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4 Download: 0

스토킹 피해를 입은 여성의 역량강화를 위한 여성주의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Title
스토킹 피해를 입은 여성의 역량강화를 위한 여성주의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Other Titles
Qualitative case study of feminist empowerment art therapy of stalking afflicted female
Authors
전상연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소정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스토킹 피해를 입은 여성을 대상으로 역량강화를 위한 미술치료를 실행하여 연구 참여자가 미술치료 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그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지 밝히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참여자가 경험한 것의 의미를 심도 있게 탐색하기 위해 질적 사례 연구 방식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약 3개월 간 스토킹 피해를 입은 경험이 있는, 만 23세의 여성이다. 본 사례는 2021년 10월 3일 화상회의 프로그램을 통한 비대면 사전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2021년 10월 7일부터 11월 2일까지 주 2회, 90분간 총 8회기의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미술치료가 종결된 후 연구 참여자는 미술치료 참여 경험에 대한 최종 소감문을 제출하였으며, 이것으로 사후 면담을 대체하였다. 연구자는 사례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연구하기 위하여 연구 참여자의 동의를 받은 후 매 회기 녹음기를 사용하여 녹음하고, 작품 사진을 촬영하였으며, 연구 참여자는 매 회기 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소감문을 연구자에게 제출하였다. 그리고 녹음을 전사한 녹취록을 원자료로 수집하였으며, 연구자는 치료사로서 미술치료 회기 내에서 관찰한 내용을 치료 일지로 기록하였다. 그리고 원자료와 치료 일지, 소감문에서 연구 참여자의 언어 표현 및 비언어적인 표현을 분석하여 연구 참여자의 미술치료 경험과 그 경험의 의미를 도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총 4개의 상위 주제와 12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미술치료 사례의 경험 범주는 <스토킹 피해 경험이 나에게 미치는 영향을 생각함>, <스토킹 피해 경험을 직면하고, 감정을 마주함>, <스토킹 피해 경험으로부터 의미를 발견함>, <역량강화를 기반으로 긍정적인 미래의 모습을 구체화함>이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스토킹 피해를 입은 여성의 역량강화를 위한 미술치료에서 연구 참여자가 경험한 것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스토킹 피해를 입은 여성의 역량강화를 위한 미술치료를 통해 연구 참여자는 스토킹 피해 경험을 직면하고, 후유증을 발견하며, 인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생각해봄으로써 스스로 피해자임을 받아들일 수 있었다. 둘째, 연구 참여자는 여성주의 상담 이론을 적용한 미술치료를 통해 스토킹 피해와 관련된 감정을 인식하고 표현하는 과정에서 스스로를 위로하고, 스토킹 피해 경험을 개인적인 경험에서 사회적인 문제로 확장할 수 있었다. 셋째, 연구 참여자는 스토킹 피해를 입은 여성의 역량강화를 위한 미술치료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을 발견하고 인생의 우선순위를 깨달음으로써 내면의 힘을 강화시킬 수 있었다. 넷째, 연구 참여자는 스토킹 피해를 입은 여성을 위한 미술치료를 통해 스토킹 피해 경험을 변화의 계기로 삼았으며, 스스로의 자원을 발견하고 긍정적인 미래를 구체화하여 피해자에서 생존자로 전환된 삶을 살아갈 수 있게 되었다. 이를 종합해 볼 때, 스토킹 피해를 입은 여성에게 역량강화를 위한 여성주의 미술치료는 스토킹 피해 경험을 객관적이고 시각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스토킹 피해 경험을 떠올리고, 이로 인한 후유증을 발견하며, 인생에 미치는 영향을 생각해 봄으로써 스스로 스토킹 범죄의 피해자라는 사실을 인식하고 수용할 수 있게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미술치료를 통해 감정을 마주하며 피해 경험을 승화하고 싶다는 의지를 다졌고, 안전한 환경에서 부정적인 감정을 표출해 봄으로써 카타르시스를 느낄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연구 참여자는 스토킹 피해 경험을 개인의 경험이 아닌 사회적 문제로 확장하며, 사회를 변화시키고 싶다는 의지와 사회가 변화할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을 발견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는 스스로를 위로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자신을 발견함으로써 스토킹 피해 경험을 성장의 발판으로 삼았고, 자원을 발견하고 내면의 힘을 찾아 역량을 강화하여 긍정적이고 구체적으로 그린 미래로 나아갈 힘을 가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스토킹 피해를 입은 여성의 역량강화를 위한 여성주의 미술치료는 스토킹 피해 사건을 직면하고 후유증을 발견하여 피해 사실을 수용하게 하였으며, 스토킹 피해로 인한 부정적인 감정을 표현하고 해소하는 과정에서 강화된 내면의 힘을 기반으로 피해자에서 생존자로의 삶을 살 수 있게 하였음을 알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rt therapy to strengthen competency for stalking afflicted female to reveal what kind of experience the study participant has in the art therapy process and what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is. To this end, this study applied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to explore in depth the meaning of what the study participant experienced. Participant in this study is a 23-year-old university woman who has suffered stalking damage for 3 months. In this case, non-face-to-face preliminary interviews were conducted through a video conference program on October 3rd, 2021, and a total of eight art treatments were conducted twice a week from October 7th to November 2nd, 2021 for 90 minutes. After the end of art therapy, the study participant submitted a final statement of her experience in art therapy, which replaced the post-interview. In order to understand and study the case in depth, the researcher recorded it using a recorder each session, took pictures of the work, collected data and the researcher submitted a statement of her experience in art therapy every session. In addition, the original data was collected from the transcription of the recording, and the researcher recorded the observations while conducting the art therapy session as a therapist. In addition, the experience of art therapy and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the study participant was derived by analyzing the language expression and non-verbal expression of the study participant in the original data, treatment diary and speec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a total of 4 top topics and 12 subtopics were derived. The experience categories of this art therapy case are , , , and .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the conclusion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s in art therapy to strengthen the competence of stalking afflicted female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art therapy to strengthen the competence of stalking afflicted female, research participant was able to accept herself as a victim by facing stalking damage experiences, discovering aftereffects, and thinking about their impact on life. Second, through art therapy applying feminist counseling theory, the study participant was able to comfort herself in the process of recognizing and expressing emotions related to stalking damage and expand the stalking damage experience from personal experience to social problems. Third, the study participant was able to strengthen her inner strength by discovering a method of solving problems through art therapy to strengthen her capabilities and realizing her priorities in life. Fourth, the study participant used the stalking damage experience as an opportunity for change through art therapy to strengthen the capabilities of female stalking victim and found her own resources and embodied a positive future to live a life converted from victim to survivor. Taken together, feminist art therapy to strengthen competency for stalking afflicted female reminded her of her stalking damage experiences objectively and visually, expressing her stalking damage experiences, discovering aftereffects, and considering their impact on life. Participant in the study strengthened her willingness to sublimate the damage experience by facing emotions through art therapy, and was able to feel catharsis by expressing negative emotions in a safe environment. In this process, the study participant expanded the stalking damage experience to social problems, not individual experiences, and found the willingness to change society and hope that society could change. In addition, the study participant used the stalking damage experience as a stepping stone for growth by comforting herself and solving problems, and gained the power to move toward a positive and specific future by discovering resources, finding inner strength, and strengthening her capabilities. Accordingly, it can be seen that feminist art therapy to strengthen the competence of stalking afflicted female allowed her to live not as a victim, but as a survivor based on strengthened inner strength in the process of expressing and resolving negative emotions caused by stalking damag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