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6 Download: 0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학교 미술치료 현장실습을 통한 반응작업 경험에 대한 자문화 기술지

Title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학교 미술치료 현장실습을 통한 반응작업 경험에 대한 자문화 기술지
Other Titles
An Autoethnography on Response Art Experience of a Graduate Student Majoring in Art Therapy about School Art Therapy Field Training
Authors
정주연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경아
Abstract
본 연구는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학교 미술치료 현장실습에 관한 반응작업을 통해 치료사로서 자신의 역할을 성찰하는 경험의 의미를 탐구하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에서 보조치료사와 주 치료사의 역할로 미술치료 현장실습을 경험한 연구자의 반응작업을 자문화 기술지의 연구방법을 통해 분석하고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미술치료 현장실습을 경험한 석사과정생의 반응작업이 지닌 의미와 본질을 이해하는 데 있다. 이를 토대로 학교 미술치료 현장실습을 준비하는 실습생들에게 실습현장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또한 석사과정생의 반응작업 경험과 자기 이해에 대한 자문화 기술지를 통해 미술치료 분야에서 자문화 기술지의 활용 가능성을 넓힐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학교 미술치료 현장실습에 대한 반응작업 경험은 어떠하며, 그 경험의 의미와 본질은 무엇인가?”이다. 본 연구에서는 S시 소재 초등학교에서 2020년 8월에 보조치료사로서 참여한 10회기의 현장실습과 2021년 9월부터 10월까지 주 치료사로서 진행한 10회기의 현장실습을 중심으로 연구자의 반응작업 경험을 서술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학교 미술치료 현장실습 사례에 대한 현장실습 일지, 반응작업, 반응작업 저널, 학교 관계자와의 대화 자료, 연구자의 일기 및 성찰 메모 자료 등이다. 연구의 1차 자료 수집은 2020년 7월부터 8월까지 2개월 동안 진행되었으며, 2차 자료 수집은 2021년 7월부터 11월까지 5개월에 걸쳐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자료 수집, 분석 및 해석, 글쓰기, 타당도 작업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가치코딩과 종단적 코딩의 방법에 따라 서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학교 미술치료 현장실습에 관한 반응작업 경험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미술치료 현장실습의 반응작업은 임상현장 안에서 보조치료사와 주 치료사로서의 나의 역할 경험을 탐색하고 통합적으로 성찰하는 과정이 되었다. 둘째, 학교 미술치료 현장실습의 반응작업을 통해 치료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관계에서 나를 인식하게 되었다. 셋째, 학교 미술치료 현장실습의 반응작업은 내담자들이 회기에서 몰입한 미술 매체의 특성을 이해하고, 내담자들의 경험을 치료사가 감각적으로 공감할 수 있도록 하였다. 넷째, 학교 미술치료 현장실습 안에서 실행한 반응작업이 미술치료 관계에 작용하는 영향을 이해하게 되었다. 다섯째, 학교 미술치료 현장실습의 반응작업은 회기 종결과 이별에 관한 석사과정생의 감정을 안전하게 마주할 수 있도록 하였다. 위와 같은 본 연구의 결론이 기여 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학교 미술치료 현장실습에 대한 반응작업을 중심으로 탐구하는 자문화 기술지로, 석사과정생의 자기 인식과 성장 경험을 제공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학교 미술치료 현장실습에서 보조치료사와 주 치료사의 역할을 경험한 석사과정생의 반응작업에 대한 체험적 자료를 바탕으로 학교 미술치료에 대한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들의 이해를 돕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meaning of experience by reflecting one's role as a therapist through response art on school art therapy field training by a graduate student majoring in art therapy. To this end, the response art of the researcher, who has experienced art therapy field training as an assistant therapist and main therapist at an elementary school, was analyzed and described using the autoethnography research meth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 graduate student's response art that has experienced art therapy field training in a school. Based on such findings, this research aims to enhance the field understanding of the trainees preparing for the school art therapy field training. Furthermore, through the experience of graduate student's response art and self-understanding portrayed in autoethnography, this research will provide basic data to expand the possibilities of auto-ethnography in the field of art therapy. The research question of this study is, "How is the response art experience to school art therapy field training of a graduate student majoring in art therapy, and what are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 experience?” Based on 10 sessions of field training as an assistant therapist in August 2020 and 10 sessions of field training as a main therapist from September to October 2021 at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 city, this research describes the response art experience of the researcher. The data used in this study include field training journal, response art, response art journal, conversation record with school officials, the researcher's diary, reflection memo, and others on the case of school art therapy field training. The first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or two months, from July to August 2020. The second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or five months, from July to November 2021. This study was formed through data collec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writing, and validity work, and was described according to value coding and longitudinal coding methods. Based on the above, the conclusions to response art experience on school art therapy field training by a graduate student majoring in art therapy are as follows: First, response art on school art therapy field training provided a process for me to explore and have an integral reflection on my role as an assistant therapist and the main therapist within a clinical setting. Second, I came to recognize myself in various relationships formed in the course of treatment through response art in school art therapy field training. Third, response art on school art therapy field training allowed the client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t media that they were into during the session and led the therapist to sensibly sympathize with the clients' experiences. Forth, the effects of response art, conducted in a school art therapy field training setting, on the relationship with art therapy were understood. Fifth, the response art on school art therapy field training allowed the graduate student to safely face the emotions arising at the end of sessions and during partings.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according to the conclusions provided above is as follows: This research is an autoethnography that explores with a focus on the response art of a graduate student majoring in art therapy on school art therapy field training.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on the provision of experiences on building self-awareness and development. Furthermore,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to help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to gain an understanding of the school art therapy based on the experimental data on response art by a graduate student who has experienced being an assistant therapist and main therapist at school art therapy field train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