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7 Download: 0

실외놀이에서 유아의 또래갈등 원인과 해결전략, 이후의 놀이변화

Title
실외놀이에서 유아의 또래갈등 원인과 해결전략, 이후의 놀이변화
Other Titles
Causes of peer conflict, conflict-solving strategies, and subsequent play changes among early children in outdoor play
Authors
이지선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엄정애
Abstract
본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만 5세 유아들의 실외놀이에서 발생하는 또래갈등의 원인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유아들이 사용하는 갈등해결전략과 이후의 놀이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라 선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들의 실외놀이에서 발생하는 또래갈등의 원인은 무엇인가? 2. 유아들이 실외놀이에서 사용하는 또래갈등 해결전략은 무엇인가? 3. 유아들의 실외놀이에서 또래갈등 해결전략 이후의 놀이변화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강원도 원주시에 소재한 다은유치원의 실외놀이터를 연구장소로, 연구대상은 만 5세 정운반의 교사 1명과 유아 18명이었다. 연구자료는 2021년 8월 30일에서 10월 1일까지 5주간 총 21회의 참여관찰과 교사와의 형식적·비형식적 면담, 유아와의 비형식적 면담, 문서수집, 오디오 녹음, 비디오 촬영 등을 통해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Graue와 Walsh(2014/1998)의 방법에 따라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들의 실외놀이에서의 또래갈등 원인에 대한 연구결과는 한정된 자원의 소유권으로 인해 발생하는 물리적 원인과 또래 간의 사회적 관계에서 발생하는 관계적 원인으로 범주화되었다. 물리적 원인으로는 놀이구성물의 훼손, 한정된 놀잇감 소유권, 고정놀이기구 선점권이 있었고, 관계적 원인으로는 놀이참여 거부, 친구 독점욕구, 역할 다툼, 놀이규칙 위반, 지식과 경험에 대한 의견충돌, 상대가 원하지 않는 장난, 신체적 접촉 등이 있었다. 둘째, 유아들이 실외놀이에서 발생한 또래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한 갈등해결전략을 분석한 결과는 일방향적인 해결전략, 상호적인 해결전략, 제 3자 개입전략, 갈등 무마전략의 4가지로 범주화되었다. 일방향적인 해결전략에는 유아 자신의 힘을 행사하기와 교사 권력을 이용하기가 있었고 상호적인 해결전략에는 설명하기, 대안제시하기, 협상하기의 해결전략이 있었다. 또한 제 3자 개입전략에는 놀이에 참여하지 않는 유아가 중재하는 해결전략과 교사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해결전략이 있었고, 갈등 무마전략에는 유머로 넘기기, 양보하기, 즉각적으로 사과하기, 자리 떠나기의 해결전략이 있었다. 셋째, 유아들의 갈등해결전략 사용 후 놀이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놀이 확장과 놀이틀로 복귀, 놀이 소멸의 3범주로 분류되었다. 유아들의 갈등이 본질적으로 해결되었을 때는 놀이대본이 풍부해지고 놀이가 새로운 양상으로 발전하여 놀이가 확장되는 모습이었다. 반면에 갈등이 해결되지 않았을 때는 유아들이 자리를 이탈하고 놀이가 중단되며 놀이가 소멸되었다. 또한 완전한 갈등해결을 이루어 낸 후에는 다시 이전의 놀이틀로 복귀하였으나, 불완전한 갈등해결은 놀이틀로 복귀하여 상대에게 자신의 부정적인 감정을 표출하였다. 이같은 상황은 갈등이 해결된 것처럼 보여도 갈등이 피상적으로 해결되었기 때문에 감정이 해소되지 않아 이후 재갈등으로 발전하였다. 이처럼 실외놀이에서의 또래갈등은 그 원인과 갈등해결전략, 이후의 놀이변화 간에 상호관련성이 있었다. 지금까지 다양한 연구들이 실내놀이에서 유아들의 또래갈등의 구조에 집중하여 갈등의 원인과 해결방법에 따른 유아의 행동적 특성들을 제시한 반면에 본 연구에서는‘실외놀이’라는 공간에서 발생한 또래갈등을 갈등의 원인과 해결전략, 이후의 놀이변화에 이르는 전 과정을 총체적으로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실외놀이에서의 또래갈등 연구에 대한 스펙트럼을 넓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래갈등의 시작과 전개, 종결과 이후 상황에 이르기까지의 전 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를 도모하고, 교사의 개입과 역할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This study investigated the causes of peer conflicts that occur in outdoor play aged 5 years old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analyzed the conflict-solving strategies used by early children to resolve them and the subsequent changes in play. The research questions selected according to the research purpose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cause of peer conflict that occurs in early children's outdoor play? 2. What is the conflict-solving strategy used by early children to resolve peer conflicts in early children's outdoor play? 3. What is the change in play after using conflict-solving strategy in early children's outdoor play?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n outdoor playground of Daeun Kindergarten located in Wonju, Gangwon-do, an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one teacher and 18 early children in Jeong-un class aged 5 years old.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21 times over five weeks from August 30th to October 1th, 2021,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 formal and informal interviews with teachers, informal interviews with early children, document collection, audio recording, and video shooting. The collected data were categoriz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Graue and Walsh(2014/1998).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causes of peer conflict in early children's outdoor play were categorized into the physical cause caused by ownership of limited resources and the relational cause between peers. Physical causes included damage to play components, ownership of limited toys, and preoccupation of play equipments. The relational causes included refusal to join in play, desire to monopolize friends, role disputes, violation of play rules, conflict of opinion on knowledge and experience, unwanted mischief and physical contact. Seco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onflict-solving strategies used by early children to resolve peer conflicts that occurred in outdoor play were categorized into four categories: one-way resolution strategies, mutual resolution strategies, third person intervention strategies, and conflict relief strategies. One-way resolution strategies included exercising early children's own power and using teacher power, and mutual resolution strategies included explaining, suggesting alternatives, and negotiating solutions. In addition, third person intervention strategies included resolution strategies mediated by early children who did not participate in play and resolution strategies for asking teachers for help, and conflict relief strategies included using such as humor, making concessions, apologizing immediately, and leaving. Thir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hange in play after using the conflict-solving strategy of early children were categorized into three categories: play expansion, return to the play frame, and play disappearance. When the early children's conflict was essentially resolved, the play script became abundant and the play developed into a new aspect, and the play expand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flict was not resolved, the early children left their seats, the play was stopped, and the play disappeared. In addition, after complete conflict resolution was achieved, they returned to the previous play frame, but after incomplete conflict resolution, they returned to the play frame and expressed their negative feelings. This situation seems to have been resolved, but because the conflict was resolved superficially, it later developed into a re-conflict. So far, various studies have focused on the structure of early children's peer conflict in indoor play and suggested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ren according to the causes of peer conflict and conflict-solving strategies. On the other hand, in this study, the peer conflict that occurred in a space called 'outdoor play' was presented by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causes of peer conflict, conflict-solving strategies, and subsequent play changes. This research results not only broaden the spectrum of peer conflict research in outdoor play, but also provide teachers understand the entire process from the beginning and development of peer conflict to the end and subsequent situation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able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rethink teacher intervention and rol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