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35 Download: 0

뉴노멀시대 박물관 교육을 위한 에듀케이터의 역량 모델링

Title
뉴노멀시대 박물관 교육을 위한 에듀케이터의 역량 모델링
Other Titles
Modelling the Educators for Museum Education in the New Normal Era
Authors
최지선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공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소효정
Abstract
COVID-19의 발발은 전 세계의 사회, 문화, 경제적인 변화를 초래했다. 이로 인해 기존의 사회, 문화, 경제 체제가 정지되었고 비대면으로 이루어지는 새로운 시대인 뉴노멀(New Normal)시대가 도래했다. 이러한 사회의 변화는 직무 변화를 야기하며, 다양한 직종에서 뉴노멀 시대에 요구되는 역할과 역량이 무엇인가에 대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사회문화적 기관인 박물관 또한 뉴노멀 시대에 발맞춰 나가기 위해 변화를 꾀하고 있으며, 이는 박물관 주요 인력들에게 요구되는 역할과 역량의 변화도 있으리라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7~18세기 이래로 박물관의 주요 역할 중 하나인 박물관 교육이 뉴노멀시대 박물관에서 제대로 기능을 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뉴노멀시대에 박물관 교육 전문가인 에듀케이터의 역할이 달라진 것이 있는지 확인하고, 뉴노멀시대 박물관 에듀케이터에게 필요한 역량을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아래와 같다. 1. 뉴노멀시대 박물관 에듀케이터의 변화된 역할은 무엇인가? 2. 뉴노멀시대 박물관 에듀케이터 역할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역량은 무엇인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수행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4단계의 역량모델링 과정을 거쳤다. 먼저 1단계는 자료수집을 위한 단계로, 박물관 에듀케이터 역량과 관련한 선행연구 분석과 박물관 교육에서 실무를 담당하고 있는 에듀케이터 11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하였다. 면담을 하기 앞서 박물관 에듀케이터의 업무와 업무 절차를 통해 역할 및 역량을 확인하기 위해 STAR 방식을 참고하여 면담 질문지를 구성했다. 2단계로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네이버 클로바를 활용하여 전사하였고, 전사된 자료는 선행연구에서 확인한 역량을 참고하여 초기 모델을 완성했다. 3단계는 전문가 패널들로부터 타당성을 확인받기 위한 단계로 초기 모델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박물관 교육에서 15년 이상 근무하고 박물관 관련 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 소지한 실무자 및 박물관 교육 경력이 5년 이상 있는 행정가를 포함한 박물관 교육 전문가 패널 3명을 대상으로 두 차례의 타당성 조사를 실시했다. 1차 타당도 설문에서는 전문가 패널의 다양한 의견을 피드백 받아 초기 역량모델을 수정, 보완, 삭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수정된 역량모델은 2차 타당도 검사에서 5점 척도를 활용한 수치화된 검사를 진행하였다. 질적, 양적 타당성 검사를 통해 수정되어 4단계의 최종 모델을 도출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는 다음과 같다. 조사를 통해 최종 확정된 뉴노멀시대 박물관 에듀케이터의 역량은 4 개의 역할과 6 개의 역량 14 개의 하위요소와 38 개의 행동지표가 개발되었다 . 먼저 역할 에 있어 코로나 이전의 박물관 에듀케이터 역할과 비교함에 있어 차이가 크지 않다 . 그러나 다음 중 ‘ 역할이 시사하는 바가 있다 . 기존의 박물관교육에서 박물관 에듀케이터와 참여 관람객 및 박물관 교육을 운영하는 인력 의 수직적 관계가, 새로운 환경에서 함께 적응하고 배워가는 수평적 관계로 변화되 었다는 점에서 해당 명칭의 역할이 등장 했다. 둘째, 뉴노멀시대 박물관 에듀케이터의 역량 중 ‘디지털 리터러시’역량이 기존 연구와 가장 큰 차별성을 띄는 역량으로 디지털 어포던스를 제외한 디지털 의식·태도와 디지털 상호작용의 내용타당도(CVR)와 합의도가 1에 수렴함에 따라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에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에 있어 전문가에 대한 조금 더 명확한 기준 및 많은 수의 패널이 요구된다 . 후속 연구에서는 전국을 범위로 협의적 개념의 에듀케이터 패널의 수를 확보해 더욱더 객관적인 지표를 확인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을 활용한 원격교육을 뉴노멀시대 박물관 교육의 모습으로 한정하여 바라보았다 . 그러나 박물관이라는 공간을 어떻게 활용하고 이용하는지에 대한 다양한 방법들로 추가될 것이며, 또 다른 뉴노멀시대 박물관 교육 연구가 후속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역량을 토대로 현장 박물관 에듀케이터들이 실제 보유하고 있는 역량 수준을 진단, 분석하고 현장의 요구도를 확인하는 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뉴노멀시대 박물관 에듀케이터의 역할과 역량은 새로운 박물관 교육 환경에서 에듀케이터가 박물관에서 어떤 역할과 위치를 갖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 뉴노멀시대에 추가적으로 요구되는 박물관 역량은 박물관 에듀케이터의 전문성 강화와 성공적인 박물관 교육 실천에 영향을 줄 것이다. 따라서 에듀케이터의 박물관 내에서 전문성을 강화시켜 박물관의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을 것이다. ;The outbreak of COVID-19 has led to social, cultural, and economic changes around the world. As a result, the social, cultural, and economic systems were suspended and a new era of New Normal, non-face-to-face, arrived. These changes in society cause job changes, and research is being conducted on what roles and competencies are required in the New Normal era in various occupations. The museum, a socio-cultural institution, is also making changes to keep pace with the New Normal era, which can be expected to change the roles and capabilities required of major museum personnel.