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1 Download: 0

발달성 난독 아동의 한글 자모음 시각처리 특성

Title
발달성 난독 아동의 한글 자모음 시각처리 특성
Other Titles
Characteristics of Korean consonant and vowel processing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yslexia by visual processing tasks
Authors
조용윤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태
Abstract
모든 사람의 삶에 있어 의사소통은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요소로, 음성으로 의도를 전달하는 '구어'와 문자로 의도를 표현하는 '문어'가 이에 해당한다. 학령 전기 아동은 의사소통 과정에서 문어보다 구어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지만, 학령기 이후부터는 문어의 비중이 높아지며 대다수의 아동은 그 과정에서 자연스레 읽기와 쓰기를 습득하게 된다. 그러나 난독 아동들은 또래와 비교 시 활자 지식, 음운 인식, 자모 글자 인식, 형태소 인식 등의 결함으로 인해 읽기 습득 능력이 지체된다. 난독증 발병의 원인을 파헤치기 위해 많은 선행 연구들이 진행되었고, 3가지 이론들이 제안되었다. 음운 이론, 청각처리 이론 그리고 (거대 세포 이론을 포함한) 시각이론이다(Habib, 2000; Kim et al., 2009; Vellutino et al., 2004). 그중 시각이론은 시각처리의 손상이 단어나 문자의 처리를 방해하고 이것이 난독증을 일으킨다고 본다. 예를 들어, Lovegrove 등(1980a, b)은 명암 대비 민감도에서 난독아동이 정상 아동에 비해 시각처리 기능이 저하되어 있음을 보고하였는데, 이러한 결함이 대상의 전체적인 형태나 움직임을 지각하는 데 관여하는 거대세포(magnocell) 시각 경로 뉴런의 위축(atrophy)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된다(Galaburda et al., 1985). 이러한 거대세포 시각 경로의 손상은 문자나 단어와 같은 시각 자극의 지각과 처리에 문제를 일으킨다. 또한, 발달성 난독증을 가진 대상자는 시각처리의 손상으로 단어, 문자 처리에 어려움이 있으며, 명암 대비 민감도 또한 일반 발달 아동과 비교하면 유의하게 낮아, 시각적 자극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해외 선행연구(Provazza et al., 2019)가 있다. Seidenberg and McCelland (1989) 등은 읽기를 삼각모형(triangle model)을 통해 음운론적 관점, 철자 관점, 의미론적 관점 세 가지 관점으로 설명하였다. 그 중 철자 관점이 시각처리 관점과 관련된 부분으로, 발달성 난독 유형과 가장 관련이 깊다. 발달성 난독의 경우 시각 도메인의 결함으로 인해 타 난독 유형과 비교 시 단어 처리 과정에 상대적으로 어려움을 보이는 경향이 있으며, 나아가 비철자적 자극의 처리에도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한글 글자소의 시각처리와 관련된 선행 연구(최영은, 2016)에 따르면 글자 획이 증가할 경우, 좌측 시야 영역에서는 글자 획에 따른 시각폭의 변화가 없었으나, 한글의 읽기에서 사용되는 우측 시야 영역에서의 시각 폭이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글자 획이 증가할 경우 시각 폭의 감소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한글은 제시 위치에 따라 자소의 형태가 바뀌는 경우가 존재하며 이러한 경우 시각폭의 정도가 달라진다고 한다. 한국어는 타 언어와는 다르게 개별 글자의 위치가 바뀌면 뜻이 바뀌게 된다(Lee & Taft, 2009, 2011). 다시 말해 한국어는 영어나 중국어와는 다르게 음절 내 자소와 모음소의 위치가 정확한 표상을 하고 있다는 뜻을 의미한다. 그렇기 때문에 한글 글자소의 경우 획의 정도와 위치가 시각처리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시각처리와 관련된 선행 연구에는 심적 회전(menatl rotation)시각처리 과제가 있는데, 일반 아동과 단순 언어장애 아동에게 심적 회전 시각처리 과제를 시행하였을 경우, 단순 언어 장애 아동의 정확도가 일반 아동과 비교하면 유의하게 낮았다고 한다(Johnston & Ellis Weis- mer, 1983). 난독 아동들의 한글 습득 과정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오류 유형 중 하나는 자음과 모음을 다양한 회전의 형태로 기재한다는 것인데, 이는 앞의 선행 연구와 관련이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발달성 난독 아동들이 어려움을 겪는 철자 관점과 관련된 한글의 시각처리 과정에 대해 살펴보고자, 흑과 백으로 구성된 시각처리 과제를 통해 발달성 난독 아동의 한글 자모음 처리 특성에 대하여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발달성 난독 아동들의 시각적 처리를 바탕으로 중재 방향에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1~2학년)에 재학 중인 일반 아동 13명과 발달성 난독 아동 13명을 집단 간에 생활 연령과 성별을 일치시켜서 총 26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한글 자모음 시각처리 능력을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 과제로는 자소의 선의 변이 형태(직선, 사선), 자소의 획 복잡도(기본 획수, 1~2획 추가, 3획 이상 추가), 자소의 회전 여부(기본, 90°, mirror 이미지, 270°), 모음소의 회전 여부 (기본, 90°, mirror 이미지, 270°)에 따른 시각처리 과제를 진행하였으며, 한글의 시각처리 과제 수행력과 타 변수 간의 상관을 보기 위해 작업 기억 과제, 음운 조작 능력 과제, 무의미 1음절 과제를 함께 진행하였다. 집단 간 자소의 선의 변이 형태에 따른 시각처리 과제의 수행력을 살펴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두 집단 간 자소의 획의 복잡도에 따른 시각처리 과제의 수행력을 살펴보기 위해 이원분산분석(two-way mixed ANOVA)를 실시하였으며, Bonferroni를 통한 사후 검증을 시행하였다. 집단 간 자소의 회전 여부에 따른 시각처리 과제의 수행력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고, 자소의 회전 유형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는 이원분산분석(two-way mixed ANOVA)를 실시하였으며, Bonferroni를 통한 사후 검증을 시행하였으며, 모음소의 회전 유형에 따른 시각처리 과제의 수행력과 모음소의 회전 유형에 따른 차이 또한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발달성 집단 아동의 수행력과 타 변수 간의 상관을 보기 위해 피어슨 상관계수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소의 사선 변이 형태에 따른 시각처리 과제의 경우, 모자이크 형식으로 사선과 직선 변이 형태를 본 과제와 그림 형식으로 직선과 사선의 변이 형태를 본 과제 모두에서 일반 아동 군이 유의하게 높은 정반응율을 보였다. 둘째, 자소의 획 복잡도에 따른 시각처리 과제의 경우, 일반 아동 군이 추가 획순으로 분류한 자음 획 복잡도에 따른 시각처리 과제에서 유의하게 높은 정반응율을 보였으며, 두 집단 모두 자소의 획순이 더 많이 추가될수록 어려워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자소의 회전 여부 및 오류 유형에 따른 시각처리 과제의 경우, 일반 아동 군이 유의하게 높은 정반응율을 보였으며, 두 집단을 비교할 시 3가지 회전 유형 중 mirror 이미지 과제 수행력에서 가장 큰 격차를 보였다. 