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7 Download: 0

비교문화적 관점에서 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관용어 이해 연구

Title
비교문화적 관점에서 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관용어 이해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Understanding about Idioms of Chinese Korean Learners from a Cross-Cultural Perspective
Authors
Li, Yan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해영
Abstract
본 연구는 비교문화적 관점과 대조분석 가설을 바탕으로 하여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어 관용어를 이해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요인의 영향을 받는지, 그 요인 간의 상관성이 존재하는지를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그 동안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관용어 습득 연구는 주로 아래와 같은 요인을 중심으로 이에 따른 제2 언어 학습자의 관용어 습득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데 집중하였다. 예컨대 비교언어적 유사성이나 의미 투명도, 과제 유형과 같은 요인 외에 학습자 변인으로 각각 숙달도, 체류 기간, 한국 거주 경험, 성별, 전공, 관용어에 대한 친숙도와 같은 변인 등이 있다. 대부분 연구를 보면 영향 요인을 각각 독립적으로 고찰하였다. 그러나 이암(2020, 2021)에서 밝힌 듯이 관용어 이해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들이 관용어를 이해하는 과정에서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것임을 발견하였으며 뿐만 아니라 은유 표현을 연구한 이해영 외(2020)에서도 은유 유형과 한국어 숙달도 간에 상관성이 있었다는 것을 고찰하였으므로 본 연구는 또한 관용어의 언어적인 요인 간, 언어적인 요인과 학습자의 변인 간에도 상관성이 존재할 수 있음을 가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한·중 관용어의 언어적 형태와 의미의 같음과 다름, 문화 간의 보편성과 특수성에 따라 관용어를 유형화하여 이렇게 분류한 관용어의 유형과 관용어의 사용 빈도에 따른 관용어 이해 양상을 살펴보는 동시에 학습자의 숙달도, 거주 경험 유무, 그리고 언어 접촉 정도에 따른 차이도 나타나는지를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관용어를 크게 한·중 관용어에 모두 있는 경우와 한국어에만 있는 경우의 두 유형으로 나눈 다음 전자에서 다시 언어적 형태 의미가 같고 관용적 의미가 같은 동형동의(同形同義) 관용어(A1 유형)와 언어적 형태 의미가 같지만 관용적 의미가 다른 동형이의(同形異義) 관용어(A2 유형)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후자에서 다시 보편적이고 상식적으로 해석 가능한 관용어(B1 유형)와 한국의 특수한 문화가 반영된 관용어(B2 유형)로 분류하였다. 이렇게 분류된 관용어의 유형 외에 관용어의 사용 빈도(구어와 문어 모두 포함)에 따라 다시 고빈도 관용어와 저빈도 관용어로 분류하여 각 유형별 3개씩 관용어를 선정하여 총 24개 관용어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총 5 장으로 구성하였다. I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연구의 필요성을 밝히고, 그 동안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한국어 학습자를 위주로 화용적 표현 습득 연구와 관용어 습득 연구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선행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본 연구의 연구 범위를 선정하며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Ⅱ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에 대해 제시하였다. 이론적 배경에서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우선 본 연구에서 한국어 관용어 분류의 합리성에 대한 이론적 기초를 마련하기 위해 화용 연구와 비교문화적 관점을 정리하면서 서구 중심의 보편적 화용론에서 벗어나 비서구권 언어 습득 연구에서 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모두 연구해야 한다고 제시하였다. 그 다음으로 한국어 관용어와 중국어 관용어 각자의 개념과 특징을 살펴본 다음에 본 연구에서 고찰하고자 한 한국어와 중국어 관용어를 각각 한정하면서 한·중 관용어의 대조 유형 기준을 제기하였다. Ⅲ장에서는 연구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우선 연구의 절차를 밝히고, 예비 실험을 소개하면서 본 실험 전에 수정·보완해야 할 점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본 실험에 참여한 실험 참여자,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자료 수집 도구, 그리고 자료 분석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였다. Ⅳ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기술하면서 실험 결과 및 원인을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를 크게 연구 문제에 따라 두 절로 나누었다. A절에서 연구 문제 1에 대한 실험 결과를 밝혔다. 연구 문제 1은 중국인 학습자가 관용어의 유형과 관용어 사용 빈도에 따라 관용어 이해에 차이를 보이는지를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우선 관용어의 유형에 따른 관용어 이해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실험 참여자에게서 관용어의 유형에 따른 관용어 이해 차이가 있었고 중국인 학습자가 가장 이해하기 쉬운 유형은 중국어와 언어적 형식의 의미도 같고 관용적 의미도 같은 A1 유형과 한국어에만 있으나 보편적이고 상식적으로 해석 가능한 B1 유형이다. 반면에 중국어와 언어적 형식 의미가 같지만 관용적 의미가 다른 A2 유형과 한국의 특수한 문화가 반영된 B2 유형에 대한 이해가 가장 어렵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으로 관용어의 사용 빈도에 따라 관용어 이해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역시 고빈도 관용어의 이해도가 저빈도 관용어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다. 실험 참여자가 교실에서 배운 적이 없는 관용어임에도 불구하고 실제생활에서 많이 노출되면 학습자가 이러한 관용어를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된 것이라 할 수 있다. 관용어의 유형과 사용 빈도에 상관성이 있는지와 두 요인 중에서 어떤 요인이 관용어 이해에 큰 영향을 끼치는지를 살펴본 결과, 관용어의 유형과 사용 빈도 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존재하였다. 