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6 Download: 0

시각장애 학생의 도덕적 자아정체성 교육을 위한 수업모형 연구

Title
시각장애 학생의 도덕적 자아정체성 교육을 위한 수업모형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lass Model for the Moral Self-identity Education of Blind Students - Focusing on A. Blasi's theory of Self Model-
Authors
김예지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도덕·윤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지애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장애를 가진 청소년이 자아정체성 확립이라는 중요한 과업을 성취함에 있어 학생 특성에 맞는 도덕교육을 통해 긍정적인 장애정체성 확립과 도덕적 자아정체성을 발달시키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는데 있다. 누군가는 도덕적인 앎을 꾸준히 선한 행동으로 실천하는 반면, 앎과 실천의 간극을 극복하지 못한 학생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차이를 도덕적 자아정체성 확립의 정도에서 기인한다고 보았고, 논자는 지도하고 있는 시각장애를 가진 학생들이 도덕적 자아정체성을 발달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찾고자 이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청소년기에 자아정체성 확립 또는 도덕적 자아정체성의 역할과 의의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장애 학생의 도덕적 정체성에 대한 논의는 아직 미비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각장애 학생의 도덕적 자아정체성 발달을 위하여 도덕과의 목표와 성격, 장애정체성의 의의와 형성과정을 알아본 뒤, 시각장애를 가진 학생들이 도덕과 수업에 만나는 한계점 중 자아정체성과 관련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덕적 자아정체성을 적용한다. 이를 위해 블라시(A. Blasi)의 자아모델이론(the Self Model)을 적용하여 도덕적 인격을 갖춘 정체성을 발달시키는‘의도된계발된 통합’을 적용한 수업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먼저, 도덕심리학에서는 도덕적 지식과 도덕적 실천 간의 간극을 해결하기 방법에 대해서 오랜 시간 고민해왔다. 그 중 행동을 동기화하는 요인으로 강력했던 접근은 콜버그(L. Kohlberg)의 인지중심주의다. 이에 대조적으로 호프만(M. Hoffman)은 공감적 정서가 도덕원리에 동기적 힘을 부여한다고 보았다. 하지만 인지 혹은 정서, 단일한 요인이 도덕적 동기화의 역할을 인정한다고 하더라도, 지속적으로 도덕적 행동을 수행하며 도덕성에 헌신하는 이들에 대해서 설명하기는 어렵다. 이에 도덕적 행동의 동기화 요인으로 포괄적인 관점인 도덕적 자아정체성이 등장한다. 이 중 블라시의 자아 모델은 개념적으로 가장 정교할 뿐 아니라 정체성과 도덕적 기능 간의 연계를 가장 상세하게 보여준다. 또한 최초로 콜버그 이론의 도덕적 동기화 문제를 밝혔으며 동기의 근원으로서 도덕적 정체성을 제안하였기에 블라시의 이론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이러한 도덕적 자아정체성의 형성은 최초의 데이먼(W. Damon)의 주장이 있었고, 이는 블라시의 연구로 마무리가 되었다. 이때 자아에 도덕성이 중심으로 자아정체성이 형성된 상태를 블라시의 자아 모델(the Self Model)에서는 도덕적 자아정체성이 형성되었다고 본다. 이때 주관적인 자아의 특성에 따라 개별적인 특성을 지닌 도덕적 자아정체성은 도덕적 책임과 자아일관성이라는 심리학적인 기제에 따라 도덕적 행동을 동기화하는 요소가 된다. 그러나 객관성을 지닌 도덕이 주관적인 자아에 통합된다는 전제에 비판을 받자 이에 반박으로 블라시는 프랑크푸르트(H, Frankfurt)의 이론에 기초하여 ‘도덕적 인격’을 제시하여 자신의 입장을 정당화 한다. 블라시는 도덕적 욕구로서의 의지가 추동될 때 강력한 도덕적 동기가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블라시는 언제, 어떻게, 어떤 방법의 교육적인 지원이 있을 때 도덕적 자아정체성을 발달시킬 수 있는지에 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기에 이와 관련한 방법에 대해 연구하고, 이러한 방법을 적용하여 장애정체성을 포함하며, 의지, 도덕적 의지, 자아일관성을 촉진하여 도덕적 인격을 형성하여 도덕적 자아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는 수업모형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로는 첫째, 도덕적 정체성 형성을 위한 도덕 수업 구성이다. 이를 위한 수업 방법과 수업모형을 제시하여 도덕적 자아정체성을 형성을 촉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시각장애 학생의 특성에 맞는 연구 수행 및 장애정체성을 통합하는 도덕적 자아정체성 연구이다. 비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 꾸준히 연구된 도덕적 자아정체성 이론을 시각장애 학생의 장애 특성 및 정도에 맞는 수업 연구에 접목하여 시각장애를 가진 학생들을 위한 현장 수업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는 시각장애 학생에게 초점으로 만든 연구로, 정안인 학생들(비시각장애인)에게 일반화 하여 적용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갖는다. 그만큼 시각장애를 가진 학생들에게 적합하고, 시각장애 학교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논자는 여러 상황에 놓인 다양한 시각장애 정도를 가진 학생들을 ‘시각장애를 가진 학생’이라는 하나의 범주로만 연구하였으나 차후 연구에서는 시각장애를 갖게 된 시기, 시력 및 장애에 대한 태도를 구분하여 범주를 다양화 하여 구체적으로 연구가 진행되기를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specific methods for establishing positive disability identity and developing moral self-identity through moral education suitable for student characteristics in achieving an important task of establishing self-identity for adolescents with visual impairment. Some students consistently practice moral knowledge as good behavior, while others have not overcome the gap between knowledge and practice. In this study, this difference was attributed to the degree of establishment of moral self-identity, and the argument started this study to find effective ways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to develop moral self-identity. Research on the role and significance