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0 Download: 0

중국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SNS 중독경향성 간의 관계에서 정서인식 명확성과 자기개념 명확성의 매개효과

Title
중국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SNS 중독경향성 간의 관계에서 정서인식 명확성과 자기개념 명확성의 매개효과
Other Titles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Clarity and Self-Concept Clar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SNS Addiction Proneness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Authors
Zhang, Jingran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인수
Abstract
현대 사회에서 SNS는 대인관계, 상호작용, 정보공유 등 다양한 활동들의 중 요한 소통매체가 되고 있다. 또한 2020년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인해 대면소통 방식이 인터넷의 SNS를 통해 확산되어 가고 있다. 이제 SNS는 사람들 간의 관계를 맺고 소통하는데 필수불가결한 매체라고 볼 수 있다. SNS를 주로 사용 하고 있는 대학생들은 성인기에 접어들면서 사회적 관계의 패턴에서 급격한 변화를 경험하게 된다. 부모의 통제 속에 있던 개인들이 갑작스럽게 자율적으 로 시간을 관리하다 보니 통제력을 잃고 SNS를 과도하게 사용하는 경향을 보 인다. 이와 같이 SNS를 과도하게 사용하다 보면 신체적, 심리적까지 문제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SNS 중독경향성을 줄이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가 증가 하고 있다. 한편, 성인애착은 어린 시절 양육자와의 관계에서 형성된 애착으로 넓은 의 미에서 성인기를 포함한 지인들과의 정서적 유대 관계까지를 포함하고 있다. 안정적 애착관계를 형성하지 못한 사람은 삶에서 경험하는 부정적 정서나 대 인관계 문제를 완화할만한 내적 자원이 결여되어 있기 때문에 스스로 안정되 지 못해 외부의 자극으로 그 대체를 찾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들은 자신의 긍정적인 측면을 외부로부터 확인받으려는 욕구를 SNS 활동으로 충족시키려 는 경향이 있다. 이처럼 앞서 언급한 SNS 중독경향성은 성인애착과 유의미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성인애착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의 관계가 정서인 식 명확성과 자기개념 명확성에 의해 매개될 것으로 가정하였다. 왜냐하면 안 정적인 애착을 형성하지 못한 사람은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파악하기 어렵고 부정적인 정서를 보다 쉽게 수용하여 자신감이 낮고 자신에 대한 불확실성이 있기 때문에 이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SNS에 더 몰입하게 되는 경향 이 있기 때문이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성인애착과 SNS 중독경향성에 관한 선 행연구들을 토대로 중국 대학생의 성인애착(애착불안, 애착회피)과 SNS 중독경 향성, 정서인식 명확성, 자기개념 명확성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성인애착(애착불안, 애착회피)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정서인식 명확성, 자기개 념 명확성의 매개효과를 경로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중국 베이징 시 소재의 3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358명을 대상으로 성인애착 척도, 정서인식 명확성 척도, 자기개념 명확성 척도, SNS 중독경향성 척도를 사용하 여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지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SPSS 23.0과 AMO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애착(애착불안, 애착회피), SNS 중독경향성, 정서인식 명확성, 자 기개념 명확성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인애 착(애착불안, 애착회피)은 정서인식 명확성 및 자기개념 명확성과 부적 상관관 계를, 정서인식 명확성 및 자기개념 명확성은 SNS 중독경향성과 부적 상관관 계를, 성인애착(애착불안, 애착회피)은 SNS 중독경향성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 타내었다. 또한 애착불안은 SNS 중독경향성과 정적 상관이 있는 반면 애착회 피는 SNS 중독경향성과 상관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성인애착과 SNS중독경향성 간의 관계에서 정서인식 명확성은 애착불 안의 경우 부분매개가 나타났고 애착회피의 경우 완전매개가 나타났다. 이는 애착불안은 SNS 중독경향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정서인식 명 확성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미친 반면, 애착회피는 SNS 중독경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고 정서인식 명확성을 완전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만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정서인식 명확성은 애착회피와 SNS 중독경향 성과의 관련성을 설명할 수 있는 강력한 매개변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인애착과 SNS 중독경향성간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확성은 애착불 안의 경우 부분매개가 나타났고 애착회피의 경우 매개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이는 애착불안은 SNS 중독경향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자기개념 명확성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 반면, 애착회피에서 자기 개념 명확성으로 가는 경로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교육상담 분야에 제공하는 의의 및 후속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성인애착(애착불안, 애착회피)과 SNS 중독경향성 간의 관계에서 성인애착이 정서인식 명확성 및 자기개념 명확성을 거쳐 SNS 중독경향성으로 가는 경로를 확인한 점에서 의 의를 지닌다. 특히 성인애착을 애착불안과 애착회피 두 차원으로 나누어 애착 회피와 자기개념 명확성의 관계를 다루었다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와 차별성을 지닌다. 또한 대학생의 정서인식 명확성과 자기개념 명확성의 중요성을 교육 적 관점에서 접근해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불안정 성인애 착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학생을 위해 정서인식 명확성 및 자기개념 명확성을 향상시키는 상담프로그램과 SNS 중독경향성을 줄이기 위한 개입과 예방의 중요한 실증적 근거를 제시하였다.;In contemporary society, social network service is progressing into an important communication media of various activities such as personal relationships, mutual interaction, and information sharing. Especially, in line with the spread of the COVID-19 virus in 2020, the face-to-face interactive method is spreading through social network service online. Social network service is now an essential medium for people to build relationships and interact. University students, the main users of social network service, experience rapid changes in the pattern of social relationships after they enter adulthood. Individuals, who used to be under the control of their parents, suddenly manage their time on their own, so they show a tendency of losing control and use social network service inordinately. Likewise, the excessive use of social network service could cause physical and psychological problems, and there is an increase of research about factors that reduce SNS addiction proneness. In the meantime, adult attachment is developed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the rearer