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83 Download: 0

정보제공 유형에 따른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언어 선별 평가 어플리케이션 이해도 및 만족도 연구

Title
정보제공 유형에 따른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언어 선별 평가 어플리케이션 이해도 및 만족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Understanding and Satisfaction of Language Screening Evaluation Application of Multicultural Mothers by Information Providing Types
Authors
이은진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태
Abstract
국제결혼은 2020년 16,177건으로 전체 결혼 213,502건 중 7.6%의 비중을 나타냈다. 국제결혼 중에 외국 출신 여성과 한국인 남성이 결혼한 비율은 66.4%로 가장 높았으며, 다문화 출생아는 전체 출생(272,337명) 대비 6.0%로 2015년 4.5%를 나타낸 이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통계청, 2021). 이렇듯 한국 사회는 빠르게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언어능력이 일반 아동에 비해 전반적으로 낮으며, 다문화가정 어머니는 언어적 어려움과 정보 부족 등의 이유로 아동의 언어발달이 적절한지에 대한 판단이 어렵다고 한다(최은정 외., 2019; 황상심, 2018). 언어적 어려움은 조기에 선별하여 조기중재를 하는 것이 아동의 언어능력 향상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 그러나 국내 선별검사는 국외의 검사를 번안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대부분 영아용으로 유아의 발달상의 문제를 조기에 판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타당하고 신뢰로운 도구가 부족한 실정이다(손원경, 황해익, 2004; 이소현, 2000). 이렇듯 일반아동의 선별검사 또한 부족한 현실에서 다문화가정 아동들을 위한 선별검사 개발은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때문에 다문화가정 아동들을 위한 선별검사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김애화, 2007). 또한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은 아동의 언어 발달에 대한 정확한 지식이 부족하며, 조기선별 및 조기중재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지 못하여 선별검사에 대한 접근성이 매우 낮다(김화수 외, 2010; 최은정 외., 2019).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필요성으로 한국사회과학연구(SSK)를 통해 개발된 프로토콜인 ‘아동 언어 및 정서·행동 발달 평가’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고자 한다. 다문화 가정 어머니들의 언어적 어려움을 위한 지원으로는 검사지나 안내문에 사용되는 전문용어들을 일상적인 단어로 쉽게 설명하는 것과 예시는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영어와 베트남어 이외의 언어로도 다양하게 번역을 지원해주었으면 한다는 요구가 있다(최은정 외., 2019). 다양한 분야에서 시청각 자료를 활용한 정보제공(사전 교육)이 이해와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떠한 유형으로 사전교육을 제공하였을 때, 언어 선별 평가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이해도와 만족도를 높이는데 더 효과적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정보제공 유형에는 크게 이중부호화 이론과 인지부하이론이 존재하며, 정보제공 시 그림과 텍스트로 이루어진 단일 양식으로 제시하였는가 혹은 그림과 나레이션으로 이루어진 이중양식으로 제시하였는가에 따라 대상자들의 수행에 차이가 발생된다고 보고하는 선행연구가 있다(Mayer & Moreno, 199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보제공 유형을 텍스트와 동영상으로 나누어 어떠한 유형이 언어 선별 평가 어플리케이션의 이해도와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베트남 다문화가정 어머니 20명을 대상으로, 10명은 텍스트 그룹, 10명은 동영상 그룹으로 나누어, 사전·사후 평가를 통해 어떠한 정보제공 유형이 이해도·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과정은 사전평가, 정보제공, 사후평가 순으로 진행되었으며, 사전·사후 평가는 두 집단 모두 동일한 이해도·만족도 설문지로 실시하였다. 사전평가와 사후평가 사이에는 약 2~4주의 기간을 두었고 정보제공은 사후 평가 하루 전에 전달하였다. 정보제공의 내용은 두 유형 모두 동일하며, 텍스트 그룹은 Google 문서 링크를 통하여 제공되었고, 동영상 그룹은 유튜브 링크를 통해 제공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제공 유형(텍스트, 동영상)에 따른 집단 간 이해도와 정보제공 유형과 사전·사후 평가 간 상호작용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정보제공 유·무에 따른 사전·사후 이해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이해도 설문지의 하위 범주의 사전-사후 통계 결과, 텍스트 그룹은 6개 범주 중 2개 범주(평가 어플리케이션 문항, 어플리케이션 사용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동영상 그룹은 6개 범주 중 5개 범주(언어전반, 조기중재, 평가 어플리케이션, 어플리케이션 문항, 어플리케이션 사용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텍스트로 정보제공을 받았을 때 보다 동영상으로 정보제공을 받았을 때 이해도의 사전·사후 차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정보제공 유형에 따른 집단 간 만족도와 정보제공 유형과 사전·사후 평가 간 상호작용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정보제공 유·무에 따른 사전·사후 만족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사후 만족도 평가가 사전 만족도 평가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다. 넷째, 만족도 설문지의 하위 범주의 사전-사후 통계 결과, 텍스트 그룹은 5개 범주 중 4개 범주(어플리케이션 전반, 어플리케이션 문항,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평가 어플리케이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동영상 그룹은 5개 범주 중 4개 범주(어플리케이션 전반, 어플리케이션 문항,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평가 어플리케이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만족도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성부터 문항까지 텍스트와 동영상 형식의 정보제공 모두 전반적인 사전·사후 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종합하면, 정보제공의 유·무는 언어 선별 평가 어플리케이션의 이해도 및 만족도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기 때문에, 정보제공이 어플리케이션의 사용과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해도와 만족도 모두 정보제공 유형과 사전·사후 평가 간 상호작용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으나, 하위범주로 보았을 때 만족도 측면에서는 두 유형 모두 효과가 있으며, 이해도 측면에서는 동영상 형식의 정보제공이 더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정보제공이 다문화가정 어머니가 정확한 조기선별 및 연령별 아동의 언어발달 단계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고, 언어 선별 평가 어플리케이션을 정확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도우며, 어플리케이션 선별평가로의 접근성을 높여 다문화가정 아동들을 조기에 선별하여 조기중재로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데 있다.;International marriages were 16,177 in 2020, accounting for 7.6% of the total 213,502 marriages. Among international marriages, foreign women and Korean men married the highest at 66.4%, and multicultural births were 6.0% of the total births (272,337), showing a steady increase after 4.5% in 2015 (Statistics Office, 2021). As such, Korean society is rapidly changing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However, domestic screening tests are often adapted from foreign tests, and most are for infants, and there is a lack of valid and reliable tools that can identify developmental problems in infants early (Son Won-kyung, Hwang Hae-ik, 2004; Sohyun Lee, 2000). For linguistic difficulties, early screening and early treatment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improving children's language skills. However, domestic screening tests are often adapted and used overseas, and most of them are for infants, and there is a lack of valid and reliable tools to enable early identification of infant developmental problems (Son Won-kyung, Hwang Hae-ik, 2004; Lee So-hyun, 2000). Furthermore, in the reality that screening tests for general children are also insufficient, the development of screening tests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as not yet been conduct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screening tools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Kim Ae-hwa, 2007). In addition, moth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lack accurate knowledge of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and most of them are not aware of the importance of early selection and treatment, so access to screening is very low (Hwasoo Kim et al., 2010; Eunjung Choi et al., 2019).