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07 Download: 0

메이커교육을 적용한 음악교육 자유학년제 프로그램 개발

Title
메이커교육을 적용한 음악교육 자유학년제 프로그램 개발
Other Titles
A Study on Developing the Free-Year Music Education Using Maker Education
Authors
홍효정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주연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메이커교육을 음악교육에 적용하여 자유학년제 음악 만들기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에 따른 교수․학습자료를 제시하며, 프로그램의 현장 적합성 검증을 통해 현장에서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에 있다. 메이커교육은 최신 테크놀로지를 포함한 다양한 기기와 도구를 활용하여 학습자가 원하는 것을 직접 만드는 메이커로서 활약하며, 그 과정에서 학습을 경험하는 학습자 중심 교육으로 최근 교육이 지향하는 방향성을 추구한다. 본 연구에서는 메이커교육의 TMSI (Tinkering-Making-Sharing-Improving) 모형을 적용하여 ‘일상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음악 만들기’라는 주제로 블록타임 6차시로 구성된 자유학년제 음악 교과 메이커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에 따른 교수‧학습자료를 제시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메이커교육의 개념, 관련 용어, 메이커교육 교수학습 모형, 메이커교육의 평가 방법에 대해 고찰하고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6차시의 수업지도 방안을 개발하였다. 이후 음악교육 전문가 1인과, 메이커교육을 실천하고 있는 학교의 현장 음악 교사에게 내용 타당도를 검증받았으며, 경력 2년 이상의 현장 교사 2인과 20년 이상 경력의 현장 교사 1인에게 현장 적합성을 검증받아 결과를 분석하고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메이커교육을 적용한 음악교육 프로그램으로‘일상생활 속에 활용할 수 있는 음악 만들기’라는 주제의 6차시 프로젝트를 개발하였다. 각 차시의 활동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개발한‘학교 교육에서의 메이커교육 활용을 위한 구성 요소 6가지(개방적인 과제, 공유하는 지식, 참여하는 학습, 도전하는 태도, 참여하는 활동, 사고하는 과정)’에 근거하여 구성하였으며, 메이커교육의 TMSI 모형 단계에 따라 전개된다. 1~3차시는 팅커링(Tinkering) 단계로 1차시에서는 일상생활에 나타나는 다양한 음악의 종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음악이 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음악이 활용되는 생활 영역을 탐색함으로써 학습자는 메이커 프로젝트 활동 과제를 인식한다. 2차시에서는 메이킹에 활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음악 만들기 도구를 탐색하고, 활용 방법을 습득하며, 프로젝트에 활용할 도구를 주도적으로 선택한다. 3차시는 음악창작을 위한 탐색 단계로 음악을 듣고 음악의 분위기를 표현하는 각 음악 요소와 음악적 특징을 탐색하며, 자신이 선택한 도구를 활용하여 음악을 표현하는 법을 탐색한다. 4차시는 만들기(Making) 단계로 메이커 프로젝트 활동 과제를 바탕으로 음악 만들기 주제를 구체화하고 선택한 도구를 활용하여 음악을 만든다. 5차시는 공유하기(Sharing) 단계로 팅커링 단계부터 진행되어 온 과정과 결과물을 발표하고, 학습자 간 상호 피드백을 주고받는다. 마지막 6차시는 개선하기(Improving) 단계로 다시 팅커링과 메이킹 단계로 돌아가 음악 결과물을 수정하고 개선하며 결과물을 질적으로 정교화시키고 다음 메이킹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도록 한다. 이후 프로젝트 전체 과정에 대한 자기평가와 모둠원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며 프로젝트를 마무리하는 것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지도안을 현장 교사 3인에게 현장 적합성 검증을 의뢰한 결과, 본 지도안은 실제 현장 수업에서 적용될 수 있고 현장에서 지도할 의사가 있는 프로그램이라는 평가를 받았으며, 메이커 교육과 접목한 프로젝트 수업의 구성 발상이 참신하고, 지도안에 제시된 활동이 다양하고 학습자의 흥미를 끌기 충분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현장 적합성 검증 이후 현직 교사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프로젝트의 지도방식을 보완하고 활동 시간을 유연성 있게 수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학습자는 기존의 음악을 배우고, 소비하는 삶에서 나아가 사회와 개인의 삶에 유의미한 가치를 지니는 음악을 스스로 만들고 공유하는 창작자이자 메이커로써 활약하며 삶에서 음악을 더욱 폭넓게 향유하는 태도를 함양할 수 있다. 메이커교육이 음악교육의 다양한 영역에서 더욱 다양한 방법으로 연구되고 적용되어 학교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수업이 이뤄지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apply Maker Education to free-year music education, present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and confirm the possibility of applicability in schools through field compatibility verification. Maker Education allows learners to act as “makers” who create what they want by using various devices and tools, including the latest technology, and to see learning take place in the process. Maker Education is a learner-centered pedagogy pursuing the direction of recent teaching. By applying the TMSI (Tinkering-Making-Sharing-Improving) model of Maker Education in this study, a free-year Maker Education program for music classes, composed of six teaching sessions, was developed under the theme of “Making music for daily life practical us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view the concept of Maker Education, the related terms, the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of Maker Education, and the evaluation method of Maker Education. Based on these objectives, plans for six teaching sessions were developed. Next, the content validation was verified by a music education expert and in-service music teachers practicing Maker Education. Finally, field compatibility was verified by three in-service music teachers. To follow,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First, as a music education program that combines Maker Education, a six-session program was developed under the theme of “Making music for daily life practical use.” Each session's activities were constructed based on six components for the application of Maker Education at schools: open tasks, knowledge to share, learning to participate, attitude to challenge, activities to participate, and thinking processes, which were developed by the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All activities follow the stages of the TMSI model. Sessions one to three are the Tinkering stage. In the first session, learners recognize the tasks of maker project activities by exploring the effects of music in their lives through an understanding of the types of music active in their daily lives. In the second session, students explore various music-making tools that can be used for making then learn how to use the tools and take the initiative to select appropriate tools for their projects. The third session is for exploring music creation; here, students listen to music, work to better understand musical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to create certain desired atmospheres, and explore how to express music using technical tools of their own choice. The fourth session is designed as the Making stage based on the makers’ project activity task. Here, learners embody the topic and make music using the tools they chose. The fifth session is the Sharing stage and the opportunity to present processes and results in progress, as well as to exchange mutual feedback among learners. The sixth session is the Improving stage, and it allows participants to revise and improve the music outcomes. The learners refine the qualitatively and accumulate ideas for the next session of music-making. In the end, the project is finalized by conducting a self-evaluation of all project processes and evaluating collaborative group members. Second, one result of verifying field compatibility via three in-service music teachers is that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actual classes. Moreover, each participation educator expressed their willingness to try the program in the actual field. In addition, it was valued that the music education applied with maker education is novel, and various activities presented in the program induce a higher interest in learning. After verifying field compatibility, the program’s guidance method was supplemented by incorporating the opinions of in-service teachers, and the activity time slot was modified in more flexible ways. Through this study, learners can act as the makers who create and share music that has significant value in their individual lives and society, which encourages an attitude of more widely enjoying music in their lives. I expect the music education curricula to adopt and apply Maker Education in various ways and to see it effectively deployed in a across a variety of educational settiong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