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8 Download: 0

학교상담 역량에 대한 초등 전문상담교사와 중등 전문상담교사의 요구도 차이 비교 연구

Title
학교상담 역량에 대한 초등 전문상담교사와 중등 전문상담교사의 요구도 차이 비교 연구
Authors
전은경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인수
Abstract
As an interest in students’ mental health increases in Korea, the number of school counselor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cross the country is steadily increasing. Under the current school counseling system,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training courses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ounselors. Howeve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not only show different developmental aspects, but also differ in the tasks they achieve at each stage of development.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school counseling competency required for school counselors at each school level, assuming that there will be differences in school counseling services provided according to the students’ stage of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needs of school counseling competency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ounselors to figure out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required competencies of school counselors depending on the school level, and to derive implications improving the training curriculum and education for school counselors.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First, what are the needs and priorities of competency for school counselors? Second, what are the needs and priorities of competency for school counselors according to school level? This study conducted a Delphi survey to verify a content validity of the research tool. Based on the questionnaires confirmed through the Delphi surve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211 school counselors across the country. 209 responses, excluding two untrustworthy respons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SPS 27, jamovi 2.2.5 and Excel, and the competency needs were analyzed and priority was determined using the overlap of the paired t-test, the Borich’s formula, and the The Locus for Focus model.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regardless of the school level, ‘improvement of professionalism’ was the first priority competency needs of school counselors. In addition, four of the second priority needs were derived: ‘understanding students’, ‘theory and technique of counseling’, ‘professional attitude’, and ‘role harmonization’. The results of the needs analysis of school counseling competency for school counselors according to school level are as follows. In common with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ounselors, the first priority competency needs were ‘understanding students’ and ‘improvement of professionalism’. ‘professional attitude’ was identified as the first priority competency needs in elementary school and identified as the second priority competency needs in secondary school. In addition, the ‘theory and technique of counseling’ was the second priority competency needs for both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ounselors. On the other hand, ‘parent and teacher consultation’, ‘utilization of community resource’ and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were identified as the second priority competencies only for elementary school counselors. For secondary school counselors, ‘role harmonization’ and ‘adaptation to school organization’ were classified as the second priority competencie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the necessity of support such as supervision and regional case study groups for the development of school counselors' professionalism.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counseling techniques using various medium such as art and play therapy and group counseling competency need to be strengthened, and education related to case conceptualization and supervision should be provided. This study also discussed the need for systematic changes and environmental development that can help school counselors form their identity as an expert and need for education and support to resolve role conflicts. Furthermore, additional education related to parent and teacher consultation and community network was proposed for elementary school counselors, and the necessity of education of understanding school organization for school counselors and education of understanding school counseling for school members was discuss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e sense that it complemented the limitations of the previous studies by collecting more than 100 samples of each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ounselors. It is also meaningful that this study provided useful information to improve the training curriculum and education for school counselors by analyzing their competency needs. In particular, this study is distinguished from the previous studies by confirming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riority of competencies required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ounselors. Regarding student education, the necessity of discussion on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school counselors was also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as both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ounselors showed large deviation of the present competence level and required competence level.;학생의 정신건강에 대한 관심이 커짐에 따라 전국의 초등 및 중등학교에서 전문상담교사 배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현행 전문상담교사 제도는 초등 전문상담교사의 양성과정과 중등 전문상담교사의 양성과정 간에 차이가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초등학생과 중고등학생은 발달적으로 다른 양상을 보일 뿐만 아니라 각 발달 단계에 성취하는 과업도 다르다. 이에 본 연구는 학생의 발달 단계에 따라 제공하는 학교상담 서비스에 차이가 존재할 것이라고 가정하고 학교급별 전문상담교사에게 요구되는 학교상담 역량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중등 전문상담교사의 학교상담 역량 요구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학교급별로 전문상담교사에게 요구되는 역량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이를 통해 전문상담교사 양성과정 개편 및 직무연수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전문상담교사의 역량별 요구도와 우선순위는 어떠한가? 둘째, 학교급에 따른 전문상담교사의 역량별 요구도와 우선순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먼저 연구 도구의 내용타당도 확보를 위하여 2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델파이 조사를 통해 확정된 설문 문항을 토대로 전국의 현직 전문상담교사 21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211개의 응답 중 불성실한 응답 2부를 제외한 총 209명의 응답을 실제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SPS 27, jamovi 2.2.5, Excel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대응표본 t검정, Borich 요구도 공식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의 중복성을 활용하여 역량별 요구도를 분석하고 우선순위를 결정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전체 전문상담교사의 학교상담 역량에 대한 요구를 살펴보면, 학교급을 구분하지 않고 교육요구도가 가장 높은 최우선순위 요구 역량으로는 ‘전문성 향상’이 확인되었다.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 중 하나에서만 높은 요구를 보인 차순위 요구 역량으로는 ‘학생 이해’, ‘상담이론 및 기법’, ‘전문가적 태도’, ‘역할 조화’ 4가지가 도출되었다. 다음으로 학교급별 전문상담교사의 학교상담 역량에 대한 요구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등과 중등 공통적으로 교육에 대한 요구가 최우선순위로 높게 나타난 역량은 ‘학생 이해’와 ‘전문성 향상’ 역량이었다. ‘전문가적 태도’는 초등에서는 최우선순위 요구 역량으로 확인되고 중등에서는 차순위 요구 역량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상담이론 및 기법’은 학교급에 상관없이 초등과 중등 모두 차순위 요구 역량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학부모 및 교사 자문’, ‘지역사회 자원 활용’, ‘의사소통과 협력’은 초등에서만 차순위 요구 역량으로 확인되었으며, 중등의 경우 ‘역할 조화’와 ‘학교 조직 적응’이 차순위 요구 역량으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전문상담교사의 전문성 발달을 위해 수퍼비전이나 지역별 사례연구회 등 지원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또한 사례개념화 관련 연수나 수퍼비전,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상담 기법과 집단상담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더불어 전문상담교사가 전문가로서 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는 시스템적 변화와 환경 조성에 대한 필요성과 역할 갈등 해소를 돕는 교육 및 지원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그 외 초등 전문상담교사를 대상으로는 학부모 및 교사 자문, 지역사회 연계 관련 추가적인 교육을 제안하였고, 전문상담교사 대상 학교 조직 이해 교육과 학교 구성원 대상 학교상담 이해 교육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 전문상담교사와 중등 전문상담교사의 표본을 각 100명 이상 확보함으로써 기존 선행연구의 한계를 보완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전문상담교사의 역량 요구를 분석하여 전문상담교사 양성과정 및 직무연수 개선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였다는 것에도 의의가 있다. 특히 본 연구 결과에서 초등과 중등 전문상담교사에게 요구되는 역량의 우선순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한 것에서 기존의 연구와 차별성을 두고 있다. 학생 교육과 관련하여서는 초등과 중등 전문상담교사 모두 현재 수준과 필요 수준에 대한 편차가 크게 나타남에 따라 전문상담교사의 교육활동에 대한 논의와 합의의 필요성 또한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