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96 Download: 0

개방성과 적응력을 통해 본 한국 근대 고등교육 미션스쿨에 관한 연구

Title
개방성과 적응력을 통해 본 한국 근대 고등교육 미션스쿨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he mission schools, Korea’s higher education in the modernization period, in the perspective of openness and adaptation : Focusing on Soongsil College and Yonhi College
Authors
김진영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다문화·상호문화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송영빈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new alternative perspective on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the mission schools, Korea’s higher education system in the modernization period. It attempts to review the activities in terms of openness and adaptability in historical context, diverging from the existing religious and ideological perspective. The previous studies on the mission schools in the modernization period are based on the perspective of dispensation, claiming that the mission schools contributed to earlier enlightenment and modernization. They also persistently argue that the schools helped implement the western culture and ideology under the view of imperialism and assimilation. Robert E. Speer(1904) once emphasized that the core of the western culture was Christianity no matter what fault it had and the impact of the West upon the East must be Christianized. He also added all the actions by the West needed Christianity missionary for its own sake(Robert E. Speer, Missions and Modern History, 1904:670). They support Speer’s argument that the core of western imperial expansion is a Christian mission. Christian educational missions were conducted by western missionaries, so it is acceptable that Speer’s argument was reflected in the missions. However, not by looking as a whole, understanding the life and activity of each individual missionary would present another type of new perspective from a different aspect, looking as apart and as a whole at the same time. Therefore, this study concentrates on the establishment and educator’s educational activities of the mission schools, Korea’s higher education in the modernization period. Historical cases were found through analyzing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Soongsil College in Pyongyang and Yonhi College in Seoul in the perspective of openness and adaptation. By doing so, this research aims to prove that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the mission schools were the real cases created by openness and adaptatio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perspective. It also focuses to verify that mutually communicative, interdependent, and cooperative educational challenges occurred in the mission schools. Openness and adaptation are suggested as a standard of analysis with their definitions and evidence. Openness means recognizing and respecting the difference between different cultures. It includes an attitude as well as an open mindset to avoid self evaluation and cooperate with each other. Adaptation is empathy that fulfills other’s interests and needs. It is a specific action, a will, and an attitude to achieve a win-win situation for me, you, and us. Openness and adaptation encompass not only a general dictionary definition, but also the real situations in Korea in the modernization period. The evidence of applying openness and adaptation is as follows. Firstly, it emphasized the different level of perceptions over Koreans the western missionaries had then. This study sought for the effort that the missionaries tried to respect and understand Koreans and find a mutual benefit and the educational activities that observed each other’s different cultures and languages back