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60 Download: 0

시선추적을 활용한 실어증 환자의 어휘 점화 유형 및 어순 전형성에 따른 문장 구조 산출 분석

Title
시선추적을 활용한 실어증 환자의 어휘 점화 유형 및 어순 전형성에 따른 문장 구조 산출 분석
Other Titles
Lexical priming effects on priming type and word order canonicity in persons with aphasia: an eye-tracking study
Authors
조수정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성지은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실어증 환자와 정상 성인 집단 간 어휘 점화 과제 시 점화어 유형과 어순 전형성에 따른 점화 효과를 확인하는 데 있다. 어휘 점화(Lexical priming paradigm)란 화자가 최근에 이해했거나 산출한 어휘의 구조를 반복하거나 더 빠르게 처리하는 경향을 의미한다(Corley & Scheepers, 2002). 즉 점화 어휘를 듣고 이를 반복하여 목표 문장을 산출하는 것을 말한다. 문장 산출 시 구문 점화를(structural priming) 통하여 이전에 접하였던 메시지-구조 맵핑(mapping) 과정을 그 다음 문장 산출 순서에서 번복하는 양상을 보이며 정보 처리 과정을 촉진하는 암묵적 학습 효과가 일어났음이 확인되어 왔다(Bock & Griffin, 2000; Branigan & McLean, 2016; Chang, Bock, & Dell, 2006; Jaeger & Snider, 2013; Pickering & Garrod, 2004; Pickering & Ferreira, 2008; Lee. 2020). 예를 들어, 대화 상대자가 피동형 문장을 사용하여 말하는 것을 듣고 난 뒤, 화자는 비슷한 메시지를 전달할 때 능동형이 아닌 피동 문장을 산출할 가능성이 높다. 즉, 행위자(agent) 'dog' 보다 대상(theme) 'man'이 더 먼저 산출될 때 화자는 능동문("the dog is chasing the man")이 아닌 피동문("the man is chased by the dog")을 산출하게 된다. 그러나 실어증 환자와 같이 문법적 부호화 과정의 결함이 있는 집단에서도 이러한 인지적인 효율성이 나타나는지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가 적다(Grace et al., 2019). 실어증 환자들의 문장을 산출(unfold)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메시지와 문장 구조 간 맵핑(mapping)에 대한 점화 효과(priming effect)가 연구되어왔다. 특히, 실어증 환자의 메시지-구조 간 통합을 촉진시키는 데 단어 수준에 기초한(word-driven) 정보 또는 구조에 기초한(structural-driven) 정보가 기여하는지에 대하여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Lee(2020)는 오프라인과 온라인(eye-tracking)으로 의미 점화 과제를 동시에 실시하여 실어증 환자들의 능동 및 피동문 산출 양상 및 시선 고정 시간을 살펴보았다. 결과적으로 실어증 환자들의 피동 문장 산출 정반응률이 정상 성인 집단에 비하여 낮았으며 다양한 오류 형태가 관찰되었다. 시선 고정 시간에서는 정상 성인 집단이 대상 점화 시 대상 관심영역(theme AOI)에 대한 고정 시간이 길며 점화 효과가 나타난 반면, 실어증 환자 집단에서는 점화 유형과 상관없이 시선 고정에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실어증 환자 또한 행위자 점화 조건에서 문장 계획 단계(apprehension stage)의 후반부에(400-800ms) 행위자 그림에 대한 시선 고정시간이 증가하며 점화 효과가 확인되어 이로 인한 문장 구조 간 맵핑(mapping) 능력이 향상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이처럼 최근 실어증 환자를 대상으로 피동 문장 산출 비율을 통해 의미 점화 효과가 보고되고 있으나, 시선추적 기법과 같이 실시간으로 언어 처리력을 확인할 수 있는 온라인 문장 산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Lee, 2020).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의미 점화 과제(lexical priming task)를 실시하여 대상(agent) 및 행위자(theme) 점화어 유형별 피동 문장 산출 분석을 통해 실어증 환자들의 구문 산출 시 의미 점화가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비교적 문장 어순이 자유로운 자유어순언어(free word-order language)인 한국어의 특성을 고려하여 산출된 문장을 문장 유형(능동, 피동) 및 어순 전형성(전형적, 비전형적)에 따라 분류하여 오프라인 분석(피동 문장 산출 비율)을 실시하였다. 온라인 분석을 위하여 점화 유형에 따른 발화 구간별 대상(theme) 관심영역 시선고정 비율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문장 산출 시 실어증 환자들 또한 정상 성인과 같이 단어 수준에 근거한(word-driven) 문장 산출 전략을 사용하여 화어에 따라 피동 문장을 산출할 수 있었으나, 시선고정 측면에서는 대상(theme)에 대한 유의한 시선고정을 보이지 않았다. 오히려 문장 산출 초기 단계인 400ms 이내의 발화 구간과 이후 구간에 대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다고 보고되는 구조 수준에 근거한(structural-driven) 전략을 사용할 때와 같은 시선고정 양상을 보였다. 이는 어휘적인 개념에 대한 사전의 활성화가 이들로 하여금 어휘 인출 시의 부하를 완화시켜 구조적인 문장 계획 전략이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Lee et al., 2015; Mack et al., 2017; Lee, 2020). 현재 국내에서도 실어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점화 과제를 사용한 연구들이 진행되는 추세이지만, 이를 문장 산출의 측면과 시선 추적 과정을 통해 면밀히 살펴본 연구 결과는 제한적이다. 또한 실어증 환자들의 문장 산출 시 실시간의 처리 과정을 통해 객관적으로 살핀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 실어증 환자들의 대상(theme) 점화 조건 시 피동 문장 산출 비율 증가를 통해 어휘 점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최근 실어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구문 점화를 활용한 언어 중재 이후 문장 계획 단계(apprehension)에서 점화 구문에 대한 선호적인 시선고정이 보고되고 있다(Mack et al., 2017).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실어증 환자의 비문법성(agrammatism), 특히 능동문과 피동문에 대한 문장 구조 전환의 결함에 대한 어휘 점화 언어 중재 프로토콜의 개발을 위한 예비 연구로써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if the lexical priming effect is valid in persons with aphasia(PWA). It is known that health adults(HA) can use both word-level and structure-level strategy as they make up sentences to ease the cognitive process. In PWA, structural priming is more likely to facilitates the mapping between message and structure. However it is not clear if word-level information is used and works as a sentence production strategy to PWA. In this study, lexical priming task was conducted to PWA and healthy adults(HA) and the priming effect was calculated through both off-line(syntactic production) and real-time(via eye tracking) production. Priming effect of off-line production was analyzed in terms of priming type and word order canonicity, and the on-line analyses was conducted according to priming type and five speech regions. Twelve individuals with aphasia and twelve healthy adul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PWA did no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duction of passive sentences in the theme prime condition compared to HA, but they show increased production of passive sentences. Overall, the proportion of passiv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me primed condition versus agent primed condition and in canonical word order versus non-canonical word order. The passive proportion was statistically higher on theme primed canonical word order sentences. 2) PWA showed lower fixation ratio to theme AOI compared to HA and they showed evenly distributed fixations to both agent and theme AOIs. Unlike HA, PWA did not show any difference in five speech regions. In conclusion, in off-line passive production, PWA used word-driven information as a strategy of sentence production like HA did. However they did not show significant prime effect on eye fixation. PWA did not show theme advantage in theme AOI. The non-preferential fixation towards theme AOI did not occur as well in both groups. The current study has identified that PWA has relatively intact ability to use word-level cues on syntactic production during off-line sentence produc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