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2 Download: 0

성인초기 발달장애인의 대인관계 경험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Title
성인초기 발달장애인의 대인관계 경험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Case Study on Group Art Therapy for Interpersonal Experiences Conducted on Young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uthors
신우진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문리학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types of experiences that young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undergo in group art therapy for interpersonal experiences and examine the significance of such experiences to the group’s change process. To that end,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and qualitatively examine participants’ experiences using the case study method. Five young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attend lifelong education center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nd participated in 12 group art therapy sessions, which were conducted from January 12, 2022 to April 20, 2022. The goals for young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group art therapy for interpersonal experiences are improvements in self-expression, self-openness,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of others, and form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rough various interactions. The sessions were designed on the basis of these objectives. Collected data comprised basic information about the participants provided by the institution, interviews with social workers, interviews on a voluntary basis with participants who can communicate, transcriptions of verbatim records of all group art therapy sessions, the researchers’ observation logs, and recorded images of the young adults’ artwork. Thes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To ensure an in-depth investigation, the researchers constantly compared the collected data such as the verbatim records and the researchers’ observation logs and organized the participants’ meaningful verbal and nonverbal expressions in an analytical manner, which included open coding, categorization, and confirmation of categories. Seven key themes and 19 sub-themes were identified. The key themes were as follows: “hesitancy in starting art activities, or inability to stay focused on art therapy,” “difficulty participating in art therapy due to problems controlling emotions,” “growing more interested in and curious about others through art therapy,” “being involved in conflicts with others in the process of art making,” “growing fonder of others by solving the difficulties that arise during art therapy together,” “gaining confidence from receiving positive group support in the process of art making,” and “being connected as one through art making.” From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reached about group art therapy for interpersonal experiences of young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irst, the participants felt a sense of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by gaining the courage to not give up and to complete the works of art with support and encouragement from their group. This eventually led them to feel confident in themselves and in their ability to do well. Second, the participants learned to appropriately express and regulate their emotions by overcoming the difficulties that arose during art therapy as a group. Third,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y forming intimate and mutually collaborative relations based on interest in and curiosity about the other members of the group. Summing up, young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njoy spending time together in art therapy, experience a sense of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from group support and encouragement, develop intimacy with other group members, and experience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s such, group art therapy can be considered a social service intervention that helps young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rm flexible responses and intimate and adap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hich may foster their eventual adaptation into society.;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초기 발달장애인이 대인관계 경험을 위한 집단미술치료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며, 그 경험의 의미와 집단의 변화 과정은 어떠한지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질적 사례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을 이해하고 탐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를 이용하는 성인초기에 해당하는 발달장애인 5명을 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2022년 1월 12일부터 2022년 4월 20일까지 총 12회기의 집단미술치료를 진행하였다. 성인초기 발달장애인의 대인관계 경험을 위한 집단미술치료의 목표는 자기표현 및 자기개방, 타인에 대한 인식 및 이해, 다양한 상호작용을 통한 대인관계 증진이며, 이를 바탕으로 회기를 구성하였다. 자료 수집은 기관을 통한 참여자들의 기본 정보 수집과 사회복지사와의 면담, 자발적 의사소통이 가능한 참여자와의 면담, 집단미술치료 전 회기를 녹음하여 전사한 축어록, 연구자의 관찰일지, 미술 작품을 촬영한 이미지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적용하여 성인초기 발달장애인의 대인관계를 위한 집단미술치료의 경험과 그 의미를 탐색하였다. 이에 대한 심층적 탐구를 위하여 연구자는 축어록과 연구자의 관찰일지를 비롯한 수집된 자료를 반복적으로 살펴보며 참여자들의 유의미한 언어적, 비언어적 표현들을 개방코딩, 범주화, 범주확인의 과정을 거쳐 의미를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총 7개의 상위주제와 19개의 하위주제로 도출되었다. 성인초기 발달장애인의 대인관계 경험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경험의 상위 주제는 <미술 활동 시작을 주저하며, 미술치료에 온전히 집중하지 못함>, <감정 조절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미술치료에 참여하기 힘듦>, <미술치료를 통해 다른 사람에 대한 관심과 흥미가 생김>, <미술 작업 과정에서 다른 사람과의 마찰이 생김>, <미술치료 안에서 생긴 어려움을 함께 풀어가며 관계가 돈독해짐>, <미술 작업 과정에서 집단원의 응원과 지지를 받아 긍정적 자신감을 얻음>, <미술 작품을 통해 우리가 하나로 연결됨>이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성인초기 발달장애인이 대인관계 경험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과정에서 경험한 것은 무엇인지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들은 집단의 지지와 격려에 용기를 얻어 도중에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완성하며 만족감과 성취감을 느낄 수 있었으며, 이는 잘할 수 있다는 자신감으로 발전하였다. 둘째, 참여자들은 집단미술치료에서 발생한 어려움을 함께 극복하며 자신의 감정을 적절하게 표현하고 조절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었다. 셋째, 참여자들은 집단원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바탕으로 친밀하고 상호협력적인 관계를 형성함으로써 긍정적인 대인관계를 경험하였다. 이를 종합하면, 성인초기 발달장애인은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함께하는 과정에서 즐거움을 느끼고, 집단의 지지와 격려를 바탕으로 만족감과 성취감을 경험하며, 집단원들과 친밀감을 형성하고 긍정적인 대인관계를 경험할 수 있다. 따라서 집단미술치료는 성인초기 발달장애인이 대인관계에 있어 유연한 자세와 친밀하고 적응적인 대인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돕고, 나아가 사회에서 적응적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돕는 중재 서비스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