넷째, 모음소의 회전 여부 및 오류 유형에 따른 시각처리 과제의 경우, 일반 아동 군이 유의하게 높은 정반응율을 보였으며, 두 집단을 비교할 시 3가지 회전 유형 중 mirror 이미지 과제 수행력에서 가장 큰 격차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발달성 아동 집단의 시각처리 과제 수행력은 무의미 1음절 과제 수행력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며, 음운 인식 과제와도 어느 정도 상관을 보였다. 연구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본 연구는 한글 시각처리 과제를 통해 집단 간 한글 시각처리 수행력을 비교 분석하여 발달성 난독 아동의 한글 시각처리 특징과 이를 바탕으로 중재 방향 설정 과정에서 발달성 난독 아동의 시각처리 특성을 반영하면 효율적인 중재가 될 것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발달성 난독 아동 군은 일반 아동 군과 비교 시 한글 시각처리 과제 유형들에서 전체적으로 낮은 수행력을 보였으며, 특히 자소 처리 과정에서 획순이 많을수록 어려움을 느끼며, 자소와 모음소 모두 mirror 이미지와 원형을 비교하는 것을 가장 어려워하였다. 이는 난독 중재 과정에서 한글 자소, 모음소의 시각적 특징을 반영해 중재를 진행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자소 중재의 경우, 획순이 적은 자소에서 획순이 많은 자소 순으로 중재를 진행하고 획순이 많은 자소와 그렇지 않은 자소를 한 회기에 동시에 제공하는 것을 지양해야 할 것이다. 또한, 치료사와 대상자가 마주 보고 앉아 중재가 진행되는 치료실 구조가 많은 현 상황에서, 치료사는 대상자에게 중재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자소와 모음소의 mirror 이미지가 제공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할 것이다. 이는 코로나 시국에 원격 비대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비대면으로 치료가 제공되는 과정에서도 유의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Communication is an indispensable factor in everyone's life, including "speech" that conveys intention by voice and "written language" that expresses intention by text. Although spoken language accounts for a higher proportion of school-age children than written language in the communication process, the proportion of written language increases after school age. Most children naturally acquire reading and writing in the process. However, dyslexic children have delayed reading acquisition ability due to defects in orthography knowledge, phonological recognition, word recognition, and morpheme recognition compared to their peers. Many prev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ause of dyslexia, and three theories have been proposed. Phonological theory, auditory processing theory, and visual theory. Among them, visual theory believes that damage in visual processing interferes with the processing of words or characters, which causes dyslexia. For example, Lovegrove et al.(1980a, b) reported that dyslexic children had poor visual processing function compared to normal children in sensitivity to contrast, and this defect is reported to be related to the atrophy of magnocell visual pathway neurons involved in perceiving the overall shape or movement of the target(Galaburda et al., 1985). Damaged in giant cell visual pathways causes problems in the perception and processing of visual stimuli such as letters and words. In addition, subjects with developmental dyslexia have difficulty in word recognitoin and text processing due to damage to visual processing. Also sensitivity to contrast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general developing children, so there is an overseas previous study(Provazza et al., 2019) that they may have difficulty in processing visual stimuli. Seidenberg and McCelland (1989) and others described reading as three perspectives through the triangle model. : phonological, orthography, and semantic. Among them, the orthography perspective is the part related to the visual processing perspective, mostly related to the type of developmental dyslexia. In the case of developmental dyslexia, it tends to show difficulty in the word processing compared to other types of dyslexia due to defects in the visual domain, and furthermore, it is to process non-orthography stimuli. According to a previous study related to visual processing of Hangul character elements (Choi Young-eun, 2016), when the character stroke increased, there was no change in the visual width in the left field of view according to the character stroke, but the visual width in the right field used for reading Hangeul decreased. This means that increasing the stroke affects the decrease in the visual span. In addition, when the form of the element changes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presentation, the degree of the visual span changes. Unlike other languages, in Korean, the meaning changes when the location of individual characters changes (Lee & Taft, 2009, 2011). The position of the consonants and vowels in the syllable has an accurate representation. Therefore, in the case of Hangul character elements, the degree and position of strokes can affect visual processing. Furthermor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visual