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3 Download: 0

아동기외상이 정서인식명확성에 미치는 영향

Title
아동기외상이 정서인식명확성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Childhood Trauma on Emotional Clarity :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Experiential Avoidance and Differentiation of Self
Authors
조계현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남지은
Abstract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고 평가하는 능력인 정서인식명확성은 대인관계나 개인의 심리적 적응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서 여러 연구에서 그 긍정적인 효과가 반복 검증되고 있다. 그러나 정서인식명확성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정서인식명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아동기외상 경험에 주목하여 두 변인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불편한 내적 경험을 회피하려는 경향인 경험회피와 태어난 가족으로부터 개체화된 정도를 나타내는 자기분화가 기제 변인으로 작용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만 18세 이상의 성인 남녀 276명의 설문자료를 SPSS 28.0과 SPSS PROCESS macro(Hayes, 2021)를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기외상, 정서인식명확성, 경험회피, 자기분화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는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아동기외상과 정서인식명확성의 관계와 경험회피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아동기외상은 정서인식명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험회피가 아동기외상과 정서인식명확성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였다. 셋째, 아동기외상과 정서인식명확성의 관계에서 자기분화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동기외상과 정서인식명확성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와 자기분화의 순차적 이중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경험회피를 매개한 경로와 자기분화를 매개한 경로, 경험회피와 자기분화를 순차적으로 매개한 경로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동기외상의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아동기외상 경험은 낮은 수준의 정서인식명확성과 관계가 있으나 이를 직접적으로 예측하지 않았다. 아동기외상 경험은 직접적으로 경험회피 경향성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정서인식명확성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호를 받아야 하는 주 양육자로부터 오히려 학대나 방임의 외상을 경험하였을 때, 불편한 내적 경험에 대한 회피 경향성이 높아지고, 이는 자신의 내적인 상태를 자각하여 감정을 인식하고 평가하는 정서인식명확성을 직접적으로 낮출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아동기외상 경험은 자기분화 수준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정서인식명확성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기외상 경험이 독립된 개체로서 진정한 자기의 모습으로 살아가는 정서적 균형능력인 자기분화의 발달을 저해함으로써 정서인식명확성을 낮춘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때, 자기분화는 아동기외상으로부터 직접적인 영향을 받으면서 동시에 경험회피를 통한 간접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기에 부적절한 양육환경이 직접적으로 자기분화 발달을 저해하면서도, 내적 경험을 피하고자 하는 경향성을 높여 자신의 생각과 감정에 접촉을 방해함으로써 이성과 감성을 구분하고 통합하는 능력과 자신과 타인을 분리할 수 있는 능력의 발달을 저해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정서인식명확성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기제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정서인식명확성에 영향을 미치는 원거리 예측 변인으로서 아동기외상의 영향력을 확인하였으며, 그 과정에 존재하는 기제 변인으로서 경험회피와 자기분화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기외상 경험이 있는 내담자가 낮은 정서인식명확성에서 기인한 정서조절문제, 대인관계문제 등의 부적응을 겪을 때, 경험회피와 자기분화에 초점을 둠으로써 상담장면에서 효과적인 개입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Emotion clarity, the ability to recognize and evaluate one's emotions, is a variable that has an important effec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personal psychological adaptation, and its positive effect has been repeatedly verified in several studies. However, studies on the influencing factors affecting emotional clarity are lacking. This study focused on childhood trauma experience as a factor affecting emotional clarity. In addition, it was attempted to check whether experience avoidance, which is a tendency to avoid uncomfortable internal experiences, and differentiation of self, which indicates the degree of individualization from the family, act as mechanism variables. For this purpose, the questionnaire data of 276 adult males and females over the age of 18 nationwide were verified using SPSS 28.0 and SPSS PROCESS macro (Hayes, 2021).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of childhood trauma, emotional clarity, experience avoidance, and differentiation of self were all significant.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trauma and emotional clarity and the mediating effect of experience avoidance, it was found that childhood trauma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motional clarity, and experience avoidance completely has perfect mediating effect on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trauma and emotional clarity. Third, differentiation of self was complete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trauma and emotional clarity.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equential double mediating effect of experience avoidance and differentiation of self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trauma and emotional clarity, the pathway mediated by experience avoidance, the pathway mediated by differentiation of self, and the pathway mediated by experience avoidance and differentiation of self sequentially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and the direct effect of childhood trauma was confirmed to be insignificant.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e study, childhood trauma experience was related to a low level of emotional clarity, but it was not directly predicted. It was found that childhood trauma experiences directly affect the tendency to avoid experiences, thereby lowering emotional clarity. When experiencing trauma of abuse or neglect from the primary caregiver, the tendency to avoid uncomfortable inner experiences increases, which directly lowers the emotional clarity, which is recognizing and evaluating emotions by being aware of one's inner stat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childhood trauma experience lowered emotional clarity by affecting the level of differentiation of self. It can be understood that childhood trauma experience lowers emotional clarity by inhibiting the development of differentiation of self, the emotional balance ability to live as an independent individual. At this time, it was found that differentiation of self was directly affected by childhood trauma and at the same time indirectly affected through experience avoidance. Inappropriate parenting environment in childhood directly impedes the development of differentiation of self, while indirectly impedes the ability to distinguish and integrate reason and emotion and the ability to separate oneself from others by increasing the tendency to avoid internal experiences and interfering with one's thoughts and emotions.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that affect emotional clarity. Through this study, the influence of childhood trauma was confirmed as a distant predictive variable affecting emotional clarity, and the effects of experience avoidance and differentiation of self were confirmed as mechanism variables in the proc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hen a client who are experiencing maladaptation such as emotional regulation problems and interpersonal problems caused by low emotional clarity due to childhood trauma experiences,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ies can be established by focusing on experience avoidance and differentiation of self.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