then. Secondly, historical continuity is emphasized. This research looked for current educational activities that have been generated from the past educational activities. The educational missions, courses, and beliefs of school faculties of Soongsil College and Yonhi College have been analyzed in terms of openness and adaptation. To do so, literature review and historical consideration and materials were brought to a method of the case study. Historical consideration was based on materials from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missionaries, Christian churches, and various newspapers and magazines. The data for the case study took advantage of various sources and reports such as reports of university history, memoirs, and biographies. The literature review is as follows: The openness and adaptation of Soongsil College is characterized as being “conditional, restrictive, and selective.” In particular, as the educational mission is set under the frame of “Christianity and God,” they allowed admission to students who were Christians. This demonstrates restrictive openness and selective adaptation. Also, cultivating talented students to fulfill the goal of gospel dissemination represents selective adaptation. And managing the school by the coalition of Presbyterian Church and Methodist Church under the agreement on the division of missionary areas shows selective openness. On the otherhand, Yonhi College’s openness and adaptation are described as being “popular, universal, and inclusive.” Typically, the perception of “all countries and allages'' negotiated its ideology, which created extended openness. Inclusive openness is discovered from the management of school by the missionaries in Korea in an ecumenical manner. The admission criteria and selection were open to non Christians, and Korean professors were hired regardless of religion or ideology in order to have broader educational professionalism, which represents popular and inclusive openness.  Also, universal and popular adaption were found in its liberal arts education, supporting nationalist movements, and cultural activities converging knowledge, morals, and body. Moreover, in the process of approving the establishment of a university, Yonhi College took advantage of Japanese people in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nd united with donors to prepare the management of school, which definitely presents adaptation. In the perspective of openness, it is estimated that Yonhi College is more open than Soongsil College. In fact, when the case study was analyzed, it seems there is no big difference in openness between the two schools. However, in the perspective of historical continuity, Yonsei University, Yonhi College’s later self, is a result of Yonhi College’s openness. Many people now consider Soongsil University, Soongsil College’s later self, to be a Christian school, but Yonsei University is perceived as a general university rather than a Christian school. On the other hand, in terms of adaptation, Soongsil College is more outstanding than Yonhi College. In the case study with the perspective of historical continuity, Soongsil University has demonstrated that they have tried to make a connection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considering its graduate school courses. However, more importantly, this study was able to find real cases of openness and adaptation in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the mission schools, Korea’s higher educationin the modernization period. It doesn’t focus on which school was more open or adaptable.  