processing include the mental rotation visual processing task, said significantly lower accuracy in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 than in normal children(Johnston & Ellis Weis-mer, 1983). One of the most common types of errors that occur in the process of acquiring Hangul by dyslexic children is that consonants and vowels are written in various forms of rotation, which may be related to previous studies. Therefore, in this study, examining the visual processing process of Hangeul related to the orthography perspective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yslexia,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onsonant processing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yslexia, and suggested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 based on thi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26 people by matching the chronological age and gender between groups of 13 general children and 13 developmental dyslexic children enrolled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first to second grades). In order to examie the visual processing ability of Korean consonants and vowel, conducted the transition form (straight line, diagonal line) of consonants, stroke complexity, rotation of consonants and vowel and correlate the visual processing ability with other factors.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performance of the visual processing task according to the line variation of consonants between groups, and a two-way mixed ANOVA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performance of the visual processing task according to the complexity of strokes between groups, and post-verification was performed through Bonferroni.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performance of the visual processing task according to the rotation type of the consonants and vowels, two-way mixed ANOVA was performed, and post-verification was performed through Bonferroni. Lastly,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to see the correlation between performance and other factors of children with the developmental dyslexic group.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performance of the visual processing task according to the line variation of consonants tasks, the normally developing children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 positive response rate in both the mosaic type and the figure type. Second, in the case of visual processing tasks according to the stroke complexity of the consonants, the normally developing children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response rate, and both groups tended to be more difficult as the stroke order of the element was added. Third, in the case of visual processing tasks according to the rotation status of consonants, the normally developing children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 positive response rate, and both groups showed to have difficulty in the mirror image task performance. Fourth, same results in vowels as consonants. Finally, the visual processing task performance of the developmental child group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performance of the non-word tasks, and it also showed some correlation with the phonological recognition task. This study suggests that it will be an efficient intervention with developmental dyslexia which reflects Korean visual processing figures. Compared to the normally developing children group, the developmental dyslexia group showed lower performance overall in the Korean visual processing task types, especially the more strokes in consonants, and rotation of consonants and vowels especially mirror images. This suggests that during the intervention it should be avoided to proceed to offer of the low stroke consonants and high stroke consonants. In addition, where there are many treatment room structures are conducted while the therapist and the subject sit face to face, the therapist should be careful not to provide mirror images of the consonants and vowels in the process of providing interventions to the subject. This suggests that it should be noted in the process of providing non-face-to-face treatment using a remote non-face-to-face program in the COVID-19 situ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