of self-identity or moral self-identity in adolescence is being actively conducted. However, discussions on the moral identity of disabled students are still insufficient. Therefore, in this study, moral self-identity is applied as a way to solve the problem related to self-identity among the limitations that visually impaired students meet in morality classes after examining the significance and formation process of moral self-identity. To this end, this study begins to develop a moral identity by applying A. Blasi's self-model theory. First, in moral psychology, we have long thought about how to resolve the gap between moral knowledge and moral practice. Among them, Kohlberg's cognitiveism was a powerful approach as a factor that synchronizes behavior. In contrast, Hoffman saw that empathic emotions gave motivational power to moral principles. However, even if cognitive, emotional, or single factors recognize the role of moral motivation, it is difficult to explain those who continue to perform moral behavior and devote themselves to morality. Accordingly, moral self-identity, a comprehensive perspective, appears as a synchronization factor for moral behavior. Among them, Blasi's self-model is not only conceptually most sophisticated, but also shows the link between identity and moral function in the most detail. In addition, since it first revealed the moral synchronization problem of Kohlberg's theory and proposed moral identity as the source of motivation, it was discussed focusing on Blasi's theory. This formation of moral self-identity was first asserted by Damon, which was concluded by Blasi's research. At this time, it is believed that the moral self-identity was formed in Blasi's self-model in the state in which self-identity was formed around morality. Moral self-identity, which ha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ive self, becomes a factor that synchronizes moral behavior according to the psychological mechanism of moral responsibility and self-consistency. However, when he was criticized for the premise that objectivity morality is integrated into the subjective self, Blasi justified his position by presenting a "moral personality" based on Frankfurt's theory. Blasi argues that when the will as a moral need is driven, it can be a powerful moral motivation. However, Blasi did not mention when, how, and what methods of educational support can develop moral self-identity, so he studied related methods, applied these methods to include disability identity, and to form moral personality to establish moral self-identit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first, the composition of moral classes to form moral identity. For this, a teaching method and a teaching model were presented to promote the formation of moral self-identity. Second, it is a study of moral self-identity that integrates research and disability identity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ly impaired students. The theory of moral self-identity, which has been steadily studied for non-disabled students, was applied to class studie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and degree of disability of blind students to lay the foundation for field classes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However, this study is a study focused on visually impaired students, and has a limitation in that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and apply to Jeongan students (non-visually impaired). This study is suitable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and can be applied in the field of blind schools. In this study, the commentator studied students with various degrees of visual impairment in various situations only in one category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but in future studies, it is suggested that specific studies be conducted by dividing the categories by the time they developed visual impairment, vision, and attitudes toward disabil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도덕·윤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