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59 Download: 0

코로나19 이후 서울시 소재의 중·고등학교 음악 수업 실태 및 현직 교사 인식 조사

Title
코로나19 이후 서울시 소재의 중·고등학교 음악 수업 실태 및 현직 교사 인식 조사
Other Titles
After COVID-19, the status of middle and high school music classes in Seoul and the perception of incumbent teachers
Authors
권지우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지혜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현직 중·고등학교 음악 교사를 대상으로 코로나19 이후의 음악 수업의 실태 및 인식에 대해 조사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소재의 중·고등학교 음악 교사 100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연구 문제에 따라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코로나19 상황에 따라 정해진 수업 방식에서 실음 중심 수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영역을 선택하여 지도한 것으로 코로나19 시기(20~21년) 동안 온라인 수업에서는 ‘감상’ 영역을 가장 많이 지도하였으며 대면 수업에서는 ‘기악’ 영역을 가장 많이 지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의 적극적인 수업 참여 독려가 어렵고 자기 주도 학습이 잘 이루 어지지 않아 학생들이 스스로 음악 요소 및 개념을 구별하는 것을 어려워하는 점과 저작권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온라인 수업 자료가 부족하다 보니 음원 및 악보의 저작권 문제로 인해 수업 자료 제공이 어려워 코로나19 시기(20~21년) 동안 감상 영역을 온라인 수업에서 지도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즉각적인 피드백이 중요한 실음 중심 수업에서 온라인 교육시스템의 기능 문제로 즉각적인 피드백 제공이 어려워 교사는 개인 SNS 계정으로 학생과 소통하고 있으나 교사의 근무 시간 외 업무나 사생활 침해로 이어질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는 점에서 연주 영역(가창, 기악)과 창작 영역을 온라인 수업으로 지도 시 학생과의 소통이 어렵다는 인식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넷째, 온라인 수업에서 연주 영역(가창, 기악)은 수업과 연계된 실기 수행의 평가가 학생의 학습 동기 유발로 이어져 학생의 적극적인 참여 유발이 어렵다는 감상 영역과는 다른 결과로 학생들의 자기 주도 학습 환경이 형성된다는 인식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코로나19 이후의 음악 수업을 위한 학교 현장 개선과 온라인 수업을 위한 프로그램, 교육 자료 개발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가 향후 음악 교육의 본질이 잘 실현되는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and perception of music classes after COVID-19 for current middle and high school music teacher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100 middle and high school music teachers in Seoul. Frequency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blem. The summary of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eachers selected and guided areas where practical sound-oriented classes could be effectively conducted according to the COVID-19 situation, and during the COVID-19 period(20-21), they guided the ‘listening' area the most in online classes and the ‘instrumental' area the most in face-to-face classes. Second, it was found that students did not teach online classes during the COVID-19 period(20-21) due to the difficulty of providing class materials due to copyright problems and the lack of online class materials that do not cause copyright problems. Third, teachers communicate with students through personal SNS accounts because it is difficult to provide immediate feedback due to the functional problems of the online education system, but it is not desirable to guide the performance(singing, instrumental) and creative areas through online classes. Fourth, in the field of performance(singing, instrumental music) in online classes, the perception that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environment is formed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of practical performance linked to class leads to motivation for learn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the school field improvement for music classes after COVID-19 and the development of programs and educational materials for online classes were necessar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an help realize the nature of music education well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