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90 Download: 0

Association between use of nutrition labels and risk of chronic kidney disease

Title
Association between use of nutrition labels and risk of chronic kidney disease
Other Titles
영양 표시의 사용과 만성신부전 위험성과의 연관성: 국민건강영양조사(KNHANES) 2008-2019년의 단면 연구
Authors
김종희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임상바이오헬스대학원 임상영양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바이오헬스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승연
Abstract
Nutrition labeling on food packages is increasingly found to promote healthier food choices associated with lower risk of chronic kidney disease (CKD). To examine associations between nutrition labels use and CKD risk, we conducted a nationally representative cross-sectional study of 32,080 adults from the 2008–2019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utrition labels use was collected via self-reported questionnaires. Ascertainment and severity of CKD was determined by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or proteinuria. In multivariable-adjusted (MV) logistic regression models, increasing awareness and use of nutrition label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ower CKD risk (MV-adjusted OR “nutrition labels aware and use” group vs. “nutrition labels unaware” group [95% CIs]: 0.75 [0.59–0.95], P-trend: 0.03). This inverse association varied with CKD’s risk to progression with 21% and 42% reduced risk observed for CKD subtypes with “moderate” and “high” risk to progression, respectively (all P-trend ≤ 0.04). Furthermore, the nutrition labels use and CKD risk association significantly differed by age, with 35% reduced risk observed in the older group aged 49 years or older, but not in the younger group (P-interaction < 0.001). Our results suggest increasing perception and use of nutrition labels may contribute to CKD prevention and its early asymptomatic progression, especially in older adults. ;식품의 영양소 함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식품 포장의 영양 표시는 만성 신부전(CKD)의 예방과 관련 있는 건강한 식품 선택을 촉진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하지만 영양 표시 사용과 CKD 위험의 연관성을 조사한 연구는 보고된 바 없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2008-2019년 국민건강영양조사(KNHANES)의 19세 이상 성인 32,080명에게서 수집된 단면 연구 자료를 이용하여, 영양 표시와 CKD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영양 표시의 인식 및 사용에 대한 정보는 설문지(self-reported questionnaire)를 통해 수집되었으며, CKD 및 CKD 중증도는 추정된 사구체 여과율과 소변 스틱 검사의 결과로부터 추정된 단백뇨에 의해 결정되었다. 다변수 조정 로지스틱 회귀 모델에서 영양 표시의 인식 및 사용이 증가할 수록, CKD 위험도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Multivariable-adjusted OR “nutrition labels aware and use” group vs. “nutrition labels unaware” group [95% CI]: 0.75[0.59–0.95], P-trend: 0.03). 특히, 이 연관성은 CKD의 예후 진행 위험 정도에 따라 정의된 CKD 중증도에 따라 달라짐을 관찰할 수 있었는데, 영양 표시 사용하는 그룹은, 영양표시를 인지하지 않는 그룹에 비해, 저위험 CKD 및 고위험 CKD를 가지게 될 오즈가 각각 21%, 42% 감소하였다(모든 P-trend ≤ 0.04). 또한 영양 표시 사용과 CKD 위험 연관성은 연령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관찰되었다. 49세 이상의 고령자 그룹에서는 영양 표시의 사용하는 그룹에서, 영양표시를 인지 및 사용하지 않는 그룹에 비해, CKD 위험 오즈가 35% 감소됨을 볼 수 있었으나, 49세 이하의 그룹에서는 유의한 연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다(P-interaction < 0.001). 즉, 본 연구 결과는 영양 표시의 인지와 사용이 CKD의 위험을 낮추는데 기여할 수 있으며, 특히 그 효과가 연령이 높을 수록, 그리고 초기 CKD 예후 진행 예방에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ETC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