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3 Download: 0

베트남어 보도기사의 한국어 번역문에 나타나는 응결장치 연구

Title
베트남어 보도기사의 한국어 번역문에 나타나는 응결장치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ohesive devices in the Korean translated texts of Vietnamese report article
Authors
Than Thi Thuy Hien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해영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atterns and causes of usage of cohesive devices in Korean translated texts of report article produced by Vietnamese-speaking Korean language learners in Vietnamese universities.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Vietnamese higher education has focused on the study of vocabulary and grammar with an emphasis on the four skills of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Therefore, it is rare to see a study discussing translation between Korean and Vietnamese. However, in recent years, translation education has begun to receive special attention because the demand for Korean translators is increasing as translation work is being carried out in various fields. Considering the changing times and the practical needs and necessities of the translation field, Korean translators must have translation skills. However, it would be unreasonable to expect that the traditional grammar method translation education will equip learners with the skills required in the translation field. One of the difficulties that learners face in the translation process is related to the issue of text cohesive device. The text cohesive device cannot be switched well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use of the source language and the target language. In translation studies, text, not sentences, is regarded as a translation unit, so a translation cannot be said to be complete unless the text cohesive device is properly switched. From this point of vie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anslation conversion ability of Vietnamese Korean learners on the results of Vietnamese to Korean translations. The structure and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Chapter I, the necessity of this study was addressed, and the relevant existing studies were investigated. The studies on the Korean learners's usage patterns of cohesive device according to verbal and written registers and the studies on the newspaper's device usage were discussed. In the final part of ChapterⅠ, three research questions of the study were introduced. Chapter II present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The theoretical background was divided into two parts: the report article theory and the text cohesive device. The report article's fuctional and stylish’s features were reviewed. The various academic perspectives on the concepts and categories of cohesive device of text were examined, Vietnamese and Korean scholars' viewpoints on the substitution, ellipsis, conjunction and reiteration’s concept were presented. Based on this, the analysis framework of this study to analyze the cohesive device in Korean translation texts was prepared. Chapter III described the research method in detail. After describing the contents and procedures of the first and second preliminary experiments, the problems and solutions that appeared in the preliminary experiments were presented. Then, the experimental participants, data collection method, and data analysis method of this experiment, which were composed by correcting and supplementing the problems of the preliminary experiments, were presented in detail. In Chapter IV, based on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is experiment, the analysis results were described in the order of substitution, ellipsis, conjunction, and repetition. First, in Section A, substitute condensing device usage patterns appearing in the original Vietnamese text and Korean translations were examined. The substitute cohesive devices used in the original text was maintained in the translation. In the original text and in the translation, ‘this' series was used much more than ‘that' series, which was because in Vietnamese, ‘this' series was preferred over ‘the' series, and the modifier ‘this' and ‘such' were frequently