As educational activity is the field mingled with the belief, will, and hope of educators, it is important to contemplate the establishment and educators of a school. This will refresh our unilinear perspective to see things as aggregation which hinders us not to see multidimensional aspects of humanity. By verifying the cases of the openness and adaptation of Soongsil College and Yonhi College, this study set forth a counterargument of the perception that the mission schools are based on one-sided assimilation education. Furthermore, this research aims to raise awareness that the education of Soongsil College and Yonhi College was adjusted to the Korean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ried to establish an educational system by Koreans and for Koreans. Also, the two schools have their own unique educational aspect, compared to Keijo Imperial University or government colleges. They adeptly realized openness and adaptation through having an open mind to Korea and Koreans and executing realistic and practical educational activities considering Korea’s situations. The first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provides a different perception of Korea and Koreans among various nationalities and powers in the modernization period as well as offers a new perspective on Korea’s higher education in the modernization period. The second significance is that openness and adaptation are suggested to verify the first significance. It also expands the possibility of a comprehensive range of applications. So far, this study has led to suggesting a new perspective of openness and adaptation and finding historic cases to change the existing ideology of Korea’s higher education mission schools in the modernization period. It also provides a chance to understand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the mission schools established and managed by the missionaries in Korea in the modernization period and their intention to respect and care for Koreans. As a result, this research strives to verify that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the mission schools had educational trials and challenges based on mutual communication, interdependence, respect, and consideration. Through researching the openness and adaptation of the mission schools, Korea’s higher education in the modernization period, it is expected that more diverse and new perspectives thrive in the converged study field of the mission schools in the modernization period.;본 논문은 개방성과 적응력의 관점에서 한국 근대 고등교육 미션스쿨에 관한 연구로 미션스쿨 전문학교의 교육적 활동에 대한 역사적 맥락에서 기존의 종교와 이데올로기적인 관점을 탈피하여 새로운 대안적 시각의 접근을 시도하였다. 그간의 미션스쿨 전문학교에 관한 연구는 문명개화와 근대화를 앞당겼다는 시혜적 평가이거나 서양 문명과 사상의 이식이라는 제국주의적이고 동화주의적인 관점을 견지하였다. “서양 문명은 어떤 결점이 있더라도 기독교 문명이다. 동양에 진출할 때 그 종교적 성격을 숨기면 안 된다. ……모든 서양 세계의 움직임은 그 자체를 위하여 기독교 선교를 필요로 한다(Robert E. Speer, Missions and Modern History, 1904:670).” 곧 서양의 제국주의적 팽창의 중핵(中核)이 기독교 선교라고 말하는 스피어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것이다. 기독교 교육 선교가 서양 선교사들에 의해 실행되면서 집단적으로는 스피어의 주장이 반영된 측면이 분명히 존재한다. 하지만 전체로서 서양 선교사가 아닌 한 사람의 선교사로서의 삶과 활동을 직면하는 것은 다른 차원에서 전체와 부분을 볼 수 있는 새로운 관점 고찰의 계기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선교기관이자 교육기관이었던 한국 근대 고등교육 미션스쿨의 설립·운영자와 교육 활동에 주목하였다. 특히 평양 숭실전문학교와 서울 연희전문학교의 설립·운영자와 두 학교의 교육적 활동에 나타난 개방성과 적응력을 고찰하여 역사적 사례를 발굴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근대 고등교육 미션스쿨의 교육적 활동이 기존의 관점과는 다른 개방성과 적응력에서 구현된 교육의 실례임을 제시함과 동시에 근대 고등교육 미션스쿨 현장에서 상호소통적이고 상호의존적이며 협력적인 교육적 시도가 존재했음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 기준으로 개방성과 적응력을 활용하기 위해 그 의미와 적용에 대한 용어 정의와 근거를 제시하였다. 개방성은 서로 다른 문화와 주체 사이의 차이를 인식하고 존중하며 자신의 가치 판단을 유예하고 협업하는 배려의 태도이자 열린 자세이다. 적응력은 자신의 이익이 아닌 타인의 이익과 필요를 채워주고 공감하며, 나, 너 우리가 상생적 삶이 되는 지향점을 향한 의지와 태도이며 구체적 행동력이다. 이 개방성과 적응력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인 사전적 의미는 물론 당시 한국적 상황에서 나타나는 실제적 현장성을 담지하며 포괄하는 것으로 보다 확장된 의미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개방성과 적응력의 구체적인 적용 근거는 첫째, 서양 선교사들의 한국인에 대한 인지(인식)의 차이에 초점을 둔다. 