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안정훈-
dc.contributor.author최은미-
dc.creator최은미-
dc.date.accessioned2022-02-07T16:32:02Z-
dc.date.available2022-02-07T16:32:02Z-
dc.date.issued2022-
dc.identifier.otherOAK-000000184177-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84177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60155-
dc.description.abstract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according to oral glucose-lowering drugs and medication adherence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in Korea. Also, we evaluated the effect of medical cost reduction. From January 1, 2017, to December 31, 2019, using drug prescription and medical information from the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s health care big data, a population-based retrospective cohort was established for adults aged 50 to 80 who were diagnosed with type 2 diabetes for one year from January 1 to December 31, 2018. Among them, patients prescribed SGLT-2 inhibitors were matched with those prescribed DPP-4 inhibitors, sulfonylurea, and thiazolidinedione using 1:1 propensity scores (i.e., SGLT-inhibitors vs. DPP-4 inhibitors, SGLT-inhibitors vs. sulfonylurea, SGLT-inhibitors vs. thiazolidinedione). Medication adherence was defined using the medication possession ratio (MPR). The adherent group was defined as MPR≥80. The first prescription date of the exposure drug was defined as the cohort enrollment date, followed up only during the drug use period, and the observation was terminated when the outcome of interest occurred, the drug prescription interval exceeded 30 days, or if it exceeded 1 year from the cohort enrollment date. The study subjects were 130,491, including 10,382 SGLT-2 inhibitors, 97,507 DPP-4 inhibitors, 18,584 sulfonylurea, and 3,990 thiazolidinedione, respectively. As a result of the study, compared to SGLT-2 inhibitor, DPP-4 inhibitor, sulfonylurea, and thiazolidinedione all had a higher incidence rate (140.2 per 1,000 person-years [PYs], 146.5 per 1,000 PYs, 168.3 per 1,000 PYs, and 161.0 per 1,000 PYs, respectively). Compared with SGLT2-inhibiros, the adjusted HRs (aHRs) of cardiovascular disease for DPP-4 inhibitor, sulfonylurea, and thiazolidinedione were 1.13 (95% CI: 1.03-1.24), 1.31 (95% CI: 1.18-1.46), and 1.25 (95% CI: 1.07-1.46), respectively. When identifying the incidence of cardiovascular disease according to medication adherence, it was confirmed that the overall non-adherent showed a higher average incidence rate than the adherent (197.1 vs. 147.3 per 1,000 PYs). Direct medical costs were examined for inpatient, outpatient, and outpatient prescription drug costs. The sum of these three costs was calculated as the average total medical expenses per person. It was confirmed that the non-adherent had a higher total medical cost of ₩473,785 than the adherent, and the non-adherent had a higher cost for hospitalization treatment. In the non-adherent, hospitalization costs were 2.0 times higher than in the compliance group, but the sum of outpatient medical costs was 0.67 times lower than in the compliance group. In addition, when we excluded out-of-the-way prescription drug cost from the total medical cost, we confirmed the non-adherent was 1.4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adherent. When calculating medical costs according to the exposure drug groups, the SGLT-2 inhibitor group had lower hospitalization costs (₩125,682 to 312,891) than other drug groups, and the total medical costs were ₩306,425 and ₩93,871 lower than the DPP-4 inhibitor and thiazolidinedione, respectively. The difference in medical costs according to the incidence of cardiovascular disease, the SGLT-2 inhibitors in the cardiovascular disease group had lower total medical costs than other drug groups (₩245,634 to 542,346). We confirmed that the difference in cardiovascular disease risk in diabetic patients across oral glucose-lowering drugs and SGLT2-inhibitors had a positive effect on medical costs. Therefore, our study can have implications in clinical practice.;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의 경구용 혈당강하제와 순응도 여부에 따른 심혈관계질환 위험도 차이와 이로 인한 의료비 절감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2017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 3년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의료빅데이터의 약물처방 및 진료정보를 이용하여, 2018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년간 제2형 당뇨병을 진단받은 50세 이상 80세 미만의 성인을 대상으로 인구집단 기반의 후향적 코호트를 구축하였다. 