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utilize the ‘Children’s Language and Emotional/Behavioral Development Assessment’ application, a protocol developed through the Korean Social Science Research (SSK) for this necessity. As a support for linguistic difficulties for moth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re is a demand that the terminology used on test papers and guides will be easily explained in everyday words, examples will be presented in detail, and translation support will be provided in languages ​​other than English and Vietnamese (Choi Eun-jung et al., 2019). It has been reported that information provision (pre-education) using audio-visual data in various fields has a positive effect on understanding and satisfaction.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what type of information provision provides prior education, which is more effective in enhancing understanding and satisfaction with language screening evaluation applications. There are largely dual coding theory and cognitive load theory in the type of information provision, and previous studies report that the performance of subjects varies depending on whether it is presented in a single form consisting of pictures and texts or in a double form consisting of pictures and narrations (Mayer & Moreno, 1998). Therefore, in this study, the information provision type is divided into text and video to find out which type significantly affects the understanding and satisfaction of language screening evaluation applic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by dividing 20 moth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Vietnam, 10 into text groups and 10 into video groups, and confirming which type of information provision significantly affects understanding and satisfaction through pre- and post-evaluation. The research process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pre-evaluation, information provision, and post-evaluation, and pre- and post-evaluation were conducted with the same understanding and satisfaction questionnaire for both groups. There was a period of about 2 to 4 weeks between pre-evaluation and post-evaluation, and information provision was delivered one day before the post-evaluation. The content of the information provision is the same in both types, and the text group is provided through the Google document link, and the video group is provided through the YouTube link.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understanding between groups according to information provision type (text, video), and interaction between information provision type and pre- and post-evaluation, bu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 and post-understanding. Second, as a result of pre-post statistical results of subcategories of the comprehension questionnair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xt group in 2categories (evaluation application questions, application usability) of 6 categories. The video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five categories(language overall, early intervention, evaluation applications, application questions, and application usability) out of six categories . In other word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 and post-understanding when information was provided in a video rather than when information was provided in text. Thir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atisfaction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type of information provision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ype of information provision and pre- and post-evaluation, bu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 and post-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information provision. In other words, the post-satisfaction evalu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pre-satisfaction evaluation. Fourth, as a result of pre-post statistics in the subcategory of the satisfaction questionnaire, the text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4 categories(application overall, application questions, application usability, and evaluation applications) out of 5 categories. The video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4 categories(application overall, application questions, application usability, and evaluation applications) out of 5 categories. That is, in terms of satisfac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verall pre- and post-satisfaction differences in both text and video format information, from application usability to questions. Synthetically, the presence or absence of information provis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the understanding and satisfaction of the language screening evaluation application, so it was found that information provision was helpful for the use and satisfaction of the application. In both understanding and satisfaction,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ype of information provision and pre- and post-evaluation.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both types were effective in terms of satisfaction when viewed as subcategories, and that providing information in the form of video was more effective in terms of understanding.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nformation provision can be provided by moth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to accurately select early and grasp the language development stage of children by age. In addition, it helped to accurately conduct language screening evaluation application and increased access to screening evaluation application,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early screening and early treatment by selecti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