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9 Download: 0

연령과 성별에 따른 우울과 비만의 관련성

Title
연령과 성별에 따른 우울과 비만의 관련성
Other Titles
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obesity according to age and gender : Analysis of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uthors
최하원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임상보건융합대학원 국제보건정책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융합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안성복
Abstract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성별과 연령에 따른 체질량지수를 세분화하여 우울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비만과 우울 예방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자료는 질병관리청에서 시행하는 국민건강영양조사 2014년, 2016년, 2018년, 2020년 총 4개년도의 자료를 활용하였고, 연구 총 대상자는 남성 9,373명 여성 12,254명으로 총 21,627명을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건강 관련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고, 체질량 체질량지수에 따른 우울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총 4단계의 교란변수를 보정한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령과 성별을 구분하고 체질량지수와 우울과의 관련성을 파악한 결과, 20-39세 BMI<18.5 남성 OR=0.819(95% CI:1.066-3.102) 여성 OR=1.282(95% CI:1.001-1.642)로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났고, 20-39세 23<=BMI<25 여성 OR=0.766(95% CI:.599-.979), BMI>=30 여성 OR=1.583(95% CI:1.130-2.216)로 통계적인 유의성이 나타났다. 40-59세 BMI<18.5 남성 OR=2.431(95% CI:1.269-4.654)로 통계적인 유의성이 나타났다. 60세이상의 BMI<18.5 남성 OR=1.677(95% CI:1.029-2.735), 여성 OR=1.889(95% CI: 1.158-3.080), 23<=BMI<25 남성 OR=0.677(95% CI:.514-.891), 여성 OR=0.755(95% CI:.624-.914), 25<=BMI<30 남성 OR=0.704(95% CI:.543-.913) 여성 OR=0.806(95% CI:.676-.961) BMI>=30 여성 OR=0.619(95% CI:.439-.875)로 통계적인 유의성이 나타났다. 본 분석 결과 체질량지수에 따른 우울의 관련성은 남성과 여성 및 연령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남성은 저체중군에서 모두 정상 체질량지수 보다 우울할 가능성이 크고, 여성의 경우 20-39세 청년 집단은 2단계비만에서 정상체질량지수 보다 우울할 가능이 크지만, 60세이상 노년 집단은 저체중일수록 우울할 가능성이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가장 흥미로운 결과는 60세 이상 노년 집단이다. 60세 이상 노년 집단은 정상 체질량지수 대비 저체중일 경우 남성과 여성 모두 우울할 가능성이 크지만, 과체중 및 비만일수록 우울할 가능성이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비만과 우울을 예방 및 관리하기 위하여 체질량지수에 따른 성별과 연령을 세분화하여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추후 비만과 우울간의 인과관계를 명확히 밝히고, 저체중군 및 고도비만군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with depression by subdividing the body mass index according to gender and age using the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nd to prepare primary data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obesity and depression.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4, 2016, 2018, and 2020 conducted by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were used for the research data.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with a total of 4 confounding variables correct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mass index and depression. As a result of classifying age and sex and fi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mass index and depression. BMI <18.5 male OR = 0.819 (95% CI: 1.066-3.102) female OR = 1.282 (95% CI: 1.001-1.642) 20-39 years old 23<=BMI<25 female OR=0.766(95% CI:.599-979), BMI>=30 female OR=1.583(95% CI:1.130-2.216)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40-59 years of age BMI <18.5 male OR = 2.431 (95% CI: 1.269-4.654)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MI<18.5 male OR=1.677 (95% CI: 1.029-2.735) over 60 years old, female OR=1.889 (95% CI: 1.158-3.080), 23<=BMI<25 male OR=0.677 (95% CI:. 514-0.891), female OR=0.755 (95% CI:.624-.914), 25<=BMI<30 male OR=0.704 (95% CI:.543-.913) female OR=0.806 (95%) CI:.676-.961) BMI>=30 Female OR=0.619 (95% CI:.439-.875)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the association of depression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was different for men and women and for various age groups. All men underweight were more likely to be depressed than the average weight group. In the case of women, the 20-39 year old group was more likely to be depressed than the average weight group in obesity stage 2, but the underweight group was more likely to be depressed. The most interesting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in the group over 60 years old, when underweight compared to the regular weight group, both men and women were more likely to be depressed. Still, overweight and obese were less likely to be depress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ETC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