이들 중 연구약물(SGLT-2 억제제, DPP-4 억제제, 설폰요소제, 티아졸리디네디온)을 복용한 적이 있는 환자를 연구대상자로 정의하고, 각 연구약물 군별로 1:1 성향점수 매칭을 하였다. 노출변수는 경구용 혈당강하제로서 SGLT-2 억제제, DPP-4 억제제, 설폰요소제, 티아졸리디네디온계와 이 약물의 순응도 여부를 관찰하였다. 결과변수는 심혈관계질환 발생과 직접의료비로써 심혈관계질환 과거력 여부와 약물 순응군 여부로 하위그룹으로 층화하여 살펴보았다. 자료원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보건의료빅데이터 자료 2017.1.1.~2019.12.31. 동안의 전수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약물 첫 처방일을 코호트 입적일로 정의하고, 약물 사용기간 동안만 추적관찰하여 결과변수 발생 시 또는 약물 처방 간격이 30일을 초과, 또는 코호트 입적일로부터 1년이 초과하면 관찰을 종료하였다. 최종 분석 대상자는 130,491명으로 SGLT-2 억제제 10,382명, DPP-4 억제제 97,507명, 설폰요소제 18,584명, 티아졸리디네디온계 3,990명이 포함되었고, 이들을 SGLT-2 억제제 복용군을 기준으로 성향점수 매칭을 1:1로 하였을 때, SGLT-2 억제제와 DPP-4 억제제 복용군은 각각 10,371명, SGLT-2 억제제와 설폰요소제 복용군은 각각 9,624명, SGLT-2 억제제와 티아졸리디네디온계 복용군은 각각 3,899명으로 매칭되었다. 연구 결과, SGLT-2 억제제, DPP-4 억제제, 설폰요소제, 티아졸리디네디온계 약물 복용군에 따른 심혈관계질환 발생률을 보았을 때, SGLT-2 억제제를 기준으로 DPP-4 억제제, 설폰요소제, 티아졸리디네디온계 모두 평균발생률이 더 높았고, 발생 위험도도 마찬가지로 더 높았다. 성향점수 매칭 후 교란변수를 보정하였을 때, 발생 위험도는 SGLT-2 억제제를 기준으로 DPP-4 억제제 1.13배(HR 1.13, 95% CI: 1.03-1.24), 설폰요소제 1.31배(HR 1.31, 95% CI: 1.18-1.46), 티아졸리디네디온계 1.25배(HR 1.25, 95% CI: 1.07-1.46)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약물 순응군 여부에 따른 심혈관계질환의 발생을 파악했을 때, 전체적으로 약물 비순응군이 순응군에 비하여 평균발생률이 높은 경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직접의료비를 입원 진료비, 외래 진료비, 원외처방약제비 등을 살펴보았고, 이 세 가지 비용을 합한 금액을 인당 평균 총의료비로 산출하였다. 비순응군이 순응군에 비하여 총의료비 기준 473,785원이 더 높았고, 입원 진료비의 경우 비순응군의 비용이 더 높음을 확인하였다. 비순응군이 순응군보다 입원 진료비는 2.0배 높았으나, 외래 이용과 관련된 지표인 외래 진료비, 외래 진료비와 원외처방약제비를 합한 금액은 각각 0.67배, 0.61배로 낮았다. 또한, 순응도가 약제비에 미치는 영향을 보정하기 위하여 총의료비에서 원외처방약제비를 제외한 금액을 살펴보았을 때, 비순응군이 순응군에 비하여 1.4배 높음을 확인하였다. 연구 약물군에 따라 직접의료비를 산출하였을 때, 매칭 후 결과를 살펴보면 SGLT-2 억제제 복용군이 다른 약물 복용군에 비하여 입원진료비가 낮았고(125,682원~312,891원), 총의료비의 경우 DPP-4 억제제와 티아졸리디네디온계에 비하여 각각 306,425원, 93,871원 낮았고 설폰요소제에 비해서 137,851원 높았다. 심혈관계질환 발생 여부에 따른 의료비 차이를 살펴보았을 때, 심혈관계질환 발생군에서 SGLT-2 억제제 복용군이 다른 약물 복용군에 비하여 총의료비가 낮았다(245,634원~542,346원). 본 연구는 당뇨병 환자에서의 심혈관계질환 발생 위험을 약물과 순응도로 살펴보고, 이에 따른 의료비 절감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 1 B. 연구의 목적 4 Ⅱ. 선행연구 고찰 5 A. 당뇨병의 역학적 연구 5 B. 당뇨병과 심혈관계질환 7 1. 심혈관질환의 위험인자로서의 당뇨병 7 2. 경구용 혈당강하제와 심혈관계질환 8 C. 경구용 혈당강하제 순응도 11 D. 당뇨병 질병 의료비 13 Ⅲ. 연구문제 및 용어 정의 15 A. 연구문제 15 B. 용어정의 15 1. 당뇨병 15 2. 당뇨병 치료제 16 3. 심혈관계질환 19 4. 약물 순응도 19 5. 의료비 21 Ⅳ. 연구방법 23 A. 연구설계 23 B. 자료원 및 연구대상자 23 1. 자료원 23 2. 연구대상자 25 C. 측정도구 28 1. 노출변수 29 2. 결과변수 30 3. 공변량 정의 32 D. 추적관찰 종료 34 E. 연구내용 35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6 2. 경구용 혈당강하제의 심혈관계질환 발생 위험도 평가 36 3. 경구용 혈당강하제와 순응도에 따른 의료비 차이 36 4. 하위그룹분석 37 5. 민감도 분석 37 F. 자료 분석 38 1. 일반적 특성 파악 38 2. 성향점수 매칭 38 3. 심혈관계질환 발생률 및 위험도 산출 39 4. 직접의료비 산출 40 5. 유의수준 및 분석 도구 40 Ⅴ. 연구결과 및 해석 41 A.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41 1. 전체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41 2. 약물 노출에 따른 연구대상자 일반적 특성 44 3. 심혈관계질환 과거력 여부에 따른 일반적 특성 47 4. 약물 순응군 여부에 따른 일반적 특성 49 5. 성향점수 매칭 후 연구대상자 일반적 특성 52 B. 코호트 입적일 이후 심혈관계질환 발생 위험도 58 1. 성향점수매칭 전 심혈관계질환 발생 위험도 58 2. 성향점수 매칭 후 결과 91 C. 코호트 입적일 이후 직접의료비 현황 101 1. 약물 복용군별 직접의료비 산출 101 2. 성향점수 매칭 후 결과 107 3. 민감도 분석 113 Ⅵ. 고찰 및 제한점 116 A. 고찰 116 B. 제한점 122 Ⅶ. 결론 124 참고문헌 126 부록 1 연구대상 약물 138 부록 2 찰슨동반질환 진단코드 140 부록 3 약물사용력 코드 142 ABSTRACT 14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5982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당뇨환자의 심혈관계질환 예방효과와 의료비 절감 효과 추정-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심혈관계질환 예방효과가 있는 당뇨병치료제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Estimating the effect of preventing cardiovascular disease and reducing medical cost in type 2 diabetes mellitus patients - Focusing on diabetes treatments that are effective in preventing Cardiovascular Diseases --
dc.creator.othernameChoi, Eunmi-
dc.format.pageviii, 149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융합보건학과-
dc.date.awarded2022. 2-
Appears in Collections:
ETC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