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2 Download: 0

미술치료를 통한 중도 성인시각장애인의 자기수용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Title
미술치료를 통한 중도 성인시각장애인의 자기수용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Other Titles
Narrative Inquiry about the Experiences of Adults with Acquired Visual Impairment Self-Acceptance through Art Therapy
Authors
한하은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소정
Abstract
The study involving art therapy focuses on exploring lives of adults with severe visual impairment before and after they were visually impaired and how they have gone through self-acceptance and what the significance is. The subjects are severely visually impaired ones under pseudonym in their late 50s who were born with amblyopia and diagnosed with "severe visual impairment" caused by the disease. The art therapy being introduced for the study involved a total of 15 art therapy sessions, each of which was introduced on about four month basis during four month duration lasting from Feb. 2021 through May, and each session lasted 150 Min. The study analyzed the data by employing narrative inquiry in order to figure out life experiences of those with severe visual impairment as they are with an aim to she light on and reconstruct the meaning of life and the value based on bilateral communication between the subjects and researchers. The art therapy caused the subjects to ask themselves about their lives and how they should lead their lives from now on, prompting them to talk about their past experiences which unfairly brought themselves to be humiliated because of their inborn disease from their childhood. These experiences led the subjects to look back on "their mind having been overlooked under the disguise of their social identity" with the slogan titled " My love should be called romance but others' love should be called flirtation" and the more strenuous and heavier life burden than the impairment itself bringing themselves to their knees. In the course of that, they came to comfort and understand themselves for surmounting suffering of life and eventually came to experience self-acceptance and mindfulness leading them to embrace themselves by relying on themselves. The subjects' stories about their live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titles such as "psychological trauma suffered by those with severe visual impairment, "those with severe visual impairment and self-understanding," and "self-acceptance and mindfulness of those with severe visual impairment" for communication. The study gives an opportunity to take an in-depth look at the lives of adults with severe visual impairment and lays the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how adults with severe visual impairment go through self-acceptance in the course of art therapy and developing better approaches for art therapy. ;연구의 목적은 삶의 중도에 시각장애를 갖게 된 중도 성인시각장애인이 미술치료 과정에서 시각장애를 갖기 전과 갖게 된 일련의 사건 그리고 시각장애를 갖고 살아가는 현재의 삶까지 자기 삶을 탐구하고, 자기수용을 어떻게 경험하는지, 또 그 의미가 무엇인지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자는 참여자와의 신뢰로운 관계를 바탕으로 미술치료 안에서 Connelly와 Clandinin(1990)이 제시한 내러티브 탐구의 방법론을 적용해 탐구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중도 시각장애를 가진 50대 후반의 성인 여성으로 선천적으로 약했던 시력을 회복하기 위해 30대 초반에 수술을 감행하였으나, 수술 시기를 놓침으로 인하여 상당 부분의 시력이 손상되면서 장애의 정도가 심한 시각장애를 갖게 되었다. 사회복지사로 재취업한 현재는 서울 소재 장애인 복지기관에서 동료상담사로 근무하고 있으며 본 연구의 참여를 희망하여 연구 참여자로 선정되었다. 개인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2020년 2월부터 5월까지 4개월에 걸쳐 복지기관 내 미술치료가 가능한 공간에서 진행되었으며 분석과 해석 과정 역시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를 위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Rogers(1961)가 강조한 자기수용에 근거하여 생애사적 순서에 따라 계획되었다. 연구자는 미술치료를 위한 재료를 선택함에 있어 시각장애를 가진 연구 참여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참여자가 표현하기 용이하고 사용에 편안함을 느끼는 매체를 선별하여 미술치료 안에서 자유롭게 자기표현을 할 수 있는 매체를 허용적으로 제공하였다. 탐구 과정은 매 회기마다 연구 참여자의 미술작품과 언어적, 비언어적 표현을 기록한 현장 관찰 노트, 녹취록을 전사한 자료들을 수집하여 이루어졌으며, 이를 통하여 연구자는 참여자의 삶의 경험과 자기수용의 과정 및 의미를 심층적으로 탐구하였다. 자기수용은 Carl Rogers의 존엄한 개인의 자기실현을 위한 치료적 변화 기제로서의 가치를 둔 수용과 그 의미를 같이하고 있으며 선택적 수용이 아닌 자기와 자신의 삶의 전반적인 이해와 인정의 과정이 포함되어있다. 미술치료는 이러한 자기수용에 근거하여 미술치료의 심리 치료적 틀 안에서 생애사적 순서에 따라 계획되었다. 미술치료 초기인 첫 번째 단계에는 참여자의 긴장을 완화시키어 표현 및 치료에 대한 저항을 감소시키고 참여자가 편안하게 자기와 자신의 삶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였고, 중기에 해당하는 두 번째 단계에서는 긍정 정서와 부정 정서를 포함한 자기를 있는 그대로 이해하고 인정하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마지막 종결기에 해당하는 세 번째 단계에서는 자신의 자기 가치와 삶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탐색하여 중도 시각장애로 인한 심리·사회적 어려움에 대한 적응을 돕고 보다 안정적인 정서에서 긍정적인 자기상과 미래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중도 시각장애를 가진 성인의 자기수용 경험은 <이제 어떻게 살아가지?>, <어려서부터 나를 위축시킨 약시>, <남이 깨면 후라이 내가 깨면 병아리>, <'나'라는 가면 속 내 마음>, <장애보다 더 힘들고 무거운 삶>, <나를 의지해 나를 안아보다>로 이야기되었고, 참여자의 자기수용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의 의미는 다시 <중도 성인시각장애인이 겪는 심리적 외상>, <중도 성인시각장애인과 자기 이해>, <중도 성인시각장애인의 자기수용과 마음챙김>으로 구성되었다. 참여자는 미술작업의 과정에서 자신의 생애사적 삶의 과정을 돌아보면서 시각장애로 인하여 어두웠던 과거와 부정적인 감정들을 미술작업을 통해 표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회피하고 있던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고 해소하는 기회를 가질 수 있었 다. 또한 드러난 자신의 모습을 객관적인 시선에서 바라보며 이해하고 인정하는 과정을 통하여 자기 자신을 있는 그대로 수용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자기수용 경험은 중도 성인시각장애인에게 자기 가치와 삶의 의미를 탐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자신의 인생을 통합적으로 바라보고 안정적인 정서를 유지할 수 있는 경험적 자원을 찾을 수 있도록 하였고, 시각장애로 인한 심리·사회적 어려움에 대한 적응을 도와 긍정적인 자기상을 재정립하고 미래를 설계할 수 있는 기초가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중도 시각장애인의 자기수용 경험의 의미를 전하고, 삶의 중도에 시각장애를 가진 성인의 심리·사회적 어려움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