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8 Download: 0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 대상 연어 목록 선정 연구

Title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 대상 연어 목록 선정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selecting Collocation List for Intermediate and Advanced Korean learners : Focusing on K-drama script
Authors
박유경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미혜
Abstract
This study selected a list of collocations from K-drama script for intermediate and advanced Korean learners and aimed to help foreign Korean learners to have smooth communication skills which are similar to that of native speakers. It is essential to learn collocations because it can help foreign learners not only to predict how vocabulary will be combined but also to communicate more fluently and efficiently.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studies to establish the concept or type of collocation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in the field of Korean linguistics. However, studies on educational methods or educational contents of collocation have not been conducted variously in the field of Korean Educational linguistics. Moreover, education on the collocation is not systematical in Korean textbooks or actual education sites, and foreign learners could not properly recognize or acquire collocations. Therefore this study found it necessary to provide a list of collocations to help foreign Korean learners explicitly recognize and acquire them. Specifically the study tried to select a list of collocations that can be frequently encountered in real life, explicitly recognized, and acquired for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who can clearly distinguish between written and spoken Korean and have the purpose of improving communication skills. For this reasons, K-drama scripts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object because it was considered to have collocation expressions among native speakers of the real world. From the scripts, collocations were analyzed and collocations at the level of intermediate and advanced Korean learners were extracted. Extracted collocations were evaluated by a group of experts with more than 20 years of educational experience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ield. Ultimately a list of collocations for intermediate and advanced Korean learners was selected. To select the collocation list, the eclectic vocabulary selection method was used to theoretically. As a part of objective vocabulary selection, the frequency of collocations was measured by extracting collocations that appeared frequently in each K-drama script and that appeared repeatedly between K-drama scripts. Then, as a part of subjective vocabulary selection, there was an evaluation from expert group. As a result of the collocation list selection, 2415 collocations were extracted in total from the primary collocation list. In the secondary list, 1200 collocations were extracted after excluding 149 collocations of the beginner level. Finally 343 collocations were selected by analyzing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expert group. Following is the analysis of the collocation lists: First, the primary collocation list contained many collocation expressions that appeared characteristically according to the age group of the main characters or situation in the K-drama. For example, in the case of K-drama which its main background was the university entrance exams of students in their 10s and 20s, a lot of expressions were related to studying. In the case of K-drama about the stories of people in their 20s and 30s who just entered into the society, a lot of collocation expressions related to employment or company life were extracted. Accordingly it was concluded that it would help to increase both the efficiency of acquiring collocations and the interest of learners if the frequently used collocation expressions in K-drama were extracted and presented to learners by age, situation, and topic. In the secondary collocation list, the frequency of collocations was analyzed. The more commonly appeared in all of 5 K-dramas, the more the collocations expressions were basic and at the beginner's level. On the other hand, collocation expressions that could be used educationally for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had low overlapping frequency.