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2 Download: 0

학대피해아동의 회복 탄력성을 위한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Title
학대피해아동의 회복 탄력성을 위한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qualitative cases on art therapy intended for the resilience of abused child
Authors
안진주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문리학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학대피해아동의 회복탄력성에 대한 미술치료가 아동에게 어떤 변화와 경험을 주었으며, 그 의미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에서 대두되는 아동학대 문제에 대하여 학대피해아동의 회복탄력성에 대한 미술치료가 주는 의미를 심층적으로 탐구하고자 질적 사례 연구 방법을 적용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A아동보호전문기관에서 아동학대 사례로 판단되어 사례관리하고 있는 만 10세 남아이다. 사례는 2022년 3월 29일부터 2022년 5월 23일까지 총 13회기로 진행했으며, 주 2회씩 50분간 S아동보호전문기관 미술치료실에서 진행하였다. 학대피해아동의 회복탄력성에 대한 미술치료의 목표는 학대경험으로 인한 부정적 감정을 탐색하고 표출하며 조절하는 능력이 향상되고, 타인의 마음과 감정 상태를 이해하고 공감하며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는데 있다. 또한, 긍정적 자아상 확립으로 희망찬 미래를 소망하도록 했다. 이러한 목표를 중심으로 미술치료 회기를 구성하였다. 자료 수집은 아동보호전문기관 담당 사회복지사, 참여자 모, 참여자와 진행된 사전 면담 자료 및 참여자의 미술치료 전회기 과정의 축어록, 연구자가 매 회기 마다 언어적, 비언어적 표현에 대한 내용을 관찰 일지, 회기마다 진행된 미술치료 작품을 통해 이뤄졌다. 자료 분석에서는 질적 자료를 분석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Glaser와 Strauss(1967)가 개발한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활용하여 학대피해아동의 미술치료 경험과 의미를 자료를 분석했다. 이에 따라 본 연구 과정에서 수집된 모든 자료를 반복해서 읽고 분석하며 개방코딩으로 모든 자료를 코딩했으며, 지속적인 비교를 통해 상위범주로 범주화를 거치며 학대피해아동의 미술치료의 경험과 그 의미를 분석하고자 했다.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한 결과, 총 6개 상위 주제와 13개 하위주제로 도출되었다. 도출된 상위 주제는 <무료한 일상과 미술의 어려움에서 편안함을 경험함>, <내 감정을 드러내기 어렵고, 불안한 마음이 큼>, <미술치료 안에서 나의 감정을 표현하며, 억눌린 감정을 해소함>, <긍정적인 나의 모습을 발견하고, 주위를 돌아보는 여유가 생김>, <나를 온전히 받아주고 지지해주는 미술 공간>, <새로운 가정과 나의 미래에 대한 희망을 품게 됨> 이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대피해아동의 회복 탄력성에 대한 미술치료를 통해 경험한 것과 그 의미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는 미술치료를 통해 감정을 시각화함으로써 내재된 감정을 표출하고 통제함으로써 자기조절능력이 향상되었다. 미술치료를 통해 참여자는 일생에서의 복잡하고 어려운 감정을 표출하면서 스스로 내재된 감정을 인지하게 되고 건강하게 감정을 표현하고 통제력을 획득했다. 둘째, 참여자는 미술치료를 통해 사회적 지지체계를 탐색하고, 가족 내 관계를 재구성함으로써 대인관계능력을 확장하게 되었다. 미술치료 안에서 참여자는 연구자와의 신뢰된 관계를 형성하며 건강한 관계에 대한 의미를 재구조화 하였으며, 연구자를 통해 받은 신뢰와 안정감을 느끼며, 가족을 포함한 외적 지지체계를 인지하게 되었고 건강한 사회화 과정을 경험하게 되었다. 셋째, 미술치료를 통해 학대피해아동인 참여자는 아동학대 가해자였던 모와 양가감정에서 분리되며 긍정적인 자아상을 확립하게 되었다. 또한, 새로운 환경을 기대하며 건강한 미래희망을 고취하였다. 이를 종합해 볼 때, 학대피해아동의 회복탄력성에 대한 미술치료를 통해 학대피해아동은 외상으로 인한 내재된 감정을 표출하고, 통제함으로써 자기조절능력이 향상되었다. 또한, 미술치료 안에서 연구자의 지지를 경험하며 사회적 지지체계 및 가족 내 관계를 재구성을 통해 외적 자원을 인식하여 대인관계능력을 확장하게 되었다. 더 나아가 아동학대 가해자였던 모와의 양가감정에서 분리되어 자신을 가치 있게 바라보며 긍정적인 자아상을 확립할 수 있었다. 이로써 학대피해아동은 모에 의한 학대 사건으로 인한 부정적 감정에서 벗어나 긍정적인 내·외적 지지체계들로 앞으로 가족과 함께 보낼 희망적인 미래를 소망할 수 있는 힘을 얻게 되었다. ;This research aims to study the meaning, experiences, and changes caused by art therapy intended for the resilience of abused child. Child abuse is a rising concern in our society, and in line with the purposes, this research applied a qualitative case study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art therapy for the resilience of abused child. The participant of this research is a 10-year-old boy under case management for child abuse by A child protection institution. The cases under the study had 13 sessions from March 29, 2022, to May 23, 2022. The sessions took place in the art clinic room of S child protection institution for 50 minutes twice a week. The goals of art therapy for the resilience of abused child were to control emotions by exploring and expressing negative emotions that are caused by abused experiences and to maintain an amicable relationship with others by understanding and sympathizing with the