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00 Download: 0

비대면 실시간 화상 한국어 수업을 위한 협력적 상호작용 연구

Title
비대면 실시간 화상 한국어 수업을 위한 협력적 상호작용 연구
Other Titles
Multimodal Collaborative Interaction in the Videoconferencing KFL Classroom : On Ethnomethodological Conversation Analysis Perspective
Authors
도윤경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미혜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비대면 실시간 화상 한국어 수업을 분석하여 수업 참여자들의 협력적 상호작용 양상을 탐색하고 비대면 한국어 수업을 이해하여 4차 산업 혁명의 디지털 대전환 시대와 포스트 코로나 시대가 요구하는 비대면 한국어 교육 분야의 발전에 기여하는 것이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비대면 실시간 수업 참여자들은 상호작용에 어려움을 겪으며 비대면 수업으로의 전환에 따른 여러 문제 요소를 탐문하고 개선 및 활용 방안에 대하여 논의가 이루어지기 시작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비대면 전환기의 한국어 교육 연구를 위한 기초 연구로서 실제 비대면 실시간 화상 한국어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을 분석하고 이를 기술할 필요성이 있다고 보았다. 이를 위하여 민속방법론적 대화분석학을 연구방법론으로 하여 실제 비대면 실시간 화상 한국어 수업인 세종학당 수업을 분석하여 수업 참여자들이 언어적 요소와 비언어적 요소를 활용하여 상호 이해를 구성해 나가는 수업 상호작용의 다양한 양상을 탐색하고 기술하였다. 분석 결과 비대면 실시간 화상 한국어 수업을 위한 상호작용에서 말 순서가 조직되는 양상은 사회적 상호작용이 갖는 일반적인 특징과 인터넷 컴퓨터 시스템을 매개로 한 특징을 나타내고 있었다. 우선 비대면 실시간 화상 한국어 수업에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상호작용에서의 말 순서 조직의 특징으로는 수업 참여자들은 말 순서를 번갈아 가며 수업 상호작용을 협력적으로 조직해 가며 서로의 언어적, 비언어적 행위를 서로에게 관찰 가능하고 이해 가능한 것으로 보여주는 방식을 상호작용의 목적과 상황에 합리적이고 적합하도록 매순간 결정하고 확인해가며 상호 주관성을 달성해 간다는 점이다. 이때 수업 참여자들이 지향하는 이러한 상호작용의 원리는 상호작용 내에서 재구성되며 이를 통하여 질서 정연하고 구조적인 수업 상호작용이 구성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비대면 실시간 화상 한국어 수업이 가지는 대면 수업과 구분되는 말 순서 조직의 특징은 세 가지 측면으로 첫째, 비대면 실시간 수업 맥락화하기, 둘째, 비대면 실시간 수업에서 말 순서 주고 받기, 셋째, 비언어적 요소 활용하기로 나누어 규명하였다. 수업 참여자들은 언어적 요소뿐만 아니라 비언어적 요소를 상호 이해에 도달하기 위한 자원으로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가상 교실 환경은 수업 참여자들의 비언어적 자원 활용에 제약적인 맥락으로 작용하기도 하지만, 수업 상호작용 붕괴의 원인이나 상호작용의 어려움만을 제공할 것으로 보이는 비대면 수업에서의 시각적, 청각적 채널의 제한점이 역설적으로 말 순서 조직 구성에 적극적으로 활용되어 수업 상호작용을 위한 자원으로 사용되고 있는 양상으로 나타나기도 하였다. 또한 비대면 실시간 화상 한국어 수업 참여자들이 수업 상호작용에 합목적적이며 협력적으로 말 순서 조직에 기여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비대면 실시간 화상 수업에서의 상호작용 양상을 기술하고 이해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기 때문에 비대면으로 이루어지는 한국어 수업을 보다 효과적으로 설계하고 운영하기 위하여 추구해야 할 교육 과정의 설계나 교수법의 변화에 대해서는 논의하지 못하였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본 연구의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가 가지고 있는 연구방법론을 통하여 실제 상호작용의 맥락적 특징 그대로 이해할 수 있으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조직되는 양상을 분석하여 비대면 실시간 화상 한국어 수업의 양상을 면밀하게 살펴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현재 한국어 교육 분야가 요구받는 시대적 변화의 목소리에 부응하며 비대면 실시간 화상 수업에 적합한 한국어 교수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 기여할 수 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plores multimodal interaction in the video-mediated synchronous Korean as a Foreign Language(KFL) classes to illustrate how collaborative KFL instructors and students organize virtual classroom interactions and how participants make sense of each other in situ. Multimodal ethnomethodological conversation analysis(EMCA) research has revealed naturally occuring social interacion in various multiparty converation settings. This present study contributes to this EMCA research by investigating the multimodal resources that the instructors and students employ for achieving intersubjectivity and establishing mutual orientation in the physically distanced classroom based on a corpus of audio and video recorded virtual classes, after the outbreak of the COVID-19 virus pandemic in 2020 and 2021. Anayses of the turn-taking and sequnece organization show the way the online pedagogical environment affect selecting the next speaker, reparing, turn allocating, turn designing, etc., and examine the procedural peculiarities of videoconference-mediated classroom interaction. Explorations of such multimodal practices modified through affordance and constraints of the virtual educational settings lead to a detailed understanding of the accountability, indexicality, and reflexivity through which the participants orient to and reconstruct during their pedagogical communicative events. The findings that this study reports are significant in providing practical implications for virtual KFL classes and can facilitate teachers' instruction and students' promotion for enhancing the sustainability of KF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