used in the translation. In Section B, the coagulant translation of the ellipsis was analyzed. The learners could not use ellipsis skillfully in their translation because of lacking in the the comprehension about Korean ellipsis. In other words, Vietnamese learners were faithful to the norms of Vietnamese rather than the norms of the Korean target language and translated ellipsis. In section C, the usage the translation of the conjunction was analyzed. As a result, the conjunctive endings were found often in learners' translation. The result confirmed that translation conjunctive endings was essential becaus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sage of conjunction between Vietnamese and Korean languages.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original text and the translated text, it was observed that there were cases in which the conjunctive endings could not be adequately performed because the context was not taken into account. For learners to recognize the difference in the usage of connective cohesive devices between the two languages and to overcome the difference, the cohesive devices, which was not explicitly expressed in the original Vietnamese text, was added in the Korean translation and explicitly revealed. However, it was proved that selecting and using connective cohesive device properly was a challenge. In section D, we examine the reiteration. Similar to substitution and ellipsis,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translation compared to the original text. Among 4 types of cohesive devices, reiteration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in both original Vietnamese article and translated Korean texts. In the translated Korean texts, the frequency of the reiteration decreased. This was due to the reiteration in translated Korean texts, the reiteration was shifted to the substitution or ellipsis. The frequency of reiteration of the same word was high in original Vietnamese article and it is due to favoring a high level reiteration of the same word in Vietnamese. Also the frequency of reiteration of the same word was high in the translated texts and it is the result of interference of source texts. Vietnamese learners almost maintained synonym, hypernym and hyponym repetition used in original text instead of shifting to the same words which preferred in Korean. Finally, Chapter V summarized the results obtained by analyzing the original text and translation of Vietnamese newspaper articles in this study and presente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It was suggested that education in the cohesive devices in a variaty of genres of texts for the Vietnamese Korean learners is required. There are a lot of text types and genres so education in the informative text beginning from report articles. To use Korean cohesive devices in the translated text, Vietnamese learners need to be taught the diffirences between Vietnamese and Korean. Also, they are required to know the diffirences among genres of texts. The existing cohesive device research has been mainly performed on writing and reading functions. This study compared the original Vietnamese report article with the Korean translated texts in the translation function to maintain the cohesive devices of the two languages and to overcome the gap caused b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langua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lso meaningful in that they can serve as a basis for providing knowledge about cohesive device translation in a situation where the demand and necessity for translation education and research are increasing recently.;본 연구는 응결성을 실현하는 응결장치에 중점을 두고 베트남어 보도기사 원문과 베트남 내 대학 고급 한국어 학습자들이 생산한 한국어 번역문의 대용, 생략, 접속, 그리고 반복의 사용 특성을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그간 베트남 내 대학 한국어 교육에 대한 연구는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기능에 중점을 두고 어휘 및 문법 교육에 대한 연구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졌다. 최근 번역교육이 각별한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으나, 번역과 관련된 연구는 미미한 상태이다. 한국과 베트남 간의 교류 증대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번역 작업이 이루어지면서 한국어 번역자의 수요가 늘어가는 추세이고, 번역과 관련된 연구의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소수의 베트남어의 한국어 번역에 대한 연구는 요구분석, 교육과정 또는 어휘, 문법 차원의 오류 분석에 대한 내용이며, 학습자가 생산한 실제 번역문을 분석한 연구는 아직까지 없었다. 