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8 Download: 0

학령후기 아동의 일반적 또래애착과 가장 친한 친구 애착이 자아존중감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Title
학령후기 아동의 일반적 또래애착과 가장 친한 친구 애착이 자아존중감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peer attachment and best friend attachment on psychological adjustments of early adolescent
Authors
권민송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남지은
Abstract
한 개인이 삶에서 얼마나 잘 기능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심리적 안녕감과 개인이 자신에 대해 가지는 긍정적, 부정적 태도를 통한 자신의 가치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인 자아존중감은 학령후기 아동의 중요한 심리적 적응 변인으로 여러 연구에서 그 영향이 반복 검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령후기 아동의 부애착, 모애착, 또래애착, 가장 친한 친구 애착이 심리적 안녕감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서울 소재의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39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온 Armsden과 Greenberg(1987)의 부모 및 또래애착 척도(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PPA)와 애착 이론을 기반으로 가장 친한 친구 한 명과의 경험을 통한 애착 양상을 측정하는 Wilkinson(2008)의 가장 친한 친구 애착 척도(Adolescent Friendship Attachment Scale; AFAS), 자아존중감 척도, 심리적 안녕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SPSS 28.0.1.1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상대적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애착, 모애착, 또래애착, 가장 친한 친구 애착, 심리적 안녕감, 자아존중감 각 변인 간의 상관관계는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라 또래애착 및 가장 친한 친구 애착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학년에 따라 부애착, 모애착, 가장 친한 친구 애착의 안정애착과 회피애착, 심리적 안녕감,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학년과 부애착, 모애착, 또래애착을 통제한 후 가장 친한 친구 애착 중 불안·양가애착만이 자아존중감을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다섯째, 학년과 부애착, 모애착, 또래애착을 통제한 후 가장 친한 친구 애착의 모든 하위요인이 심리적 안녕감을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여섯째, 자아존중감을 예측하는 데 있어서 모애착, 또래애착, 부애착, 불안·양가애착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심리적 안녕감을 예측하는 데 있어서 모애착, 또래애착, 부애착, 불안·양가애착, 안정애착, 회피애착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령후기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심리적 안녕감에 부애착, 모애착, 또래애착과 더불어 가장 친한 친구 애착이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초기 청소년들이 그들의 친구의 가치를 이해하고, 다양하고 긍정적인 친구 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담적, 교육적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그에 맞는 프로그램 개발하고 활용하는 데 기초자료가 될 수 있겠다. 또한, 심리적 적응을 예측하는 데 있어 애착 변인들 간의 차별화된 영향력을 확인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 어머니와의 정서적 유대가 학령후기 아동의 심리적 적응에 여전히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학교현장뿐만 아니라 가정, 지역사회 등 아동의 주변 체계가 연합하여 아동의 심리적 건강을 위해 개입해야 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심리적 적응에 대해 또래애착과 가장 친한 친구 애착 중 또래애착의 영향력이 더 높게 나타난 것은 학령후기는 분명 친구 관계의 범위가 좁아지고 단짝 친구를 형성하는 것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는 시기이지만, 자아존중감과 심리적 안녕감을 얻는 데 있어 개인이 속한 또래 집단의 질이 더 중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influence of parent attachment, peer attachment and best friend attachment on self-estee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early adolescent. A survey was conducted with 399 students in 5th and 6th grades at elementary school in Seoul, and five instruments were used, including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IPPA), Adolescent Friendship Attachment Scale(AFAS), Self-Esteem Scale,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8.0.1.1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of father attachment, mother attachment, peer attachment, best friend attachment,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lf-esteem were all significant.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peer attachment and best friend attachment.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grade differences in the stable attachment, avoidance attachment,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lf-esteem of father attachment, mother attachment, and best friend attachment. Fourth, after controlling for grade, father attachment, mother attachment, and peer attachment, only anxiety/ambivalent attachment among best friend attachments significantly explained self-esteem. Fifth, after controlling for grade, father attachment, mother attachment, and peer attachment, all sub-factors of best friend attachment significantly explained psychological well-being. Sixth, it was found that the mother attachment wa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to predict the self-esteem in early adolescent. On the other hand, anxiety/ambivalent of best friend attachment appeared to have the lowest influence on the self-esteem. Seventh, in predicting psychological well-being, it was found that mother attachment wa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Avoidance of best friend attachment appeared to have the lowest influence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firmed that attachment to best friends along with attachment to father, mother attachment, and peer attachment had an effect on self-estee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early adolesc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unseling and educational interventions are needed so that early adolescents can understand the value of their friends and have experiences diverse and positive friendships. This study can serve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and utilizing appropriate programs. In addition,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firmed the differentiated influence between attachment variables in predicting psychological adapt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emotional bond with the mother is still an important factor in the psychological adaptation of early adolescent. This suggests that not only the school site, but also the surrounding systems of the child, such as the family and the local community, should intervene for the psychological health of the child. Lastly, the higher influence of peer attachment on psychological adaptation suggests that the quality of the peer group to which an individual belongs may be more important than the quality of dyadic, intimate relationship in obtaining self-estee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