이는 관용어의 유형별로 사용 빈도에 따라 이해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중국인 학습자는 A1 유형에서 사용 빈도에 따른 이해 차이가 가장 작았고 B1 유형에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중국인 학습자가 관용어를 이해하는 데에는 사용 빈도보다 관용어의 유형에 훨씬 더 큰 영향을 받았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2절에서는 연구 문제 2에 대한 실험 결과를 밝혔다. 연구 문제 2는 한국어 숙달도와 한국 거주 경험 유무, 그리고 언어 접촉 정도에 따라 중국인 학습자가 관용어를 이해하는 데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우선 숙달도에 따른 결과를 살펴보면 고급 학습자가 중급 학습자보다 관용어를 훨씬 더 잘 이해하였다. 그 다음으로 숙달도와 관용어의 유형, 그리고 관용어 사용 빈도 간의 상관성을 알아본 결과, 각 변인에 따른 관용어 이해에 모두 차이가 있었으나 변인 간의 상관성이 존재하지 않았다. 그 다음으로 한국 거주 경험 유무에 따른 관용어 이해 결과를 살펴보면 주로 고급 학습자에 한정하여 이에 따른 관용어 이해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했는데, 한국 거주 경험 있는 학습자가 거주 경험 없는 학습자보다 관용어를 더 잘 이해하였다. 거주 경험 유무와 관용어의 유형 간에도 상관성이 존재하였다. 다시 말하면 한국 거주 경험 유무에 따른 관용어 이해 차이가 관용어의 유형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언어 접촉 정도에 따른 결과를 살펴보면 중급 학습자인 경우, 언어 접촉 정도와 관용어의 유형, 그리고 사용 빈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고급 학습자인 경우 이 세 변인에 따른 차이가 모두 존재하였다. Ⅴ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여 요약하고,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그리고 교육적인 제언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한국어 학습자의 관용어 이해 연구가 대조분석 가설이나 모국어의 영향에 치우쳐 이루어진 데 문제를 제기하고 비교문화적 관점과 더불어 관용어를 유형화하여, 기존 연구에서 다루지 못했던 관용어의 사용 빈도까지 포함해 중국인 학습자의 관용어 이해 양상을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그 외에도 학습자 변인에서 그 동안 습득 연구를 할 때 주요하게 다룬 학습자의 숙달도와 거주 경험 유무 이외에 언어 접촉 정도에 따라 분류하여 살펴보아야 한다는 것을 재확인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서로 다른 단계나 상황에 처한 학습자가 한국어 관용어를 이해할 때 어떤 요인이나 변인에서 영향을 받는지를 확인하였기 때문에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보다 학습자 중심인 관용어 교육을 할 때 참조할 만한 참고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관용어를 분류할 때 언어적 형태와 관용적 의미의 같음과 다름, 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고려하여 관용어를 분류하는 것은 물론 관용어의 사용 빈도도 포함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일련의 제언을 통해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관용어 사전을 작성하거나 관용어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factors affect Chinese learners of Korean in the process of comprehending Korean idioms and whether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based on the comparative cultural perspective and the contrastive analysis hypothesis. Until now, previous studies on idiom acquisition in KFL/KSL teaching mainly focuses on factors such as cross-language similarity, semantic transparency and task types to examine their effects on idiom acquisition of second language learners. In addition, there are variables such as Korean proficiency, residential experiences, gender, major, and idiom familiarity, etc. In most studies, the influencing factors were separately considered. However, Yan Li (2020, 2021) found that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diom comprehension of Chinese learners of Korean were influencing each other in the process. Haiyoung Lee et al. (2020) pointed out that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metaphor types and Korean proficiency, concluding that there may be interactional effects between linguistic variables and learner variables in the process of comprehension. Therefore, in this study, Korean idioms were categorized into 4 types, depending on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Chinese and Korean idioms. Each type of idioms was further divided into high-frequency idioms and low-frequency idiom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while also examining differences in terms of learner proficiency, residential experiences, and intensity of language contact. This paper consists of five parts. Part Ⅰ deals with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t also reviews previous studies on the acquisition of Korean pragmatic expressions and on idiom acquisition in KFL/KSL teaching. It concludes with the scope of the study and the research questions. Part Ⅱ presents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is study. There are two main parts: the first part is the theory of cross-culture pragmatics and the second part introduces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Chinese idioms, and puts forward the comparison types of Korean and Chinese idioms. Part