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at museum education, one of the main roles of museums since the 17th and 18th centuries, functions properly in museums in the New Normal era. In addition, it is to check if the role of the museum's education expert has changed in the New Normal era, and to examine the capabilities required for museum's education in the New Normal era. The research problems set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changed role of museum educators in the New Normal era? 2. What are the competencies required to act as museum educators in the New Normal era? In order to carry out the above research problems, in this study, four stages of competency modeling were performed. The first stage was for data collection, analyzing previous studies,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1 educators in charge of practical affairs in museum education. The second stage, data collected through the interview were transcribed using Naver Clova. The transcribed data were completed by referring to the competencies identified in previous studies. The third stage is a step to get confirmation of validity from expert panel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initial model, three panel of museum education experts, including practitioners with masters and doctorate degrees in museum-related departments and administrators with more than five years of museum education, were conducted twice. The competency model modified through two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feasibility tests derived the final model of four sta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blem are as follows. The competencies of the museum's educator in the New Normal era, which were finalized through the survey, were developed with 4 roles, 6 competencies, 14 sub-elements, and 38 behavioral indicators of behavior. First, in terms of roles, the roles do not differ in comparison with the role of museum educator before COVID-19.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he professionalism of the museum education job in the museum has not changed. However,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role of 'supporter' has emerged in that the vertical relationship between museum educators, participating visitors and instructors in the museum education has changed to a horizontal relationship to adapt and learn together in a new environment. Second, the capabilities of museum educators in the New Normal era, the need for digital literacy capabilities can be confirmed as the content validity (CVR) and consensus of digital interactions, excluding digital affordance, converge to 1.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subjects require clearer standards for experts and multiple panels. In subsequent studies,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number of national consultation concept educators panels to confirm more objective indicators. Second, in this study, it was limited to distance education using digital in New Normal museum education. However, it will be added in various ways to use and use the space of a museum, and another new museum education study in the New Normal era will be needed subsequently. Third, a follow-up study is needed to diagnose and analyze the level of competency possessed by field museum educators based on the competencies identified through this study and to confirm the needs of the field. The roles and competencies of museum educators in the New Normal era developed in this study can provide information on what roles educators have in museums in the new museum education environment. In addition, additional museum competencies required in the New Normal era will affect the strengthening of museum education professionalism and successful museum education practice. Therefore, it will be possible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function of the museum by strengthening the expertise within the museum of the educato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