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29 Download: 0

아동의 우울에 관한 미술치료 연구 동향

Title
아동의 우울에 관한 미술치료 연구 동향
Other Titles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art therapy for children's depression
Authors
조은지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경아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학회지에 게재된 아동의 우울을 대상으로 하는 미술치료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여 아동의 우울에 관한 미술치료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향후 중재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를 위하여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국회전자도서관 온라인 정보서비스, 한국학술정보(KISS)를 이용하여 ‘아동, 우울, 미술치료’ 키워드 검색을 통해 아동의 우울에 관련한 미술치료 연구가 최초로 발표된 1996년부터 2021년 8월의 최근까지의 논문을 중심으로 총 51편을 최종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최종 분석 논문은 Microsoft Excel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및 백분율의 통계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우울에 관한 미술치료 연구의 연도별 동향 분석에 의하면 해당 연구는 1996년 최초로 발표된 이후로 연도별로 꾸준히 발표되었으며 학술지별 동향은 미술치료연구에서 가장 많이 발표되었고 다른 분야의 학술지에도 연구가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 대상 분석에 의하면 성별구분은 남자 아동과 여자 아동이 혼합된 혼성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연령구분에는 초등고학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았다. 연구대상 특성에 따른 분석으로는 의학적 진단명은 없으나 사회·심리적 증상을 호소하여 DSM 우울진단에 준하는 형태의 문제를 가진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음이 나타났다. 셋째, 연구방법에 따른 분석에 의하면 연구 설계에서 미술치료의 효과를 수치화한 정도를 기재한 실험연구와 사례연구가 포함된 양적연구가 가장 많았다. 검사 도구에 따른 분석에서는 객관적 측정 도구가 많이 사용 되었으며, 그에 반해 투사적 검사 도구를 사용하지 않은 연구의 비중이 사용한 연구에 비해 가장 많았다. 객관적 검사도구는 우울 아동척도(CDI)가 가장 높은 비율로 해당 연구에서 사용되었으며, 투사적 측정 도구로는 집-나무-사람 그림검사(K-HTP)가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넷째, 연구내용 분석에 의하면 미술치료의 형태로는 개인치료형태가 좀 더 많은 비중을 보였다. 치료가 이루어지는 장소는 상담센터, 미술치료연구소 등 개인치료실에서 가장 많이 진행이 되었다. 총 치료회기 수는 10회기와 20회기 이상이 같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회기 당 소요시간은 50분 이상이 가장 많았다. 미술치료 목표에는 자기성장에 해당하는 감정 및 이완이 가장 많았으며, 미술매체와 미술기법에 따른 분석에 의하면 색연필, 크레파스 등의 건식 매체와 그리기기법이 가장 많이 사용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심리 이론적 접근에는 접근하지 않음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본 연구는 분석기준에 따라 1998년부터 국내 학회지에 게재된 아동의 우울에 관한 미술치료 연구의 전반적인 흐름을 파악하여 기초자료를 제공하였으며, 향후 우울 주제를 중심으로 하는 아동 미술치료 연구의 발전에 의미 있는 기여가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both provide the basic data needed to study the role of art therapy in treating children’s depression and suggest ways to apply this practice in the future by analyzing current trends in art therapy studies in Korean academic journals that focus on children’s depression. This study selected and analyzed a total of 51 dissertations on the role of art therapy in treating children’s depression from 1996 to August 2021 through keyword searches for “children”, “depression” and “art therapy” using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RISS), the online information service of the National Service System(KISS). The current research contains an empirical analysis using rhe frequency and percentage method conducted using the Microsoft Excel progra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rends by year in art therapy as a treatment for children’s depression, the relevant studies were published every year since their first publication in 1996. Art therapy studies were published most frequently in academic journal, with fewer being published in other types of publications. Second,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research subject, the gender representation was mixed between males and females and most were in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s for the analysis of their characteristics, most studies were done on children who have not been diagnosed with a medical condition but have similar levels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with soci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Third, most study methods used experimental research to indicate the effectiveness of art therapy and quantitative research containing case sudies in their study design. Objective measuring test tools were used most frequently while there were more studies that did not use projective test tools than thoses that did. Chidren’s Depression Inventory(CDI)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testing tool, and Kinetic House Tree Person(K-HTP) was most frequently used projective testing tool. Fourth, individual therapy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type of therapy. Personal therapy clinics, such as consultation centers and art therapy labs,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location. As for the number of therapy session, 10 and 20 accounted fot the same percentage while 50 minutes and above accounted for the most frequently used duration. For the goal of art therapy, self-growth and relaxation were the most common goals while the use of dry materials, such as coloring pencils and crayons, and drawing methods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techniques. As for the theoretical psychological approach, no approach stood out as being most preferred.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outlining the overall trend in art therapy studies with a focus on children’s depression based on Korean academic journals from 1998 to the present. It is the hope of the author that this study will make a meaningful contribution to the future development of children’s art therapy studies in treating depress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