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0 Download: 0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조건부 관심과 사회불안의 관계

Title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조건부 관심과 사회불안의 관계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ditional Regard of Parents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and Their Social Anxiety : The sequential dual mediating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uthors
조영희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남지은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지각하는 부모의 조건부 관심과 사회불안 관계에서 인지-정서적 측면의 거부민감성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를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남녀 고등학생 294명(남자 231명, 여자 63명)을 대상으로 부모의 조건부 관심척도, 사회불안척도, 거부민감성척도,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척도로 구성된 자기 보고식 설문 조사를 실시한 후 수집된 294개의 표본을 이용해 변인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서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인 질문에 부모와 관련된 질문을 포함하여 부모의 조건부 관심, 사회불안, 거부민감성,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을 측정하는 척도를 사용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수집된 설문자료는 SPSS 26.0과 Macro 4.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기반으로 먼저 각 변인의 일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한 후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후 개별매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후 다음으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의 이중매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Macro Model 6으로 분석하여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조건부 관심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거부민감성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가 유의적임을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부모의 조건부 관심과 사회불안 그리고 거부민감성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등 모든 변인 간에 관련성이 유의적으로 나타났으며, 변인들 모두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부모의 조건부 관심과 사회불안 간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이 매개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실시한 결과 부모의 조건부 관심과 사회불안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이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으며, 거부민감성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을 매개로 하는 순차적 이중매개모형의 적합도가 적절하였다. 즉 부모의 조건부 관심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순차적으로 거부민감성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이 투입했을 때 이중매개효과는 간접매개로 유의했으며, 이는 부모의 조건부 관심에 대한 청소년 자녀의 지각 정도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정적 영향에서 두 변인이 매개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종합하면,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조건부 관심이 직접적으로 이들의 사회불안을 예측하고, 거부민감성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을 통하여 사회불안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청소년 자녀의 사회불안 유발을 예측하는 변인들과 그 기제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중요한 변인 중에 환경적 요인 즉 외적 요인인 부모의 조건부 관심과 인지-정서적 측면의 요인인 청소년이 가진 거부민감성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모두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했으며. 특히 부모의 조건부 관심은 현재 국내에서 많이 연구되지 않은 변인으로 사회불안과 함께 연구가 많이 진행되지 않았기 때문에 본 연구를 통해 서로에 대한 관련성을 증명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부모의 조건부 관심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여 고등학생의 사회불안에 대한 교육 및 상담 개입 전략 또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활용되어질 것이라 기대된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equential dual mediating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in the cognitive-affective asp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ditional regard of parents perceived by adolescents and their social anxiety.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administered a self-report questionnaire comprised of scales on the conditional regard of parents, society anxiety, rejection sensitivity,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to 294 high school students (boys: 231, girls: 63) and used all 294 samples colle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In the online survey, a scale on the conditional regard of parents was used that contained questions about them in addition to demographic questions for high school students along with scales on social anxiety, rejection sensitivity,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with the SPSS 26.0 and Macro 4.0 program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and followed by correlation analyses to figure out the general tendencies of each variable based on the collected data. Following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separate mediating effects, Macro Model 6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to test whether the two variables ha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n the impacts of the conditional regard of parents perceived by adolescents and their social anxiety.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s of each variable and found that all of the variables including the conditional regard of parents, social anxiety, rejection sensitivity,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howed significant connections and positive correlations with one another. Furthermore, the study performed bootstrapping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ditional regard of parents and social anxiety and found that both the variables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between them. The results also demonstrated proper fitness of the sequential dual mediating model via rejection sensitivity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That is, there were significant dual partial mediating effects when rejection sensitivity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were sequentially put in the impacts of the conditional regard of parents on social anxiety, which indicates that these two variables played mediating roles on the positive impacts of the perception level of adolescence on the conditional regard of parents on their social anxiety. In short, the findings of the study demonstrate that the conditional regard of parents perceived by adolescents directly predicted their social anxiety and could cause it via rejection sensitivity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In other words,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emonstrated variables causing social anxiety in adolescent children and their mechanisms. It was found that their social anxiety was under the influence of the conditional regard of parents, an environmental or external factor of the different variables influencing their social anxiety, and also their rejection sensitivity and adolescent children strategies as cognitive-affective factors. The conditional regard of parents is a variable that has not received much research interest in the nation with few studies that addressed it along with social anxiety.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connections between them, thus holding its significance. The study also demonstr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adolescent childre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ditional regard of parents and social anxiety, providing its findings to serve as a basis in education and counseling intervention strategies or measures for the social anxiety of high school stud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