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8 Download: 0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미디어 액티비즘

Title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미디어 액티비즘
Other Titles
New Media Activism in the Digital Age : Focusing on 'Dotface' and Young Women Users
Authors
박혜령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동숙
Abstract
The sites of social movements and activism are reorganized with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universalization of mobile Internet use. Digital activism has been observed over the world, referred to as networked social movements and connective actions that are distinct from the traditional ones. Among digital users, young women skilled in online interaction and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recent feminism movements are expanding their agendas to broad issues. This study focused on the media startup 'Dot Face' and young women who use and sponsor it for social change.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how media and its users construct their networks for activism, raise social and political issues, and keep standing in solidarity. Internet ethnography and in-depth interviews are conducted to observe and analyze the sites of their activism. As a qualitative study that inductively finds research problems, the questions in this dissertation resulted in three main ones. First, How does media organize and lead activism? Second, Why do young women participate in activism through media? Third, How does media and users' digital activism differentiate itself from the existing ones? Young women users of Dotface sympathize with other social minority problems based on their own or surrounding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and share a sense that individual problem consciousness and participation could change society. The media organize an autonomous and open network with users and carry out activism to make agenda and solve problems by providing them with problem consciousness, digital action frames, and technical environments that cannot be obtained from mainstream media or conventional organizations of social movements. Users are in solidarity and practice online resistance by using and sharing its content and expanding social networks as members of media activism. The activism of this media organization is a complex of new media and social movements, and digital networks and the organization of social movements, showing the possibility of a new digital activism paradigm that can emerge with the interaction between the media company and individual activist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study has significance in the following aspects. First, this study regards the social movements, mainly studied by sociology theory, as a media-centered communication process. Second, attention was paid to the repertoire and the participation process of individual users, which were not carefully addressed in the digital social movement research. Finally, as a social movement subject and organization, the solidarity of a media company and individual users was highlighted. Through this work, the study proposes the possibility of a new type of digital media activism.;사회운동 및 액티비즘 현장은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인터넷 보편화를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다. 디지털 액티비즘은 네트워크화된 사회운동, 연결행동 등으로 일컬어지며 전 세계에서 관찰되어 왔다. 국내에서도 탄핵 촛불시위, 불법촬영 편파수사 규탄시위 등 디지털 기술과 소셜 미디어를 기반으로 한 대규모 운동들이 이어진 바 있다. 디지털 미디어 환경은 다양한 방식으로 사회정치적 목소리를 낼 수 있는 대안적 참여 공간으로 자리 잡았다. 그 가운데 청년 여성은 온라인 상호작용에 능숙한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이자 일상적 성차별에 대항하는 최근 여성운동의 중심에 위치하며, 액티비즘 주체로서 사회정치적 의제를 확장해가고 있다. 본 연구는 미디어 스타트업 닷페이스와 이를 이용하고 후원하며 사회변화를 위해 행동하는 청년 여성들에 주목했다. 연구의 주 목적은 이용자들이 어떻게 디지털 미디어 조직의 구성원이 되어 사회정치적 문제를 제기하고 연대하는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미디어 기업과 이용자들의 네트워크가 기존의 사회운동 및 액티비즘과 어떤 차별성을 지니는지 밝히고자 한다. 미디어 단체와 개인 이용자들이 만들어가는 액티비즘의 양상과 그 구체적인 양식을 파악하기 위해, 인터넷 에스노그라피와 심층 인터뷰 방법으로 운동 현장 및 참여 과정을 관찰하고 분석했다. 귀납적 방법으로 연구문제를 찾아가는 질적 연구로서, 본 연구의 질문은 크게 세 가지로 귀결됐다. 첫째, ‘미디어는 어떻게 액티비즘을 구성하고 이끄는가.’ 둘째, ‘청년 여성들은 왜 미디어를 통해 액티비즘에 참여하는가.’ 셋째, ‘미디어와 이용자의 디지털 액티비즘은 어떠한 차별성을 가지는가?’ 의제화 및 조직화를 관통하는 원리는 다양한 미디어 플랫폼과 콘텐츠를 활용한 레퍼토리다. 미디어는 마이너리티 당사자의 목소리를 담는 취재보도 과정과 그 결과물로써 콘텐츠 액티비즘을 실천하고, 게이미피케이션 및 소셜 미디어 어포던스를 활용한 캠페인, 후원, 청원, 결집 등 이용자가 참여하는 프로젝트를 통해 트랜스미디어 액티비즘을 수행한다. 미디어 단체를 매개로 이루어지는 이용자들 간의 연대는 그 자체로 하나의 새로운 콘텐츠가 된다. 낮은 장벽의 레퍼토리는 보다 많은 사람들을 참여자로 끌어오며, 변화의 가시화는 또 다른 목적 및 양식의 사회정치적 행동으로 이어지는 기제가 된다. 이용자는 의제화 및 조직화를 통해 액티비스트가 된다. 이들은 소셜 미디어 등에서 콘텐츠를 통해 문제의식을 접하고, 자신 혹은 누군가가 겪을 차별과 폭력의 문제에 대해 공감한다. 문제해결을 위해 목소리를 내는 방법으로서 디지털 콘텐츠 시청·참여·공유 행동을 자발적으로 실천해간다. 그 과정에서 문제를 외면하는 사회적 분위기와 반대세력의 부정적 반응을 마주하기도 한다. 이러한 충돌은 이용자가 디지털 공간에서 액티비즘을 수행하는 데 있어 스스로를 검열하게 만들며 내적 갈등을 유발한다. 그러나 행동함으로써 얻은 연대의 경험과 참여효능감은 사회적 낙인에 대한 두려움보다 액티비스트로서의 가치를 더 중시하게 만들었다. 미디어와 이용자는 사회변화라는 공동의 목적을 위해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행동하는 상호보완적 구성체를 이룬다. 꾸준히 문제의식을 던지고, 액션 프레임을 제공하며, 기술적 환경을 조성해주는 미디어를 통해, 이용자는 일상에서 액티비즘을 실천한다. 미디어에게 이용자는 재정적 자원일 뿐 아니라, 자발적으로 콘텐츠에 참여하고 공유함으로써 문제의식을 확산시키고 조직을 확장해주는 활동자원이다. 즉 이용자와 미디어는 정보를 공유하고 상호작용하며 자원과 사회적 지지를 확보해가는 운동조직처럼 움직인다. 그러나 동시에, 개인화된 정치참여 방식과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느슨한 연대를 추구한다는 점에서 디지털 운동 네트워크로서의 성격도 가지고 있다. 수직적 위계를 최소화하는 유연한 조직체로서 온라인 중심의 네트워크 운동을 활발히 전개해가고 있는 새로운 액티비즘 유형인 것이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사회학 이론을 중심으로 연구되어온 사회운동을 미디어 중심의 커뮤니케이션 과정으로서 들여다보고자 했다. 또한 디지털 사회운동 연구에서 주의 깊게 다루지 않았던 레퍼토리와 개별 이용자의 참여 과정에 주목했다. 마지막으로, 액티비즘 주체로서 미디어와 이용자 간의 연대를 조명했다. 이를 통해 연구는 미디어 기업과 개인 이용자들의 조직 및 네트워크가 디지털 시대 사회운동과 운동세대의 변화를 반영하는 새로운 액티비즘 양상임을 제안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