당시 대부분의 선교사와는 달리 한국인들에 대해 서로를 존중하고 이해하며 합의점을 찾으려는 노력과 서로의 문화와 언어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반영한 교육적 활동의 사례를 찾는 것이다. 둘째, 역사적 연속성의 관점에 주목한다. 과거의 교육적 활동이 현재의 교육적 활동으로 연계되어 실재하는 사례인가를 확인하는 것이다. 한국 근대 고등교육 미션스쿨 숭실전문학교와 연희전문학교의 교육이념과 교육과정은 물론 설립·운영자의 가치관과 학교의 형태 및 운영방식 등 교육적 활동을 개방성과 적응력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하는 역사적 고찰과 자료를 근거로 한 실사례 분석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역사적 고찰은 조선총독부와 선교부의 자료들, 기독교계 자료, 그리고 각종 신문과 잡지를 참고하였다. 실사례 분석을 위한 자료는 각 학교에서 발간한 대학교사와 각종 자료집, 보고서, 그리고 회고록과 평전 등을 활용하였다. 이러한 문헌연구를 통한 연구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숭실전문학교의 개방성과 적응력은 ‘조건적, 제한적, 선택적’이라는 특징이 나타난다. 특히 교육이념이 ‘기독교와 하나님’이라는 테두리 안에서 정립됨으로써 입학자격과 학생 선발에 있어 기독교인만으로 제한한 것은 제한적 개방성, 선택적 적응력이라고 할 수 있다. 또 복음전파의 목표를 위한 실력있는 인재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것에서 조건적 적응력의 특징이 나타나고, 선교지역 분할 협정에 의한 장로교와 감리교의 연합으로 학교를 운영한 것에서는 선택적 개방성이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반면 연희전문학교의 개방성과 적응력은 ‘대중적, 보편적, 포용적’이라는 특징을 갖는다. 대표적으로 동서고근(東西古近)의 사상적 절충은 확대된 개방성이, 재한 선교사들의 참여로 이루어진 초교파적 학교 운영에서는 포용적 개방성이 발견되다. 입학자격과 학생 선발에서 비기독교인에게도 기회를 열어주며, 폭넓은 학문적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해 종교와 사상을 가리지 않고 한국인 교수를 채용함으로써 보편적이고 대중적이며 포용적인 개방성을 보여준다. 또 문과교육을 통한 교양교육과 민족운동의 연계, 지덕체를 융합한 문화 활동에서도 보편적, 대중적 적응력의 특징을 찾을 수 있다. 한편 연희전문학교의 설립인가 절차 과정에서 보여준 총독부 일본인들의 능력과 도움을 활용한 협력과 학교운영비 마련을 위해 후원자들과의 연대하는 모습에서 또한 적응력을 발견할 수 있다. 개방성 측면에서는 숭실전문학교보다 연희전문학교가 더 개방적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실제로 개방성의 사례를 놓고 보면 두 학교의 개방성은 별 차이가 없어 보인다. 그러나 역사적 연속성의 관점에서 볼 때, 연희전문학교의 후신인 현 연세대학교의 모습은 당시 연희전문학교의 개방성이 더욱 두드러진 결과라고 볼 수 있다. 그것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숭실대학교는 기독교학교라는 인식을 가지는 반면, 연세대학교는 기독교학교라는 인식보다는 일반 종합대학이라는 인식이 더욱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적응력 측면에서는 숭실전문학교가 연희전문학교보다 더 두드러지는 측면이 있다. 실제적 사례에서도 차이를 보이지만, 이것 역시 역사적 연속성의 관점으로 볼 때, 현 숭실대학교의 대학원 학과 개설에서 과거와 현재를 이음과 동시에 현대적 상황을 반영하고 적응해 가는 모습으로 두각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더욱 중요한 것은 개방성과 적응력에서 어느 학교가 더 우월했는가의 평가보다는 한국 근대 고등교육 미션스쿨 전문학교의 교육 활동에서 개방성과 적응력이 발현된 교육의 실례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교육 활동은 교육을 수행하려는 사람의 신념과 의지와 희망이 어우러지는 교육 현장이기 때문에 학교 설립·운영자에 대한 심도있는 고찰이 필요하다. 이는 다면적이고 입체적인 인간의 다양한 측면을 보지 못하고 전체 또는 집합체로 보이는 특징에만 집중하는 습속인 우리들의 단선적 관점을 환기시켜 새로운 시각에서 바라볼 수 있도록 하기 때문이다. 미션스쿨 숭실전문학교와 연희전문학교의 개방성과 적응력의 실례들을 확인함으로써 일방적인 동화주의적 교육 활동으로 평가받는 한국 근대 고등교육기관 미션스쿨에 대한 인식에 반론을 제기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대학교육을 표방한 숭실전문학교와 연희전문학교의 교육은 한국적 풍토에 적합하도록 재조정되었고, 한국인에 의한 한국인을 위한 교육이 가능한 교육 시스템을 구축하려는 움직임 역시 있었음을 발굴하여 밝히고자 하였다. 더불어 한국 근대 고등교육 미션스쿨 두 학교는 당시의 경성제국대학이나 관립전문학교와는 확연히 다른 교육의 면모를 보인다는 점에서 그 독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한국과 한국인들에 대한 열린 태도와 한국적 상황을 고려하고 적용한 현실적이고 실제적인 교육적 활동을 통해 개방성과 적응력을 보다 잘 실현하고 있었다. 이는 근대 한국에 다양한 국적과 세력을 가진 주체들 간의 한국과 한국인에 대한 인식의 차별성을 보여주는 동시에 한국 근대 고등교육 미션스쿨에 대한 새로운 또 하나의 시각을 제공하는 연구라는 점에서 첫 번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두 번째 의의는 첫 번째 의의에 대한 증명을 위해 개방성과 적응력을 새로운 대안적 관점으로 제시함과 동시에 이의 포괄적 적용 범위에 대한 가능성을 확대했다는 점이다. 지금까지 본 논문의 연구 과정은 한국 근대 고등교육 미션스쿨의 교육적 활동에 대한 기존의 이데올로기적 관점에 대해 개방성과 적응력을 새로운 대안적 관점으로 제시하고 그에 대한 역사적 실례를 발견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당시 근대 한국에서 활동한 재한 선교사들에 의해 설립·운영된 미션스쿨의 교육적 활동이 개방성과 적응력의 측면에서 한국인들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교육이었음을 확인하는 계기를 마련한 것이다. 궁극적으로 한국 근대 고등교육 미션스쿨의 교육적 활동에는 상호소통적이고 상호의존적이며 존중과 배려를 토대로 이루어진 교육적 시도와 도전이 실재했음을 밝히는 작업이었다. 한국 근대 고등교육 미션스쿨의 개방성과 적응력을 고찰하는 일련의 과정들을 통하여 근대 미션스쿨들에 관한 융복합적 학문 분야에서의 더 다양하고 새로운 관점들을 제시하는 계기가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ETC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