학습자가 번역과정에서 봉착하는 많은 난제 가운데 하나는 출발어와 목표어 간 차이로 인해 텍스트 응결장치를 잘 사용하지 못하는 것이다. 응결장치는 외국어 습득을 위해서도 긴요하지만, 번역물의 질을 결정하는 언어적 요소이기도 하다. 텍스트는 의사소통을 위해 생산된 완결된 언어 형식이기 때문에 번역학에서는 텍스트를 번역 단위로 간주한다. 그러므로 텍스트 응결장치를 적절하게 사용하지 못한 번역물은 완성되었다고 보기 어렵다. 번역자는 수용자로서 원문 저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바를 파악하여 이해하고, 생산자로서 목표어의 독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재구성해야 한다. 이런 점에서 번역자에게는 응결장치에 대한 지식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베트남 한국어 학습자가 베트남어 보도기사를 한국어로 번역한 결과물에 나타난 응결장치 사용 양상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이는 궁극적으로 베트남인 학습자의 한국어 텍스트 생성으로서의 한국어로의 번역에 필요한 실질적 교육 방안을 도출하는 데 목적을 둔다. 아래에 본 연구의 구성과 내용을 장별로 제시하였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서술하고, 선행 연구를 한국어 학습자가 생산한 문어 텍스트에 나타난 응결장치 사용 양상에 관한 연구와 신문기사의 응결장치에 관한 연구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네 가지 연구문제를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Ⅱ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본 연구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가 베트남어 보도기사를 한국어로 번역한 자료에 나타난 응결장치 사용 빈도와 특성을 고찰하므로, 먼저 전반적인 보도기사의 기능적 특성과 문체적 특성에 대한 이론을 정리하고, 응결성, 응결장치 이론, 베트남 연구자들과 한국학자들의 응결장치 견해에 대해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분석틀을 설정하였다. Ⅲ장에서는 연구 방법에 대하여 자세하게 기술하였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차, 2차 예비 실험과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먼저 1차, 2차 예비 실험의 내용과 절차에 대하여 기술하고 난 뒤, 1차와 2차 예비 실험에 나타난 문제점 및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1차 예비 실험과 2차 예비 실험을 토대로 본 실험의 내용을 구성하여 자세하게 설명하였다. Ⅳ장에서는 본 실험을 통해 수집된 번역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분석결과를 대용, 생략, 접속, 반복의 응결장치 순으로 상세히 서술하였다. 먼저 A절에서 대용의 응결장치 사용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그 결과, 원문에 비해 번역문의 대용 사용 비율이 약간 높았다. 이는 곧 원문에서 사용되었던 대용도 유지하는 현상이 두드러지지만, 일부는 원문에서 쓰이지 않았던 대용을 번역문에서 추가하거나 다른 유형의 응결장치를 대용으로 변경하는 번역 전환의 전략을 사용하기도 하였음을 의미한다. 원문과 번역문에서 공통적으로 ‘그’ 계열보다 ‘이’ 계열이 많이 사용되었는데, 이는 베트남어에서 ‘그’ 계열보다 ‘이’ 계열이 선호되고 번역문에서 수식언 중 ‘이’의 출현 빈도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이런', ‘이러한’의 사용 빈도가 높았다는 것도 주목할 만하다. B절에서 생략의 응결장치 사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원문에 비해 번역문에서 생략 사용 빈도가 높았으나 그 차이는 미미하였다. 주어 생략 빈도는 원문과 번역문에서 동일하고, 목적어 생략은 원문에 비해 번역문에서 증가하였다. 베트남인 학습자들이 한국어인 목표어의 규범에 가깝게 하기 위해 생략을 조절하려는 시도의 결과로 해석된다. 하지만 그 중 생략해서는 안 되는 문장성분을 생략한 경우도 있고, 반대로 베트남어 원문에서 생략되었던 문장성분을 오히려 번역문에서 회복하여 명시적으로 드러낸 사례도 관찰되었다. 이어서 C절에서 접속의 응결장치 사용 양상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 원문과 번역문에서 모두 접속이 반복의 다음으로 많이 사용되었으며, 원문과 번역문 사이에서 가장 큰 변화가 일어났다. 베트남어 원문에서 표현된 접속의 응결장치 번역에서 큰 어려움이 없을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학습자들이 접속부사와 관용적 연결어 사용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는 원문과 번역문 간에 큰 차이가 없지만, 문맥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사전적 어휘로 대응시켜 적절한 접속부사를 선택하지 못한 사례가 있음이 관찰되었다. 접속의 응결장치 중 확연히 차이가 나는 것은 베트남어의 어순 배열과 문장부호로 표시되는 비명시적 응결성 구현 방식이었다. 학습자들이 두 언어 간의 접속의 응결장치 사용상 차이를 인지하고 그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베트남어 원문에서 비명시적으로 표현된 응결장치를 한국어 번역문에서 추가하여 명시적으로 표현하였다. 그러나 이들이 적절한 응결장치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데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D절에서는 반복의 응결장치 양상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원문과 번역문에서 공통적으로 네 가지 응결장치 유형 중 반복이 가장 자주 사용되었다. 그리고 원문과 번역문 간에 반복의 사용에서 차이가 존재하였으나 그 차이는 크지 않았다. 원문에서과 번역문 모두에서 동일어 반복 > 유의어 반복 > 상·하위어 반복의 순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이는 학습자들이 한국어 보도기사의 문체적 특성보다 베트남어 보도기사의 문체적 특성에 의존하여 원문의 반복어 유형들을 번역문에서도 거의 유지하였기 때문이다. 한편, 이 중 일부 어휘는 맥락을 고려하여 생략하거나 대용으로 전환하면 더 자연스러운 경우에 과잉반복한 사례도 있었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베트남어 보도기사 원문과 번역문 분석을 통하여 도출한 결과들을 요약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베트남어 학습자를 위한 응결장치 교육과 관련된 제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주목받지 못하던 번역기능에서 학습자들이 응결장치를 사용하는 양상과 그 원인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최근 베트남 내 대학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번역 교육 및 연구에 대한 요구와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응결장치 번역 교육방안을 도출할 수 있는 기본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