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0 Download: 0

뇌병변장애를 진단받은 대학신입생의 자아탄력성을 위한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Title
뇌병변장애를 진단받은 대학신입생의 자아탄력성을 위한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Case Study of Art Therapy for Ego-resilience in College Freshmen with Cerebral Palsy
Authors
성주현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문리학
Abstract
This research aimed to examine the experiences that college freshmen with cerebral palsy have through art therapy for ego-resilience, and provide an in-depth analysis of its therapeutic significance by applying the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late adolescents who are freshmen at K University in E city, aged 19 years, and diagnosed with cerebral palsy. A total of 16 art therapy sessions were conducted from February 26th to April 30th, 2022, and an art therapy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previous research on components of college students’ ego-resilience and art therapy for people with cerebral palsy. Data were collected and combined through various means including full recordings of art therapy sessions, transcription of verbatim records, clinical journals, session notes about conversations between the researcher and participants with language impairment, photos of artworks, and more. A total of 6 key themes and 15 sub- themes were identified using Yin‘s (2010/2013) five-step circulation process. The categories of experiences from this art therapy were , , , , , and . The following conclusions about the experiences of college freshmen diagnosed with cerebral palsy undergoing art therapy for ego-resilience, and its therapeutic significance were drawn. First, the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d self-understanding from expressing and resolving their inner feelings. Second, the participants were able to feel a sense of achievement and confidence through the opportunity to talk about their desired works and medium based on consistent encouragement and support from the researchers. Third, the participants could explore and discover their positive resources and strengths during the process of expressing their feelings and gaining self-awareness through art therapy. Furthermore, they became aware of their future and hopes, which instilled in them hope for the future. Summing up, art therapy for ego-resilience of college freshmen diagnosed with cerebral palsy provided opportunities to participants who had difficulty freely expressing their feelings because of language impairment, to express and face their feelings about difficult experiences from the past and problems adjusting to college. In addition, participants experienced self- understanding and self-acceptance from learning emotion regulation, which involves expressing and resolving their feelings, and they could explore and discover positive resources within themselves. Therefore, they developed positive self-recognition which enabled them to respond to negative situations with a will to improve and resiliency, and in the long-run, to stay hopeful through a positive future outlook. ;본 연구의 목적은 뇌병변장애를 진단받은 대학신입생이 자아탄력성을 위한 미술치료를 통해 어떠한 경험을 하며, 치료적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가 미술치료 과정 안에서 경험한 것과 치료적 의미를 본질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심층적으로 의미를 탐구하는 질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E시에 위치한 K대학 1학년에 재학 중인 뇌병변장애를 진단받은 만 19세 후기 청소년이다. 본 사례는 2022년 2월 26일부터 2022년 4월 30일까지 총 16회기의 미술치료이며, 대학생에게 해당하는 자아탄력성 구성요소와 뇌병변장애 미술치료 선행연구 및 대학생의 자아탄력성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미술치료 전 과정을 녹음한 파일과 이를 전사한 축어록, 임상일지, 언어 장애를 동반한 참여자가 연구자와 나눈 대화를 적은 회기 작성노트, 작품 촬영 사진 등 다양한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통합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Yin(2010/2013)이 제시한 5단계 순환과정을 통해 분석한 결과 총 6개의 상위 주제와 15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미술치료 사례 경험의 범주는 <미술치료에 대한 기대감과 부담감을 안고 시작>, <미술을 통해 장애인으로서 힘들었던 나의 마음을 이야기함>, <대학 입학 후 적응하는데 있어 어려움을 느낌>, <미술치료를 통해 감정해소를 경험하고 행복함을 느낌>, <극복해 나아갈 수 있는 자원을 발견함>, <긍정적인 나만의 미래를 꿈꾸게 됨>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뇌병변장애를 진단받은 대학신입생의 자아탄력성을 위한 미술치료 경험과 치료적 의미는 무엇인가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는 미술활동을 통해 자신의 억압되어있던 내면의 정서를 표현함으로써 해소하였고 이를 통해 자기 이해를 경험하였다. 둘째, 연구 참여자는 연구자의의 지속적인 격려와 지지를 바탕으로 자신이 원하는 작업과 매체에 대해 이야기하는 기회를 가짐으로써 성취감을 느끼고 자신감을 경험할 수 있었다. 셋째, 연구 참여자는 미술활동을 통해 자신의 감정과 모습을 표현하고 자신을 통찰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긍정적 자원 및 장점을 탐색하고 발견할 수 있었으며, 더 나아가 자신의 미래와 소망을 마주하게 되면서 미래희망을 고취하게 되었다. 이를 종합하여 볼 때, 뇌병변장애를 진단 받은 대학신입생의 자아탄력성을 위한 미술치료는 언어장애로 인해 자유로운 감정 표현이 어려웠던 참여자에게 미술을 통해 장애인으로서 힘들었던 과거의 경험과 대학생활을 하며 겪는 부적응 상황을 표출하여 자기표현 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이를 마주볼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였다. 또한 감정을 표현하고 해소하는 정서조절의 과정을 통해 자기 이해와 수용을 경험하였으며, 참여자 내면 안의 긍정적인 자원을 탐색하고 발견하게 되었다. 이로써 참여자는 자신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면서 부정적인 상황을 마주하였을 때 이를 개선하고자 하는 의지를 가지고 탄력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힘이 생겼으며, 더 나아가 긍정적인 미래에 대한 기대감을 가지게 되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