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1 Download: 0

고등학생의 성장적 실패마인드셋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학업적 실패내성과 학습된 무기력의 매개효과

Title
고등학생의 성장적 실패마인드셋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학업적 실패내성과 학습된 무기력의 매개효과
Other Titles
The indirect effects of academic failure tolerance and learned helpless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students’perceived parental failure minset and academic achievement.
Authors
박진주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철옥
Abstract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성장적 실패마인드셋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학업적 실패내성과 학습된 무기력이 매개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에 소재한 2곳의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2학년 학생 271명(남학생 162명, 여학생 109명)을 대상으로 오프라인 설문지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성장적 실패마인드셋은 Haimovitz와 Dweck(2016)이 개발한 것을 토대로 박서단(2020)이 한국어로 번안하여 타당화한 실패마인드셋 척도 중 실패를 자신이 성장할 수 있는 경험으로 인식하는 정도를 측정하는 5개의 문항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학업적 실패내성은 Clifford(1988)가 개발한 것을 김아영(1994)이 한국의 실정에 맞추어 보완하여 개발한 한국형 학업적 실패내성 척도를 다시 오희숙(2002)이 재구성한 것을 사용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학업적 실패내성 원척도에서 제시된 하위요인인 감정, 행동, 과제수준선호의 3개 하위요인 중 이전의 연구에서 비교적 안정적으로 학업적 실패내성을 측정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과제수준선호를 측정하는 6문항만을 사용하였다. 학습된 무기력은 신기명(1990)이 개발한 학습된 무기력 척도를 주지은(1999)이 수정 및 보완한 후, 배정희(2008)가 요인 분석하여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학업성취도는 Barzilai와 Blau(2014)가 사용했던 학습자가 자신의 학업성취 수준을 주관적으로 보고하는 방식을 적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설문 자료를 토대로 통계 프로그램 SPSS 26.0과 Mplus 7.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SPSS 26.0을 이용하여 자료에 대한 기술통계와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을 하였고, Mplus 7.0을 이용해 본 연구의 주요한 연구 목적인 구조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상관분석을 활용하여 주요 변인들 사이의 관련성을 확인한 결과, 성장적 실패마인드셋, 학업적 실패내성(과제수준선호), 학습된 무기력, 그리고 학업성취도 각각이 서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성장적 실패마인드셋은 학업적 실패내성(과제수준선호)과 학업성취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반면에 학습된 무기력과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또, 학업적 실패내성(과제수준선호)은 학업성취도와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을 보였고, 학습된 무기력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학습된 무기력과 학업성취도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성장적 실패마인드셋의 학업성취도에 관한 유의미한 직접효과를 확인하였다. 다시 말해, 성장적 실패마인드셋은 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자신의 실패경험을 학습 능력이 성장할 수 있는 긍정적인 경험으로 인식할수록 고등학생들의 학업성취도는 증가하는 것을 보여준다. 셋째, 고등학생의 성장적 실패마인드셋이 학업적 실패내성(과제수준선호)과 학습된 무기력을 통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구조적인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즉, 성장적 실패마인드셋이 높은 고등학생은 난이도가 높은 과제를 선호하고(학업적 실패내성이 높으며), 다른 한편으로 낮은 학습된 무기력을 보이며, 결과적으로 높은 학업성취도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할 때, 고등학생이 실패라는 경험이 자신을 성장시키는 것이라고 믿는 것은 실패가 예상되는 더 어려운 수준의 과제에 도전할 수 있도록 영향을 미치고, 그것은 결국 학습 상황에서의 성취도 수준을 진작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패에 대한 긍정적인 신념은 학습된 무기력 수준을 낮추어 주고, 그 결과 학습 상황에서 성취 수준을 높이는 데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학업적 상황에서 필연적으로 실패를 경험할 수 밖에 없는 고등학생들이 보다 더 발전적인 방식으로 실패 상황에 대처할 수 있게 돕는 심리적 기제를 살펴보았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나아가 고등학생들이 보다 더 성장적이고 긍정적인 실패에 대한 신념을 지닐 수 있도록 하는 학교와 가정에서의 교육적 개입의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how high school students' perceived parental failure mindset affects their academic achievement. The failure mindset was firstly introduced in 2016 by Carol Dweck, well-known for mindset theory, and fellow psychologist Haimovitz. According to their argument, the main factor that directly influences children's mindset is not the parent's intelligence mindset but is the failure mindset. So, in this study, the author tried to figure out how the parent's failure mindset affects the children's intelligence mindset.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assumptions that students with high academic achievement will have a certain type of intelligence mindset, which believes intelligence is not fixed but can grow further. In addition, It was also assumed that high academic efficacy can statically predict academic achievement levels. This study has tried to checked the relation between parents' failure mindset - perceived by their children - and their academic achievement. She also added another hypothesis that academic failure tolerance, a concept highly related to failure, and learned helplessness are closely related. This study's survey data was collected from a sample group consists of 271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 did not show that parent's failure mindset was a direct cause of their academic underachievement. However,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parents' failure mindset negatively affects academic failure tolerance, and it does predict their academic achievement.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academic failure tolerance gave a negative effect on learned helplessness. Thus, the author confirmed a conclusion that there was an indirect, however a certain effect. Parent's failure mindset is being perceived by their children, and it transforms into academic failure tolerance, which means they become insensitive to failure. Then it finally becomes a negative factor of their academic achieve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