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01 Download: 0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지체장애 청소년을 위한 현장실습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Title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지체장애 청소년을 위한 현장실습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Other Titles
Autoethnography of Master’s Student in Art Therapy during Field Training Related to Adolesc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uthors
장채운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경아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ypes and meanings of experiences gained by master’s degree student in art therapy during field training related to adolesc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 this respect, autoethnographic research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content and meaning of these experiences in a self-reflective manner. Thus,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the research results as data to promote autoethnography as a method for exploring the self-awareness of master’s students in fields related to art therapy. In this respect, the research questions in this study are “What type of experience have I gained, as a master’s degree student in art therapy, during field training related to adolesc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What meanings have I realized, as a master’s degree student in art therapy, from my experience during field training related to adolesc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This investigation is based on the experience of a master’s degree student serving as the main therapist in art therapy field training for a group of four physically disabled adolescents held at a special education school located in A city from September 2021 to January 2022. This researcher has utilized objective records, as well as self-retrospection and self-reflection data collected during field training, to reflectively describe the field training process experienced by this researcher and to reveal the meanings of the experience. In the data collection step, journals and case reports on field training, as well as responses to art images and writings from these cases, memoranda, diaries, and conversation records with peer trainees, were collected over approximately six months from August 2021 to February 2022. The results of and conclusions from this analysis and descriptions of the collected data are provided as below. First, I, as a master’s degree student in art therapy, found myself striving to faithfully fulfill my duties as a therapist during field training with a sense of expectation and responsibility, and was completely devoted to facilitating clients’ various art-related experiences. Second, I experienced negative emotions in unpredictable situations during the field training sessions and temporarily lost confidence due to a perceived lack of competence as a therapist. However, a realization of this experience as a type of “growing pain” arising from the process of becoming a professional art therapist enabled me to more deeply recognize the need for self-assessment. Third, supervision and response art during field training enabled me to examine my role as a therapist and explore my inner being, thereby seeking an appropriate therapeutic intervention method from another viewpoint and using it to delve into my emotions. Insights and reflections during the preceding session related to myself served as an accelerant in preparing for the subsequent sessions and providing encouragement. Fourth, the proactiveness and art-based communication of the adolescent cli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beyond their physical limitations during the field training session left a deep resonance on myself. I was able to gradually relieve my burden as a therapist while discovering and supporting the talents and potential of the clients during this process, which convinced me that that they are capable of achieving anything. Fifth, as the group of adolescent cli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became trustful, I was enabled to gradually expand their worldview and emphasize the importance of a flexible perspective on the world, me, and others they will encounter in their lives. This allowed me to have unshakeable faith in my clients, art therapy, and myself, thus resulting in a self-growth experience that inspired confidence as well as conviction and pride in the path I will seek in the future. The aforementioned conclusions of this study contribute to research and master’s degree students in art therapy as described below. First, this study can serve as a resource to facilitate master’s degree students preparing for field training to recognize clients’ and therapists’ experiences in advance because the data provide first-hand experiences of master`s degree student in art therapy regarding field training with adolesc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Secon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employed the autoethnographic method in investigating training experiences of master’s degree student in a self-reflective manner to share self-awareness and experience change and growth.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reference material for those seeking to utilize this tool to inquire into master’s degree students on self-awareness. ;본 연구는 지체장애 청소년을 위한 현장실습에서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이 어떠한 경험을 하였으며 그 경험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심층적으로 알아보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경험의 내용과 의미를 탐구하기 위해 자기반성적 및 자기성찰적 관점을 반영하는 자문화기술지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이를 토대로 미술치료 연구 관련 영역에서 석사과정생의 자기인식 탐구 방법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는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연구 문제는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인 나는 지체장애 청소년을 위한 현장실습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였는가?”,“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인 나에게 지체장애 청소년을 위한 현장실습 경험이 갖는 의미는 무엇인가?”로 설정하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2021년 9월부터 2022년 1월까지 A시 소재 특수학교에서 진행된 지체장애 청소년 4명 집단을 위한 미술치료 현장실습에서 석사과정생이 주 치료사로서 참여하며 겪은 경험을 토대로 한다. 연구자가 경험한 현장실습의 과정을 성찰적으로 기술하고, 그 경험의 의미를 밝히기 위해 현장실습에 관한 연구자의 객관적 기록물과 자기회상 자료 및 자기성찰 자료를 활용하였다. 자료 수집 단계에서 현장실습일지, 현장실습 사례보고서, 현장실습 사례에 관한 반응작업 이미지 및 글, 메모, 일기, 동료 실습생과의 대화 내용 등을 수집하였으며 이는 2021년 8월부터 2022년 2월까지 약 6개월에 걸쳐 이루어졌다. 수집한 자료를 분석, 기술한 내용에 관한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인 나는 기대감과 책임감을 안고 시작한 현장실습에서 치료사로서 맡은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내담자들이 미술로 다양한 경험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다방면으로 에너지를 쏟으며 고군분투하는 나의 모습을 발견하게 되었다. 둘째, 나는 현장실습 회기 안에서 예측 불가능한 상황을 마주하여 부정적 정서를 경험하면서 치료사로서의 역량 부족을 느끼고 잠시 자신감을 잃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는 전문적인 미술치료사가 되기 위한 과정에서 비롯된 일종의 성장통임을 스스로 받아들이고 이런 이해를 바탕으로 자기 점검의 필요성을 더욱 깊이 인식하게 되었다. 셋째, 현장실습 슈퍼비전과 반응작업을 통해 치료사로서 나의 역할을 점검하고 내면을 탐색하여 다른 관점에서 적절한 치료적 개입 방법을 모색하고 나의 감정을 좀 더 깊이 들여다볼 수 있었다. 진행한 회기와 나 자신에 관한 통찰 및 성찰은 이후 이어질 회기의 치료 계획을 재정비하고 새로운 의지를 북돋는 촉진제 역할을 하였다. 넷째, 현장실습 회기 안에서 지체장애 청소년 내담자들이 신체적 어려움이라는 한계에 갇히지 않고 주도적으로 활동하며 미술을 매개로 서로 소통하는 모습을 지켜보는 것은 내게 깊은 울림을 주었다. 이 과정에서 내담자들의 자원과 잠재력을 발견하고 지지하면서 이들이 무엇이든 해낼 수 있다는 믿음이 생겨 치료사로서 나의 부담감도 점차 내려놓을 수 있었다. 다섯째, 나는 지체장애 청소년 내담자 집단을 신뢰하게 됨에 따라 점차 이들을 바라보는 관점이 확장되었고 더 나아가 삶 속에서 세상과 나, 타인을 바라보는 관점을 유연하게 갖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이는 내담자, 미술치료, 나에 대한 견고한 믿음을 가질 수 있게 하여 앞으로 내가 가고자 하는 길에 대한 확신과 자부심, 그리고 자신감을 얻는 자기 성장 경험이 되었다. 위와 같은 연구의 결론이 미술치료전공 연구 및 석사과정생에게 기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지체장애 청소년을 위한 현장실습에 관한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생생한 경험 내용을 제공함으로써 현장실습을 준비하는 석사과정생이 내담자 및 치료사의 경험에 대한 사전인식을 돕는 자료가 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자문화기술지 연구방법을 통해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현장실습 경험에 관한 성찰과 반성의 내용을 반영하여 자기인식 및 변화와 성장 경험을 공유한다는 데 그 의미가 있다. 이러한 연구가 석사과정생의 자기인식 탐구의 도구로 그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 데 참고 자료로 제공되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