance in the decision-making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olicies, reduces conflicts and disputes among policy activists, and requires cooperation between policy managers and policy consumer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olicy was led by the president, the minister,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who are activists in the government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decision-making procedure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olicy is not appropriate. While the government's quick response to social problems may seem to make short-term achievements as intended, it is difficult to maintain continuous criticism and performance from policy consum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ooperative relationship to propose a stable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olicy in the mid to long term. Policy personnel (government, president, minister, etc.) and policy consumers (university, professor, student, etc.)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olicy should aim to establish cooperative governance. In this study,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olicy exists as a flow of policy problems, a flow of politics, and a flow of policy alternatives, and there is a limit to the analysis period until the period when the policy is introduced. Since policies are subject to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influences through the stages of policy formation, policy decision-making, policy execution, and policy evaluation, or constantly changing through the process of reflux, the overall policy change could not be analyz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olicy from a comprehensive perspective after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olicy has undergone all the stages of policy formation, policy decision, policy execution, and policy evaluation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