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42 Download: 0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5세 학급 유아교사의 인식

Title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5세 학급 유아교사의 인식
Other Titles
A Study on the 5-year-old class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uthors
김지원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혜욱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overall perception trends and variables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constructional format of 5-year-old class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understand the perception of continuity betwee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constructional format and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constructional format. In this regard,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perception of 5-year-old class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regards to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constructional format(characteristic, composition direction, operation)? 1-1. What is the general percep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constructional format(characteristic, composition direction, oper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andling the 5-year-old class? 1-2.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characteristic, composition direction, oper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depending on their background variables (teaching experience, education level, major, type of institution)? 2. What is the perception of 5-year-old class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regards to the continuity betwee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he 2015 revised elementary curriculum? 2-1. What is the perception of 5-year-old class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regards to the continuity betwee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constructional format(characteristic, composition direction, operation) and the 2015 revised elementary curriculum constructional format(characteristic, composition direction, organization·operation)? 2-2. What is the actual state of the continuity betwee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259 5-year-old class teachers employed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loc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eoul, Gyeonggi, and Incheon). To measure the state of the percep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he continuity betwee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 teacher questionnaire formulated was used as a research tool based on previous studies. For data analysis, average, standard deviation,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and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After conducting one-way ANOVA, Scheffé posterior test was performed when meaningful differences were found to identify which group had differenc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perception of the revised Nuri curriculum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generally high. Looking at the sub-contents of the revised Nuri curriculum constructional format, teachers' perception was high in the order of the characteristic of the revised Nuri curriculum, the operation, and the composition direction.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eaching experience, education level, major, and type of institution. For teaching experience, the overall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he sub-contents were perceived more highly by those who worked more than six years than those who worked less than three years. For education level, teachers who attended graduate schools or possessed advanced degrees showed a higher perception of overall understanding and the sub-contents, specifically on composition direction and operation, than than the rest of the teachers’ group. And perception of the characteristic of the revised Nuri course was higher for teachers above graduate schools or possessed advanced degrees than than those who graduated from junior colleges or below. For major, those who major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Development demonstrated a higher level of perception than those who majored in Childcare. For institution type, kindergarten teachers had a higher perception of the composition direction and operation than daycare center teachers. Third, perception of the continuity betwee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was high among kindergarten teachers. For the sub-contents, the perception of continuity was high in the order of following: composition direction, characteristic, and operation. Fourth, by analyzing the percep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on the actual state of curriculum continuity, many teachers recognized that curriculum continuity was being conducted. As for the curriculum continuity method, the curriculum was linked by reflecting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connecting the curriculum with the contents of the first-grad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or textbooks, and linking the classroom environment. As for examining the support contents and hindrances, the support content includes commentary, the strengthened document content, and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about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were claimed to be helpful. Difficulties in linking the curriculum include excessive administrative and operation work, differences in educational environment, teaching methods, daily routine, and lack of contents on curriculum linkage provided in the revised Nuri curriculum commentary and teacher support materials were recognized to be the challenges when connecting the curriculums. Based on the above results, among the sub-contents of the revised Nuri curriculum constructional format, a plan to raise teachers' perception of the revised Nuri curriculum should be prepared, an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background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addition, it suggests that efforts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continuity between curriculums are needed, and various measures should be prepared to support early childhood teachers' curriculum continuity.;본 연구는 5세 학급 유아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구성 체제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경향 및 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2019 개정 누리과정 구성 체제와 2015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 구성 체제 간 연계에 대한 인식과 교육과정 연계 실태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2019 개정 누리과정 구성 체제(성격, 구성방향, 운영)에 대한 5세 학급 유아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1-1. 5세 학급 유아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구성 체제(성격, 구성방향, 운영)에 대한 전반적 인식은 어떠한가? 1-2. 5세 학급 유아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구성 체제(성격, 구성방향, 운영)에 대한 인식은 유아교사의 변인(교직경력, 교육정도, 전공, 기관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2019 개정 누리과정과 2015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 간의 연계에 대한 5세 학급 유아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2-1. 2019 개정 누리과정 구성 체제(성격, 구성방향, 운영)와 2015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 구성 체제(성격, 구성의 방향, 편성·운영) 간의 연계에 대한 5세 학급 유아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2-2. 2019 개정 누리과정과 2015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 간의 연계 실태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5세 학급 담임교사 25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과 2019 개정 누리과정과 2015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 간 연계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관련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자가 구성한 교사용 설문지를 연구도구로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t검정과 일원분산분석(ANOVA)를 실시하였다.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한 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 Scheffé 사후검증을 실시하여 어느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개정 누리과정 구성 체제의 하위내용으로 살펴보면, 개정 누리과정의 성격, 개정 누리과정의 운영, 개정 누리과정의 구성방향 순으로 교사의 인식이 높았다. 둘째, 변인별 차이를 살펴보면 유아교사의 경력, 교육정도, 전공, 기관 유형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경력에서는 3년 미만의 교사보다 6년 이상의 교사가 개정 누리과정 전체 및 구성 체제 하위내용 모두에서 높은 인식을 보였다. 교육정도에서는 대학원 재학 이상의 교사가 전문대 졸업 이하 및 4년제 대학 졸업 교사보다 개정 누리과정 전체 및 구성 체제 하위내용 중 구성방향, 운영에서 높은 인식을 보였으며, 개정 누리과정의 성격에 대한 인식은 대학원 재학 이상의 교사가 전문대 졸업 이하 교사보다 높게 나타났다. 전공에서는 개정 누리과정 전체 및 구성 체제 하위내용 모두에서 유아교육학 및 아동학을 전공한 교사가 보육학을 전공한 교사보다 높은 인식을 나타냈으며, 기관유형에서는 개정 누리과정 전체 및 구성 체제 하위내용 중 개정 누리과정의 구성방향, 운영에서 어린이집 교사보다 유치원 교사의 인식이 높았다. 셋째, 2019 개정 누리과정과 2015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 구성 체제 간 연계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은 전반적으로 높은 편이었으며, 개정 누리과정 구성 체제의 하위내용으로 살펴보면, 개정 누리과정의 구성방향, 개정 누리과정의 성격, 개정 누리과정의 운영 순으로 교육과정 연계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이 높았다. 넷째, 유아교사의 교육과정 연계 실태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많은 교사들이 교육과정 연계를 실시하고 있다고 인식했다. 교육과정 연계 방법으로는 교육과정 계획 시 초등학교 교육과정 반영, 초등학교 1학년 교육내용 또는 교과서의 내용을 참고한 교육내용 연계, 교실 환경 연계 등을 통해 교육과정을 연계하고 있었다. 교육과정 연계의 지원내용과 저해요인을 살펴본 결과, 지원내용으로는 개정 누리과정의 해설서 및 교사지원자료에 제공된 교육과정 연계에 대한 내용, 개정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교육과정 간 강화된 문서상의 연계,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현직교사 연수가 도움이 된다고 하였으며, 저해요인으로는 교육과정 운영 및 행정 등의 과도한 업무, 교육환경, 교수방법, 일과운영 등의 차이 및 개정 누리과정의 해설서 및 교사지원자료에 제공된 교육과정 연계에 대한 내용 부족이 교육과정 연계에 어려움이 된다고 인식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개정 누리과정 구성 체제의 하위내용 중 개정 누리과정의 구성방향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교육과정 간 연계에 대한 유아교사의 이해를 제고하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함과 동시에 유아교사의 교육과정 연계를 지원하는 다양한 방안이 마련되어야함을 시사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