during childhood. In a broad sense, it includes the emotional bonding with acquaintance comprising adulthood. Individuals that do not form stable attachment relationships lack internal resources to relieve negative emotions or relationship problems that they experience in life, so there is a tendency for them to search for alternatives through external stimulus because they are unstable. Therefore, they have a desire to identify their positive aspects externally and tend to gain satisfaction through social network service activities. Likewise, the SNS addiction proneness, as mentioned earlier, has a meaningful relationship with adult attachment. In this study, it was assumed that the relationship of the influence caused by adult attachment on SNS addiction proneness will be mediated through emotional clarity and self-concept clarity. It is because people who cannot develop a stable attachment have a hard time comprehending their own emotions and also others' emotions, and they easily accept negative emotions and confront uncertainty about themselves, so they tend to become more immersed in social network service that can satisfy their desires. To this end, this study based on precedent research about adult attachment and SNS addiction proneness to investigate the connection between adult attachment (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SNS addiction proneness, emotional clarity, and self-concept clarity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Moreov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and SNS addiction proneness,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clarity and self-concept clarity was verified through path analysis. To achieve this goal, 358 university students enrolled in 3 universities in Beijing, China were targeted and the Experience in Close Relationship Scale- Revised, Trait Meta-Mood Scale, Self-Concept Clarity Scale, and SNS Addiction Pronen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 were used to conduct the inspection. SPSS 23.0 and AMOS 22.0 programs were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nd the following is the summary of the research findings. First,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adult attachment (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SNS addiction proneness, emotional clarity, and self-concept clarity. The result showed that adult attachment (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show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clarity and self-concept clarity, emotional clarity and self-concept clarity show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NS addiction proneness, and adult attachment (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show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NS addiction proneness. Additionally, attachment anxiety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NS addiction proneness while attachment avoidance is not related to SNS addiction proneness.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SNS addiction proneness, emotional clarity showed partial mediation in attachment anxiety and complete mediation in attachment avoidance. This revealed that attachment anxiety directly influenced SNS addiction proneness and indirectly influenced through emotional clarity, but attachment avoidance did not directly influence SNS addiction proneness and based on emotional clarity as complete mediation to only caused an indirect influence. Accordingly, emotional clarity was identified as a powerful mediator variable that can explain the relativity between attachment avoidance and SNS addiction proneness.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SNS addiction proneness, the self-concept clarity showed partial mediation in attachment anxiety but did not mediate for attachment avoidance. This verified that attachment anxiety directly influences SNS addiction proneness and at the same time, causes a negative influence through self-concept clarity. However, the path from attachment avoidance to self-concept clarity was not meaningful.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e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results to the field of educational counseling and the implication for follow-up research was suggested. This study was significant because it confirmed the path of how adult attachment progresses into SNS addiction proneness through emotional clarity and self-concept clar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and SNS addiction proneness. In particular, this study stands out from previous research as it classified adult attachment into two aspects like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and discu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voidance and self-concept clarity. Moreover, this study was significant because it approached the importance of emotional clarity and self-concept clarity in university students from an emotional standpoint. This study intended to assist university students struggling with unstable adult attachment by offering a counseling program to enhance emotional clarity and self-concept clarity and vital empirical evidence that intervenes and prevents to reduce SNS addiction pronene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