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a high frequency does not necessarily mean appropriateness for the collocation list in this study and that subjective vocabulary selection procedures such as expert group evaluation were absolutely necessary for the collocation list selection process. In the final collocation list, the most common type of collocation was object-predicate collocation relation with the amount of 167, while 123 were in subject-predicate relation and 52 were in modification relation. When analyzed in aspects of content, it was characteristic that it contained a large number of expressions mainly used in colloquial style by native speakers. These expressions were educationally meaningful because they were essential for intermediate and advanced Korean learners to develop communication skills at the level of native speakers, and they were real-life expressions that cannot be learned from existing Korean textbooks or research materials. This study selected a collocation list for intermediate and advanced Korean learners with a focus on K-drama scripts.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it did not suggest an actual education plan and verify educational effect based on the collocation list. In addition, it is incomplete in that it referred to discussions of existing studies instead of newly defining the concept or type of the collocation. Howev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elected actual collocation expressions that have not been covered in existing textbooks or research materials based on K-drama scripts. Also, it increas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tudy by selecting the final collocation list based on the frequency, difficulty, and the expert group's evaluation. Lastly it is meaningful as the collocation lis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way to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of foreign learners in the actual Korean language education filed.;본 연구의 목적은 드라마 대본을 중심으로 실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 대상 연어 목록을 선정하여 외국인 학습자가 모국어 화자 수준의 원활한 의사소통 능력을 갖추는 데 기여하는 것이다. 외국인 학습자가 연어를 학습할 경우 어휘의 결합 방식을 미리 예측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의사소통을 보다 유창하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연어 습득이 필수적이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국어학 분야에서 언어학적으로 연어의 개념이나 유형을 정립하는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졌으나 이에 반해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연어의 교육 방안이나 교육 내용에 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하였다. 이뿐만 아니라 한국어 교재나 실제 교육 현장에서도 연어에 대한 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외국인 학습자가 연어를 제대로 인식하거나 습득하지 못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다고 보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외국인 학습자에게 연어를 명시적으로 인식하고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연어 목록을 제시해야할 필요성이 있다고 보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문어체와 구어체 사이의 구분을 명확하게 할 수 있는 한국어 중·고급 수준의 학습자를 위해 실생활에서 자주 접할 수 있고, 명시적으로 인식하고 습득할 수 있는 연어 목록을 선정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실제 모국어 화자 사이에서 자주 쓰이는 연어 표현이 등장할 것으로 생각되는 한국의 드라마 대본을 연구 대상으로 삼고, 대본 속의 연어를 분석하여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 수준의 연어를 추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교육 경력이 20년 이상 되는 전문가 집단의 평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 대상 연어 목록을 선정하였다. 연어 목록을 선정하기 위하여 이론적으로는 어휘의 선정 방법을 참고하여 절충적 어휘 선정 방법을 따랐다. 이에 따라 객관적 어휘 선정의 일환으로 드라마 별로 자주 등장하는 연어와 드라마 간에 중복 출현한 연어 등을 추출하여 연어의 빈도수를 파악하였으며, 더불어 전문가 집단의 주관적인 평정을 거쳐 종합적으로 연어 목록을 선정함으로써 절충적 어휘 선정을 시도하였다. 연어 목록 선정의 결과 1차 연어 목록에서 총 2415개의 연어가 추출되었으며, 드라마별로 나누어 연어 목록을 제시하였다. 2차 연어 목록에서는 초급 수준의 연어 149개를 제외하였으며, 이외에 추가적인 난이도 조정 절차를 거쳐 총 1200개의 연어를 추출하였다. 최종적으로는 전문가 집단의 평정 결과를 분석하여 총 343개의 연어를 선정하였다. 최종 연어 목록을 분석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1차 연어 목록에서는 드라마의 주요 등장인물의 연령이나 상황에 따라 특징적으로 출현하는 연어 표현이 많았다. 예를 들어, 10-20대 학생들의 입시를 주요 배경으로 하는 드라마의 경우 학업과 관련된 연어 표현이 많이 등장하였고, 20-30대 사회초년생의 이야기를 소재로 한 드라마의 경우 취업이나 회사생활과 관련된 연어 표현이 주로 추출되었다. 이에 따라 연령별 또는 상황별, 주제별로 자주 사용되는 연어 표현을 따로 추출하여 학습자에게 제시한다면 연어 습득의 효율성과 학습자의 흥미를 모두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2차 연어 목록에서는 연어의 빈도수를 분석하였는데 총 5편의 드라마에 공통적으로 출현한 연어일수록 초급 수준의 기본적인 표현이 많았고, 중복 출현 빈도가 낮은 표현 중에 중·고급 학습자 수준의 교육용 연어 표현이 많이 보였다. 이를 통해 빈도가 높다고 해서 반드시 본 연구의 연어 목록에 적절한 것은 아니며, 연어 목록 선정 과정에서 빈도수와 같은 객관적인 어휘 선정 절차와 더불어 전문가 집단의 평정과 같은 주관적인 어휘 선정 절차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최종 연어 목록을 분석해보면 유형별로는 목술관계 연어가 167개로 가장 많았으며, 주술관계 연어가 123개, 수식관계 연어는 52개 추출되었다. 내용면에서 분석해보면 모국어 화자가 구어체에서 주로 쓰는 표현이 다수 포함되어 있는 것이 특징적이었다. 이는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가 모국어 화자 수준의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표현이며, 더불어 기존 한국어 교재나 연구물에서 배울 수 없는 실생활의 연어 표현이기 때문에 교육적으로 의의가 있었다. 본 연구는 드라마 대본을 중심으로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 대상의 연어 목록을 선정하였으나 이를 바탕으로 실제 교육 방안을 제시하거나 교육 효과를 검증하지 못하였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또한, 연어의 개념이나 유형에 대한 정의를 새롭게 내리지 않고 기존 연구들의 논의를 참고하였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남는다. 그러나 드라마 대본을 바탕으로 기존의 교재나 연구물에서 다루지 못하였던 실제적인 연어 표현을 선정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연어의 빈도수와 난이도, 전문가 집단의 평정을 거쳐 종합적으로 목록 선정을 함으로써 연구의 신뢰성 및 타당성을 높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연어 목록을 실제 한국어 교육 현장에 활용함으로써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