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28 Download: 0

아동학대사건으로 간접외상을 경험한 양육모의 긍정정서 회복을 위한 비대면 집단미술치료 질적사례연구

Title
아동학대사건으로 간접외상을 경험한 양육모의 긍정정서 회복을 위한 비대면 집단미술치료 질적사례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case study on group online art therapy to restore positive emotion of mothers with indirect trauma through media exposure reporting child abuse
Authors
이유진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소정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학대사건을 보도하는 매체 노출로 인하여 간접외상을 경험한 양육모 집단이 긍정정서 회복을 위한 비대면 집단미술치료에 참여하며 어떠한 경험을 하였는지 알아보고 그 경험의 의미가 무엇인지 이해하고자 하는 데 있다. 연구의 참여자는 아동학대사건 보도로 인해 간접적 외상을 경험한 30~40대 어머니 4명이며 영유아부터 청소년기 사이의 자녀를 양육하며 아동학대사건에 대한 관여도와 공감도가 높은 집단이다. 연구자는 매체보도를 통해 아동학대 및 아동학대치사 사건에 간접적으로 노출되며 발생한 어머니 집단의 심리∙ 정서 손상을 복구하고 긍정적 정서 요인을 회복하기 위한 집단 미술치료를 계획하였으며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Herman(1997)의 외상회복이론을 근거로 구성하였다. 집단미술치료 사례는 2022년 2월 7일부터 2022년 2월 25일까지 주 2회, 90분, 총 6회에 걸쳐 이뤄졌으며 연구 참여자들의 보건을 위해 화상회의 플랫폼인 줌(Zoom)을 사용하였다. 연구자는 사전 설문지, 사전 면담 축어록, 전 회기에 걸친 참여자들의 미술 작품 사진, 회기 축어록, 연구자의 임상 일지, 회기소감문을 연구자료로 수집하였으며 기술된 자료들은 Creswell(2013/2015)이 질적연구분석의 구조로 제시한 6단계의 자료분석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수집 자료의 분석 결과, <엄마라는 공통분모가 낯선 사람들 앞에서 나를 자연스럽게 개방하게 하고 서로를 친숙하게 느끼게 함>, <아동학대보도가 나의 내면에 남긴 어두운 동굴 같은 감정을 직면함>, <아동학대사건보도를 접한 후 엄마로서 나를 돌아보게 됨>, <불편한 경험과 혼란스러웠던 마음을 시각화 함으로써 심리적 안정감을 느낌>, <외상적 사건으로 인한 공통된 경험을 공유하며 감화됨>, <긍정적 내면 변화의 생장점을 발견함>의 총 6개의 상위주제와 17개의 하위주제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연구자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간접외상을 경험한 양육모 집단의 문화적 동질감을 바탕으로 한 집단 응집력은 간접외상의 회복을 위한 치료적 중재 과정의 시작점인 ‘안전감 형성’ 의 핵심 요소로 작용하였으며 이는 외상회복이론 기반 미술치료 개입 과정의 지원 체계로 기능하였다. 둘째, 간접외상을 경험한 양육모 집단은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자신의 외상적 경험에 대한 통제력을 가질 수 있었으며 전체 경험의 심도 깊은 탐색으로 양육자 또는 한 개인으로서 보다 성숙한 자기이해에 이를 수 있었다. 셋째, 양육모 집단은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미디어 노출로 인한 간접외상의 피해를 적응적으로 조절하고 처리할 수 있는 심리적 대처 자원을 획득하였으며 외상회복이론을 적용한 미술치료는 간접외상 경험자의 치유 및 긍정정서 회복을 목표로 하는 심리 개입으로서 유효하였다. 넷째, 외상경험은 객관성과 주관성을 동시에 가진다는 것을 고려할 때, 간접적으로 외상을 경험한 사람은 직접 경험한 사람에 비하여 그 정서 충격도가 낮다고 하더라도 개인이 보고 및 호소하는 피해가 존재한다는 점에서 동일한 맥락을 가지며 정서 관리의 요구 및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간접외상자들의 개인 내적 경험을 면밀히 살펴보아 미디어 노출로 인한 심리 피해의 복구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개입 과정에서 양육모의 집단 응집력이 외상 경험자의 치유 기반 구축과 집단의 회복 및 성장의 매개 역할을 하였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외상회복이론 기반 집단미술치료가 제공할 수 있는 심리적 개입 방안의 경험적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간접외상 경험자의 외상적 상황 재평가, 자기 이해, 정서 관리 과정에 관한 연구를 확대하였으며 결과적으로 감정의 정화와 심리적 안녕감 획득, 희망과 같은 긍정정서의 경험이 가능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감염병 예방 목적을 넘어 비대면 미술치료가 가진 시∙ 공간적 유익성을 적극 활용하는 것이 정신병리학적 진단의 테두리 밖에 위치한 대중의 정신건강을 돌볼 예방적이고 효율적 심리∙ 정서 관리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xperiences of a group of mothers who experienced indirect trauma due to exposure to media reporting child abuse cases participated in online group art therapy for the recovery of positive emotions and understand the meaning of those experience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4 mothers in their 30s and 40s who experienced indirect trauma due to reports of child abuse and have high involvement in and sympathy for child abuse cases, raising children from infancy to adolescence. The researcher planned group art therapy to restore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amage of the mothers' group that occurred through indirect exposure to child abuse through media reports and recuperate positive emotional factors.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trauma recovery theory by Herman (1997). The group art therapy was conducted twice a week, 90 minutes each, for a total of 6 times from February 7, 2022, to February 25, 2022, and it used Zoom, a video conferencing platform, in consideration of the participants' health. The researcher collected preliminary questionnaires, verbatim records of initial interviews, photos of participants' artworks from all the sessions, verbatim records of the sessions, the researcher's clinical diaries, and testimonials as research data.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six steps of the data analysis method presented by Creswell (2013/2015) as the structur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the researcher derived a total of 6 topics and 17 sub-topics. - , , , , , and . The researcher'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 a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cohesiveness based on the cultural homogeneity of the mothers who experienced indirect trauma functioned as a critical factor in the 'formation of a sense of security.' This served as a support system for the therapeutic intervention process to recover indirect trauma. Second, the group of mothers who experienced indirect trauma was able to have control over their traumatic experiences through the group art therapy, and they were able to reach a more mature self-understanding as a caregiver or as an individual through in-depth exploration of the entire experience. Third, the group of mothers earned resources of psychological coping to adaptively control and handle the damage of indirect trauma caused by media exposure, and group art therapy applying the trauma recovery theory was effective as a psychological intervention for recovery. Fourth, considering that traumatic experiences have both objectivity and subjectivity, those who have experienced trauma indirectly have the same context and the need for emotional management even though their emotional impact may be lower than those who have experienced direct trauma. These research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recovery from psychological damage caused by media exposure by closely examining the personal experiences of indirect trauma victims. The intervention process also demonstrated that the group cohesiveness of the mothers played a role as a medium in establishing the foundation of healing and the recovery and growth of the group. In addition, the research presented empirical results of psychological intervention methods that trauma-recovery-theory-based group art therapy can provide and expanded the research on the re-evaluation of the traumatic situation, self-understanding, and emotional management processes of those who have experienced indirect trauma. As a result, it found that it is possible to obtai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experience positive emotions such as hope. Lastl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mplies that actively utilizing the benefits of online art therapy beyond the purpose of preventing infectious diseases can be a preventive and effective plan for psychological and emotional management of the public's mental health outside the boundaries of psychopathological diagnosi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