Ⅲ describes the research method used in this study. It introduces the research procedures and three stages of pilot studies. It also introduces the participants, the research instruments and the data analysis method of this study. Part IV describes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The results were divided into two parts. Section A discusses whether learners’comprehension of Korean idioms is affected by the type and frequency of idioms, and whether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se two factors. First, the results show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idiom comprehension in relation to the idiom type. Among them, the A1 and B1 types were easier to understand than A2 and B2 types. Learners were influenced by not only their mother tongue but also cultural differences when comprehending idioms. At the same time, their comprehension of idioms was also affected by the frequency of idioms. The comprehension of high-frequency idioms was much better than that of low-frequency idioms. The results also indicate that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types and frequency of idioms. This means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comprehension depending on the frequency of use related to the idiom type. In other words, when Chinese learners comprehended type A1 idioms, the difference between high-frequency idioms and low-frequency ones was the smallest, and when they comprehended type B1 idioms, the difference between them was the largest. Section B discusses whether learners’comprehension of idioms is affected by learner variables such as the proficiency of Korean, residential experiences, and intensity of language contact. First, the results show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idiom comprehension in relation to the proficiency of Korean. The advanced learners understood idioms better than intermediate learners. However,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proficiency and the type and frequency of idiom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learners with study-abroad experience in Korea can better understand idioms than learners without study-abroad experience in Korea. There was also a correlation between residential experiences and idiom types. In other words, the difference in idiom comprehension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ce or absence of experience of studying in Korea was different for each type of idiom. Finally, the results show tha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erms of the intensity of language contact, types of idioms, and frequency of use in intermediate learners, but in advanced learners, there were differences in terms of the intensity of language contact, the types and frequency of idioms Part V summarize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study can provides some implications for Korean idiom teaching and makes recommendations for further study. This study pointed out that the current studies on Chinese learners’ idiom comprehension mainly focused on contrast analysis or the influence of their mother tongue, categorized idioms based on comparative and cultural perspectives, and examined Chinese learners’comprehension of idioms. It also reaffirmed that idioms should be classified and examined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language contact in addition to the language proficiency and residential experiences, which were mainly dealt with when conducting acquisition studies on the learner variable. It confirmed that different levels of Korean proficiency, different learning environments and different intensities of interaction in Korean affect Chinese learners’comprehension of Korean idioms. So it can provide insights for developing learner-centered teaching programs in Korean idiom teaching. In addition, when classifying idioms, the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of culture as well as the frequency of use of idiom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t can also be used as basic data for compiling an idiom dictionar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