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57 Download: 0

반려동물과 사별한 성인의 애도중심 비대면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Title
반려동물과 사별한 성인의 애도중심 비대면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Case Study on mourning-focused online art therapy in adult who have passed away from pets.
Authors
김정아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지연
Abstract
본 연구는 반려동물과 사별 후 심리적 적응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성인이 애도중심 비대면 개인 미술치료를 통해 어떠한 경험을 하며, 그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질적 사례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반려동물 사별 후 5년이 경과하였고 현재도 반려동물을 떠올리면 심리적 고통을 호소한 성인 여성이다. 미술치료 사례는 2021년 6월 24일부터 2021년 9월 16일까지 주 1회 60분씩 12회기, 실시간 화상회의앱 Zoom을 활용하여 비대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연구자는 비대면으로 진행되는 애도 과정이 연구 참여자에게 어떤 경험을 제공하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Worden(2007)의 애도 과업을 미술치료 프로그램 목표에 단계적으로 적용하여 회기를 구성하였다. 미술치료 개입에 있어 연구 참여자가 치료사와의 안정적인 관계 속에서 점진적으로 애도 과업을 경험하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반려동물과 사별한 성인이 개인 미술치료를 통해 어떠한 경험을 하였으며 그 의미는 무엇인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사전, 사후면담 녹음파일과 녹취록, 화상 회기 녹화본, 녹음파일, 녹취록, 미술치료 회기에서 완성한 미술작품 사진 이미지, 연구자의 관찰 및 임상 일지, 추가 면담의 모바일 메신저 텍스트 등 다양하게 수집된 자료를 반복적 비교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대와 미안함이 교차하며 시작된 미술치료>, <댕댕을 떠올릴수록 오감이 느껴지며 더욱 힘듦>, <안락사의 죄책감이 추억을 가리고 있어 들여다 볼 수 없었음>, <댕댕과는 끈끈한 뭔가가 있는 각별한 관계였음을 확인함>, <평생 묻고 살 수 없는 과정을 미술치료 안에서 충분히 애도하며 위로와 만족감을 얻음>, <새로운 애도 방식을 배우며 애도를 통해 성장함>의 총 6개의 상위주제와 17개의 하위주제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는 미술치료의 안전한 환경 내에서 반려동물 상실의 현실 인식하기를 경험하였다. 이 과정에서 사별한 반려동물과의 기억을 되살리는 힘든 과정을 견뎌내었다. 이를 통한 충분한 정서 표현을 통해 반려동물이 상실된 현실을 인식하여 심리적 안정감을 경험하였다. 둘째, 연구 참여자는 미술치료를 통해 반려동물 상실에 대한 비애의 고통 감내하며 애도 작업하기를 경험하였다. 이를 통해 그동안 자신의 애도를 방해하던 안락사로 인한 죄책감을 직면하며 비애의 감정을 안전하게 재경험하였다. 셋째, 연구 참여자는 미술치료 내에서 사랑했던 반려동물이 없는 환경에 적응하기를 경험하였다. 이 과정에서 평생 묻고 살 수는 없었던 사별한 반려동물에 대한 다양한 감정을 탐색하였다. 이로써 사별 대상과의 끈끈했던 관계를 확인하고 재정리하여 사별한 현실에 적응하였다. 넷째, 연구 참여자는 미술치료를 통해 자신에게 필요충분한 새로운 방식의 애도를 배우고 이로써 자신의 감정을 새로운 삶에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위의 내용을 종합해 볼 때, 반려동물 사별 후 심리적 적응에 어려움을 호소하던 성인은 Worden(2007)의 애도 과업을 바탕으로 구성된 애도중심 비대면 미술치료를 통해 반려동물 사별 현실을 인식하고 애도의 비애를 충분히 분출하며 죄책감을 내려놓을 수 있었다. 또한 사별한 반려동물을 내적 대상으로 수용함으로써 심리적 적응과 성장을 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애도중심 비대면 미술치료에서 Worden(2007)의 애도 과업을 미술치료 프로그램 목표에 단계적으로 적용하여 연구 참여자의 심리적 적응과 성장을 도왔음을 밝힌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at what kind of experience and what it means for adults, who are still suffering from psychological difficulties, through mourning-focused online art therapy. To this end, it was explored by applying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s. The research participants in the study are adult women who are still complaining of psychological pain five years after their pets’ bereavement, and it was focused on allowing participants to experience sufficient mourning, consisting of online art therapy program applied by Worden (2007)'s Task Theory in four stages (to acknowledge the reality of the loss, to process the pain of grief, to adjust to a world without the deceased, and to find an enduring connection with the deceased in the midst of embarking on a new life), with a total of 12 sessions, preliminary and follow-up sessions of 60 minutes a week from June 24, 2021 to Sept. 16, 2021.;Data from the study included Zoom recordings of each session, images of works sent and shared through messengers, recorded files and recordings of prior and follow-up interviews, and the contents of additional interviews through mobile messengers. Data analysis used repeated comparative analysis to explore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adult art therapy, in which the process of mourning is experienced. To this end, as the transcripts of the transcription were read repeatedly, the participants'meaningful language and non-verbal expressions of the recordings were repeatedly identified and analyzed as data, and the experience of the participants expressed in the artwork was analyzed and comprehensively understood, followed by a process of open coding, categorization, and category verific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data, a total of six essential themes of the experience in the case of art therapy were derived: "Art therapy which began with expectations and apologies." "The five senses felt and sorrowed the more I rememberd the puppy." and "The guilt of euthanasia was covering up the memories, so I couldn`t look into it.", "i confirmed that we had a special relationship with the puppy.", “i mourned enough in art therapy and gaind comfort and satisfaction through a process that I could not bury for my life.”, “Learning a new way of mourning and growing up through mourning.”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participants endured s difficult process of reviving memories with their deceased pets within a safe environment for art therapy. Through this, the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d psychological stability by recognizing the reality that pets were lost through sufficient emotional expression. Second, through art therapy, the research participants safely experienced the feeling of sorrow, facing guilt caused by euthanasia, with had interfered with their condolences. Third, the research participants dealt with various emotions with the deceased companion animal that could not be buried. and lived for life within art therapy. through this, the close relationship was confirmed and reorganized to adapt to the reality of bereavement. Fourth, the research participants learned a new way of mourning through art therapy and were able to use their emotions in a new life through necessary and condolences for themselves. Based on the above information, adults who complained of difficulties of psychological adaptation after the bereavement of their pets were able to recognize the reality of the bereavement through on line art therapy based on Worden`s(2007) mourning task, and relieve guilt. in addition, psychological adaptation and growth were possible by accepting deceased pets as internal objects. As such,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elped the psychological adaptation and growth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by gradually applying Worden`s(2007) mourning task to the art therapy program goals on mourning-focused online art therap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