mind and emotions of others. Furthermore, the sessions drove the participant to hope for a brighter future by establishing a positive self-image. The art therapy sessions were planned to achieve the goals mentioned above. The materials collected include minutes of consultation attended by the social worker of the children protection institution, the mother of the participant, and the participant prior to the sessions, a summary of the participant's all art therapy sessions, an observation journal on the linguistic and non-linguistic expressions recorded by the researcher in each session, and artworks used during each art therapy session. The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developed by Glaser and Strauss (1967), which is commonly used for qualitative case analysis, was applied to analyze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art therapy on abused child from the materials. The researcher repeatedly read and analyzed all collected materials and coded them using open coding. Categorization to higher category took place through constant comparison to analyze the art therapy experience of abused child and its meanings. The result of material collection and analysis yielded 6 higher topics and 13 lower topics. The yielded higher topics are , , , , , and . Based on the research,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rom the experiences and the meanings of art therapy intended for the resilience of abused child. First, the participant enhanced his self-control ability by expressing and controlling suppressed feelings through visualizing emotions using art therapy. The participant expressed a complex and complicated emotions felt in his daily life through art therapy. The therapy allowed him to recognize the emotion suppressed within himself and helped him express and healthily control the emotions. Second, the participant explored the social support system and reconstructed the relationship within his family through art therapy. In this way, he was able to expand his social relationship skills. During the art therapy session, the participant formed a trustable relationship with the researcher, reconstructed the meaning of a healthy relationship, was comforted by the trust shown by the researcher, recognized the external support system, including that of his family, and experienced the healthy socialization process. Third, the participant, a victim of child abuse, was separated from his mother, the perpetrator of child abuse. This way, he was freed from ambivalence and formed a positive self-image. Moreover, he was inspired to have expectations of the new environment and hope for a healthy and hopeful future. Overall, art therapy for the resilience of abused child releases the feelings suppressed in abused children due to trauma and enhances self-control ability by controlling such feelings. In addition, the participant expanded interpersonal competency by recognizing external resources through experiencing support from the researcher during the art therapy session and reconstructing the family's social support system and relationship. Furthermore, the participant was able to form a positive self-image by viewing himself as a valuable person, as he was separated from the ambivalence he had from the child abuse perpetrator, his mother. In this way, the abused child was freed from negative emotions from his mother's child abuse case and gained the strength to hope for a brighter future that he will have with his family from the positive internal and external support system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