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24 Download: 0

현대소설 교육에서의 죽음교육 방안 연구

Title
현대소설 교육에서의 죽음교육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Death Education for Young People : at the center of mourning
Authors
강현지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지혜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ugges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death education for adolescents at school. The goal of death education is to help better understand mourning and teach that preparing for dying is preparing for well living different stages of life. Chapter II examin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death education through modern novels. From the perspective of Freud and Derrida,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mourning were summarized.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death education centered on mourning, but since the term mourning education was not used, by referring to the content of grief education, the necessity of death education in literature education was emphasized. In addition,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rrent curriculum and death education, the validity of death education was secured within public education. Chapter III analyzes the perception and attitude of death and mourning by extracting contents related to death education based on the works contained in the textbook. Firstly, the current status of the works in which the death motif is implemented was summarized, and the type of death and the object of death were classified. Secondly, learning activities in which death-related terms appear in the questionnaire were individually organized, and not only the person's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death, but also the person's attitude toward mourning was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death education,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works contained in the current textbook and the learning activities implemented in the current textbook were recognized. Chapter IV designs death education in literature education under the sanction of the contemporary youth novel "Yuwon." Although a number of works have been published that sanction the death of adolescents, this study selected "Yuwon," in which the subject of mourning appears, and analyzed the mourning behavior of the characters in the work in terms of mourning narrative and death education. Based on this, a learner-centered class were constructed based on a cooperative writing model so that it could be used in the actual educational fiel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unlike death education in literature education, which has been conducted at a theoretical level, it has laid the foundation for death education centered on mourning at a practical level. However, this study has fundamental limitations in that it only discussed the possibility and direction of death education based on mourning narratives, but did not present a study of death education according to logical and systematic goals.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follow-up studies on death education will be actively conducted and discussions on death education will be expanded.;본 연구는 현대소설 교육에서 청소년을 위한 죽음교육 연구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소설은 인간과 삶의 모습을 반영하고, 삶의 일부인 죽음도 사건으로서 재현하고 있으나, 죽음에 대한 성찰이 부재한 교육으로 인해, 죽음에 대한 학습자의 부정적인 인식을 강화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 따라, 본 연구는 죽음교육의 목표와 문학교육의 목표가 유사하다는 점에 주목하여, 자아 성찰과 타자 이해를 기반으로 한 죽음교육의 내용을 제시하였다. Ⅱ장에서는 현대소설을 통한 죽음교육의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죽음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가 아니라 애도라는 사별 이후의 감정에 관한 연구이다. 따라서 프로이트와 데리다의 관점에서 애도의 개념과 특성을 정리하였다. 프로이트는 애도를 정상과 비정상으로 구분하여, 극복의 대상으로 애도를 설정하고, 애도 주체의 망각을 통해 애도 작업이 완수된다고 하였다. 반면, 데리다는 프로이트의 애도를 전면으로 비판하며, 애도에 내재한 타자성에 주목하여 (불)가능한 애도는 애도 주체의 기억을 통해 지속된다고 하였다. 본 연구는 애도를 중심으로 죽음교육을 시행하고자 하나, 애도교육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죽음교육의 선구자인 알폰스 데켄의 비탄교육의 내용을 참고하여 문학교육에서의 죽음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현행 교육과정과 죽음교육의 연관성을 바탕으로 공교육 내에서 죽음교육의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특히, 도덕과 성취기준에서 죽음을 내용 요소로 기술하고 있고, 국어과 성취기준의 ‘문학의 본질’과 ‘문학에 대한 태도’ 영역에서 죽음교육에서 중요시하는 요소가 기술되고 있어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문학교육에서의 죽음교육의 의미를 파악하였다. Ⅲ장에서는 교과서에 수록된 작품을 중심으로 죽음교육과 관련되는 내용을 추출하여 죽음과 애도에 대한 인물의 인식과 태도를 분석하였다. 먼저, 죽음 모티프가 구현되는 작품의 수록 현황을 정리하고, 죽음의 유형과 죽음의 대상을 분류하였다. 다음으로, 발문에서 죽음과 관련된 용어가 등장하는 학습활동을 개별적으로 정리하고, 죽음에 대한 인물의 인식과 태도뿐만 아니라 애도에 대한 인물의 태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죽음교육의 관점에서 현행 교과서에 수록된 작품과 현행 교과서에 구현된 학습활동의 의의와 한계점을 인식하였다. Ⅳ장에서는 청소년 소설인 『유원』을 제재로 문학교육에서의 죽음교육을 설계하였다. 현대소설 교육에서의 죽음교육은 궁극적으로 타자의 애도 행위를 이해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소설 속 인물이 처한 상황을 공감적으로 상상하고, 소설 속 인물뿐만 아니라 세계를 구성하는 타자가 처한 상황을 윤리적으로 성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청소년 소설을 죽음교육의 제재로 선정하였다. 청소년의 죽음을 제재로 하는 작품이 다수 발표되었으나, 본 연구는 애도 주체가 등장하는 『유원』을 선정하여 인물의 애도 행위를 애도 서사와 죽음교육의 관점에서 통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실제 교육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과정 중심의 접근법에 따라 학습활동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이론적인 차원에서 진행한 문학교육에서의 죽음교육과 달리 실제적인 차원에서 애도를 중심으로 죽음교육의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의 의의가 있다. 죽음교육에 대한 우려를 약화하기 위해서 애도라는 공통의 이해 기반을 바탕으로 타자에 대한 바람직한 태도를 성찰하는 교육을 탐색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애도 서사를 기반으로 하는 죽음교육의 가능성과 방향성을 논의했을 뿐,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목표에 따른 죽음교육의 연구를 제시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 이는 공교육 내에서 죽음교육을 실제적으로 진행한 사례가 부족하고,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애도 연구도 사별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 위주로 전개되었기 때문이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죽음교육에 대한 후속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죽음교육에 대한 논의가 확장되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